항목
-
주진 主鎭조선 후기 각도의 병마절도사와 수군절도사가 소재하던 진(鎭). 내용 병영(兵營)과 수영(水營)은 많은 유방병(留防兵)과 병선(兵船)을 갖추고, 그 아래에 여러 개의 거진(巨鎭)을 두어 절제사(節制使)·첨절제사(僉節制使)로 하여금 각각 관장하게 하였다. 거진 밑에는 제진(諸鎭)을 두어 동첨절제사·만호(萬戶)·절...
- 시대 :
- 조선 후기
- 성격 :
- 군영, 군사조직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주진 朱珍삼국시대 독산성전투에 참전한 신라의 관리. 장군. 내용 548년(진흥왕 9) 정월에 고구려 양원왕이 동예(東濊)의 군대 6,000명을 동원하여 백제의 독산성(獨山城)을 공격하매 백제의 성왕이 신라에 구원군을 요청하자 신라의 진흥왕이 이에 호응하여 구원병을 파견할 때, 장군으로서 정예 갑병(甲兵) 3,000명을 거느리...
- 시대 :
- 고대/삼국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독산성 전투
- 직업 :
- 관리, 장군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주진군 州鎭軍갖추고 있었다. 행정조직상 남도지역은 일반 주(州) · 군(郡) · 현(縣)이 설치되었는데 비하여 양계지역은 방어주(防禦州) · 진(鎭)이 설치되어 군사적인 주진체제로 편성되었다. 남도의 주현군(州縣軍)이 단순히 보승(保勝) · 정용(精勇) · 일품군(一品軍)의 단순한 병종으로 구분된 것과는 달리 양계의 주진군...
- 시대 :
- 고려 전기 , 고려 후기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병영 주진(主鎭), 兵營감독을 받는 절제사(節制使)·첨절제사(僉節制使)·동첨절제사(同僉節制使)·만호(萬戶)·도위(都尉)가 있던 곳을 포함하기도 한다. 병마절도사의 병영을 주진(主鎭)이라 하고 절제사·첨절제사의 병영을 거진(巨鎭)이라고 하며 동첨절제사·만호·도위의 병영을 제진(諸鎭)이라고 하였으나 일반적으로 병영이라 함은...
- 시대 :
- 조선
- 성격 :
- 관청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조선시대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