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남오미자 南五味子수술이 많다. 열매 9월에 둥근 장과가 달려 검게 익는다. 특징 및 사용 방법 나무껍질은 코르크질이며 흑갈색이다. 줄기에 점액이 많아서 제지용 풀(접착제)로...윤기를 내기 위해 껍질을 물에 삶아서 머리를 감았다. 오미자 대용으로 사용하나 오미자보다 효능이 떨어진다. 관상용·공업용(제지)·식용·약용으로 이용...
- 분류 :
- 상록 활엽 덩굴나무
- 학명 :
- Kadsura japonica
- 분포지역 :
- 제주도, 남부 지방의 바닷가와 섬
- 자생지역 :
- 바닷가 산기슭 양지
- 번식 :
- 실생·접목·꺾꽂이·분주
- 약효 부위 :
- 온포기·뿌리·열매
- 생약명 :
- 남오미자(南五味子)
- 키 :
- 3cm 정도
- 과 :
- 목련과
- 채취기간 :
- 가을(열매 성숙기)
- 취급요령 :
-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따뜻하며, 시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4~6g
- 주의사항 :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오미자편식재료 오미자 1컵(90g),물 1L(5컵),녹두전분 80g(1/2컵),설탕 1컵,꿀 2큰술 조리방법 1. 오미자는 붉은 것으로 골라서 물에 헹구어 체에 건져서 분량의 물을...조금씩 붓고 고루 풀어서 냄비에 쏟아 설탕을 넣고 저은 다음 끓인다. 3. 나무 주걱으로 저으면서 끓여 말갛게 익으면서 농도가 되직해지면 꿀을 넣고 잠시...
- 분류 :
- 다과류 > 과정류 > 과편
- 성격 :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약간의 수분을 양념과함께 넣고 익혀 양념이 식품에 스며들게 하는 음식
-
해남 녹우단 비자나무숲 海南 綠雨壇 비자나무숲드문드문 섞여 있다. 곰솔 중 가장 큰 것은 높이 25m에 가슴높이지름 1m 내외이다. 숲 밑에는 사스레피나무·참식나무·마삭덩굴·개비자나무·남오미자·송악·모새나무·보리밥나무·자금우·동백나무 등의 상록수종과 더불어 맥문동·실맥문동·춘란 등이 여기저기에서 자라고 있다. 숲의 윗가장자리에는 커다란 참식...
- 유형 :
- 생물
- 분야 :
- 과학/식물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오미자 五味子, Schizandra fruit특성 낙엽 덩굴나무. 줄기 길이 3~9m. 잎은 호생하며, 타원형, 넓은 타원형, 긴 타원형이고,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거치가 있으며, 길이 7~10cm, 너비 3~5cm, 뒷면 맥 위에 털이 있다. 6~7월에 붉은빛이 도는 황백색 꽃이 피며, 열매는 8~9월에 붉은색으로 익는다. 변종으로는 개오미자[S. chinensis (Turcz...
- 분류 :
- 오미자과(Schizandraceae)
- 원산지 :
- 한국, 일본, 중국, 사할린, 아무르, 시베리아
- 생산시기 :
- 10~11월(전초), 10월(열매)
- 크기 :
- 3~9m
- 학명 :
- Schizandra chinensis (Turcz.) Baillon
- 용도 :
- 관상, 약용, 차
- 이용 :
- 전초, 열매
- 개화기 :
- 6~7월
-
-
산딸기나무 나무딸기, Raspberry비슷한 성질의 복분자나 오미자 열매가 과잉 생산되는 것을 우려해 대체품으로 품종이 개량되는 과정에 있다. 형태 키는 2m 정도이고 드문드문 가시가 나 있다...하얗게 피어난다. 꽃은 5장의 꽃잎과 꽃받침잎, 많은 수술과 암술로 이루어져 있다. 열매는 7월에 검붉은 색으로 둥그렇게 익는다. 생태 산딸기나무는 이름...
- 분류 :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장미목 > 장미과
- 원산지 :
- 아시아 (중국,일본,대한민국)
- 서식지 :
- 산과 들
- 크기 :
- 약 1m ~ 2m
- 학명 :
- Rubus crataegifolius
- 꽃말 :
- 애정, 질투
-
약초 藥草이에 속한다. ④ 등본:줄기가 가늘고 길며, 다른 물체에 얽히거나 감으면서 뻗어올라가는 목본식물인데, 줄기가 목질화된 목질등본을 말한다. 오미자나무·다래나무·으름나무 등이 이에 속한다. (2) 초 본 줄기에 목질이 적게 포함되며, 월동시에 고사하거나 또는 지상 부분만 고사하는 식물을 총칭한다. 생장시기나...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과학/의약학
-
이용도에 따른 한국의 식물 분류쓰이는 약용식물은 조선시대 때 허준에 의해 〈동의보감 東醫寶鑑〉이 발간되어 체계적으로 정리되었는데, 산삼을 비롯하여 관중·비자나무·두충나무·대황·자리공·쇠무릎·오미자나무·진범·삼지구엽초·족두리풀·양귀비·황기·칡·초피나무·황벽나무·붉나무·대추나무·용담·형개·미치광이풀·지황·삽주...
-
호도의 상록활엽수림 및 흑비둘기 번식지 虎島의 常綠闊葉樹林 및 흑비둘기 繁殖地확인된 유관속식물은 64과 132속 147종이다. 이곳의 상록활엽수는 모람 · 왕모람 · 동백나무겨우살이 · 남오미자 · 후박나무 · 참식나무 · 까마귀쪽나무 · 돈나무 · 다정큼나무 · 사철나무 · 우묵사스레피 · 보리밥나무 · 송악 · 박달목서 · 아왜나무 등 15종이다. 이 섬의 상록활엽수의 2차림 형태로...
- 유형 :
- 지명
- 분야 :
- 과학/동물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한라산 천연보호구역 漢拏山 天然保護區域볼 수 없는 특징이 있다. 산록지대(북쪽은 고도 600m 내외까지, 남쪽은 700∼1,100m까지)에는 난대상록수림이 발달한다. 남오미자 · 참식나무 · 사스레피나무 · 굴거리나무 · 좀굴거리나무 등이 분포대에서의 표식종이다. 이 난대성상록수의 8%는 제주도의 고유종이다. 난대림의 위쪽, 즉 한라산 중복에 발달하고...
- 유형 :
- 지명
- 분야 :
- 과학/식물
-
식산봉의 황근 자생지 및 상록활엽수림 食山峯의 黃槿 自生地 및 常綠闊葉樹林얻을 수 있는 곳으로 보인다. 식산봉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은 50과 91속 108종이며 이 중 주요한 종으로는 칠면초·황근·왕작살나무·후추등·남오미자·생달나무·후박나무·참식나무·까마귀쪽나무·돈나무·송악·자금우·광나무·마삭줄 등이다. 아직 제주도에 섶섬이나 문섬의 식생에 비하면 종이 부족하나, 우리...
- 유형 :
- 지명
- 분야 :
- 과학/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