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순신 이순신 장군의 생일을 아시나요
    임용발령을 조용히 기다리며 한 말로 자신의 보직이나 출세를 위하여 권문세가에 아첨하거나 영화를 탐내지 않기로 한 결심으로 보입니다. 충무공이 쓴 《난중일기》는 그의 개인적 전장체험뿐만 아니라 전쟁 전의 상황과 임진왜란 당시의 전황을 알 수 있는 객관적 사료로서 높이 인정받고 있지요. 예를 들어, 임진년의...
    출생 :
    1545년 4월 28일
    사망 :
    1598년 11월 19일
  • 이충무공전서 李忠武公全書
    옥포해전 등에서의 전적, 군량미 마련책, 병력확보책, 전쟁중 인재확보책, 질병대책 등 전란중에 일어났던 일들을 담고 있다. 문집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난중일기 亂中日記〉는 1592년 1월 1일부터 1598년 11월 17일까지의 일들을 기록하고 있다. 백의종군시의 기록 등 몇몇 빠진 부분도 있지만 전투상황과 수군실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문헌
  • 장일호 장광석, Jang Il-ho
    사극대작 <원효대사>(1962)를 비롯하여 <화랑도>(1962), <석가모니>(1964), <일지매 필사의 검>(1966) <전설따라 삼천리>(1968), <비운의 왕비>(1970), <난중일기>(1977) <호국 팔만 대장경>(1978) 등 지속적으로 사극영화를 연출했다. 특히 <난중일기>(1977)는 장일호가 스스로 자신의 대표작이라고 말하는 작품이다...
    출생 :
    1926년 9월 30일 평양
    사망 :
    2009년
    데뷔 :
    1961년 <의적 일지매>
  • 임진장초 壬辰狀草
    〈이충무공난중일기〉의 부록으로 〈서간첩 書簡帖〉 1책과 〈임진장초〉 1책으로 되어 있다. 이순신이 전란중 출전경과, 왜군의 정황, 군사상의 건의, 진중(陣中)의 경비 및 준비상황 등에 관해 조정에 장계한 것을 모은 책이다. 체제는 해서(楷書)로 되어 있으며, 모두 81장으로서 크기는 세로 46.0㎝, 가로 33.5㎝...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이순신 李舜臣
    특징과 평가 『이순신』은 실록의 번역일 뿐이라는 김동인의 박한 평가가 있듯 역사 문헌을 다방면으로 활용한다. 『이충무공전서』 중 「행록」과 「난중일기」 등의 실기가 중요한 서사적 원천이 된다. 특히 이순신이 원균의 모함을 받아 옥고를 치르고 백의종군을 하는 “이통제”의 장에서 「난중일기」의 직접 인용은...
    시대 :
    근대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현대문학
  • 반계사 유물 일괄 盤谿祠 遺物 一括
    내용 1988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5종 8점. 종류는 『난중일기(亂中日記)』 · 『진법(陣法)』 · 「광국공신계회도(匡國功臣契會圖)」(1591), 흉배(胸背), 『광국원종공신록권』(1591, 23.5㎝×35㎝, 1책), 『선무원종공신녹권』(1603, 23.5㎝×35㎝, 1책) 등이다. 『난중일기』는...
    시대 :
    조선
    유형 :
    유물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바다의 탱크 거북선 이순신 이전에도 기록이 보입니다
    다시 "거북선이 매우 견고하여 적선이 해치지를 못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그 후 180여 년간 거북선에 관한 기록이 보이지 않다가 이순신 장군의 일기인 《난중일기》 1592년 2월 8일 "거북선에 사용할 돛베〔帆布〕 29필을 받다"는 기록이 나옵니다. 《난중일기》에 따르면 거북선에 비치한 포(砲)를 처음 발사한 날은...
  • 여수 선소유적
    성종때의 고지도에는 ‘선소’로도 기록되었다. 임진왜란 때에 삼도수군통제영이 설치되면서 이 곳이 전라좌수영(여수)에 속하게 되었고, 또 이순신 장군의 「난중일기」에 의하면 거북선 제작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었던 곳으로 추정된다. 이순신 장군이 뛰어난 조선 기술을 지닌 나대용 장군과 함께 거북선을 만든 곳...
    위치 :
    전라남도 여수시 시전동
    문화재 지정 :
    [여수 선소유적] 사적 제392호(1995.04.20 지정)
  • 충무공이순신기념관 忠武公李舜臣記念館
    수 있도록 다양하고 재미있는 영상물을 통해 교육하고 있다. 현황 충무공이순신기념관은 전시관, 교육관, 사무동 등 3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물로는 『난중일기』(국보, 1962년 지정), 「이순신 유물 일괄」(보물, 1963년 지정), 「이순신 관련 고문서」(보물, 2008년 지정) 등 국보 9점, 보물 20점의 국가지정유산...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이충무공 진배미 유지
    이순신은 손경례의 집으로 오기 전 정개산성에 있던 조방장 김언공과 종사관 황여일을 만났으며, 그들로부터 군사와 군량, 말먹이 등을 지원받았다. 난중일기 정유년(1597) 7월 29일 기사에는 ‘냇가로 나가 군사를 점검하고 말을 달렸는데, 원수가 보낸 군대는 모두 말도 없고 활에 화살도 없으니 소용없었다. 탄식할...
    소재지 :
    경상남도 진주시 수곡면 원계리 717-18번지
    지역 :
    진주
  • 이충무공전서 李忠武公全書
    2건의 귀선도(龜船圖)는 귀선의 장척(長尺) 및 모형을 알려주는 전형(典型)이 되고 있다. 권1은 시 5편, 잡저 10편, 권2∼4는 장계(狀啓) 65편, 권5∼8은 난중일기(亂中日記), 권 9∼12는 부록으로 종자(從子) 분(芬)이 쓴 행록을 비롯해 이순신의 비문·기문(記文)·제문 및 송명(頌銘) 등을 한데 모았다. 권13·14...
    시대 :
    조선
    저작자 :
    이순신(李舜臣)
    창작/발표시기 :
    1795년(간행), 1984년(영인)
    성격 :
    유고, 유고전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4권 8책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구리시의 유물·유적·관광
    경종비)·원릉(元陵, 영조 및 왕후)·수릉(綏陵, 추존 문조 및 왕후)·경릉(景陵, 헌종 및 왕후) 등 9릉 17위로 이루어져 있다. 그밖에 사로동에 병자호란 때의 난중일기인 <병자록(丙子錄)>을 저술한 나만갑선생신도비(羅萬甲先生神道碑,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26호)가 있으며, 아천동에 세종의 후궁인 명빈 김씨의 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기도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3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