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임진왜란 壬辰倭亂
    임진년에 처음 발생했다 하여 보통 '임진왜란'이라고 하며, '7년전쟁'이라고도 한다. 1592년 4월 일본군 선봉대가 부산포로 쳐들어와 서울을 향한 북진을 계속해 2개월도 채 못 되어 전 국토가 유린되었다. 선조와 세자는 평양으로 피난하였다. 한산도대첩 등 해전의 승리로 일본의 해상작전이 좌절되고, 전라도 곡창지...
    발생 :
    1592년 5월 23일(음력 4월 13일)
    종결 :
    1598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임진왜란 壬辰倭亂
    임진왜란은 1592년(선조 25)부터 1598년까지 2차에 걸쳐서 우리나라에 침입한 일본과의 싸움이다. 엄청난 시련을 겪으면서도 끈질긴 저항으로 이겨내고 각성과 자기성찰을 바탕으로 민족의 운명을 새로 개척해나간 계기가 된 전쟁이다. 명의 원조도 있었지만 승리의 가장 큰 원동력은 거족적인 저항으로, 이순신에 의한 ...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임진왜란 壬辰倭亂
    박종화(朴鍾和)가 지은 장편 역사소설.|개설 1954년 5월부터 1957년 4월까지 『조선일보』에 전 946회의 장기 연재기록을 세웠으며, 1957년 을유문화사에서 단행본으로 발간하였다. 이 작품은 작가가 암담한 일제하에서는 소설화할 수 없었던 임진왜란을 그것과 역사상 흡사한 한국전쟁을 체험하고 나서 형상화하였던 ...
    시대 :
    현대
    저작자 :
    박종화
    창작/발표시기 :
    1954년 5월(연재 시작), 1957년 4월(연재 종료), 1957년(간행)
    성격 :
    장편소설, 역사소설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현대문학
  • 임진왜란 (관련어 임진 왜란) Imjin War, 文禄・慶長の役
    대명과 여진족 등 동아시아 전체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전쟁의 결과, 조선은 경복궁과 창덕궁 등 2개의 궁궐이 소실되었고, 인구는 최소 100만 명 이상 감소했으며, 경작지의 2/3가 소멸했다. 임진년에 일어난 일본의 난리 그 밖에 조선과 일본 사이에 일어난 전쟁이란 뜻으로 조일전쟁(朝日戰爭)이라고도 부른다. 일...
    도서 위키백과
  • 16세기 후반 동아시아 정세와 임진왜란
    동아시아의 조선·중국·일본 각 나라는 14세기에 다같이 새 국가와 정권이 등장한 이후 2세기 동안 안정기를 누려왔다. 그러나 16세기에 접어들면서 명나라가 동요되고 이웃한 여러 민족들이 자주적으로 발전하려는 경향을 보이면서 동아시아의 정세는 소용돌이 속으로 빠져들었다. 명나라는 16세기경에 환관이 실권을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역사 일반
  • 임진왜란
    1592년~1598년까지 일본군의 침입으로 2차에 걸쳐서 발생한 전쟁 조선의 국방력이 약화된 상황에서 일본군이 침입하여 평양과 함경도까지 침입하였다. 그러나 이순신 장군 등 수군의 승리로 전세가 전환되었으며 곽재우 등의 의병의 활약과 조·명 연합군의 승전 등에 힘입어 승리하였다. 조선 전기와 후기를 나누는 중...
  • 임진왜란 壬辰倭亂
    1592년부터 1598년까지 일본이 조선을 침입하여 부산 지역을 포함한 한반도 전역에서 일어난 전쟁.|[개설] 임진왜란은 1592년(선조 25)부터 1598년까지 우리나라에 침입한 일본과 벌인 전쟁으로, 1597년[정유년]에 일본군이 다시 침입한 전쟁을 구분하여 ‘정유재란’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일본군은 1592년 4월 13일 ...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 임진왜란 (드라마)
    의병들의 항쟁, 구국의 영웅 이순신의 순국에 왜병의 잔혹사, 충절 논개의 순국, 풍신수길의 죽음으로 조선, 명나라, 일본이 얽혔던 7년 간의 전쟁 임진왜란을 다루어 조선왕조 최대의 전란기를 그렸다. 현석 : 선조 이연 역 조선 제14대 군주 김용선 : 의인왕후 반남 박씨 역 선조의 정비 황치훈 : 광해군 이혼 역 선조...
    도서 위키백과
  • 이순신과 조선 수군의 활약
    조일전쟁 당시 중앙에서는 일본에 대한 상반된 평가를 하며 국론을 모으지 못하고 있었다. 게다가 전비를 가다듬지 못한 조선은 조총으로 무장한 일본군에게 속수무책으로 당하고 말았다. 일본은 해로를 통한 보급품 수송을 계획하며 파죽지세로 조선의 수도를 향해 진격하였다. 하지만 조선에는 화포로 무장한 오랜 전...
    시대 :
    1591년~1598년
  • 히데요시의 조선 침략 (관련어 임진왜란)
    야망의 사나이 히데요시는 멀리 필리핀이나 대만 등지에는 군대를 파견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웃 조선에 대하여는 전후 두 차례에 걸쳐 대군을 파견하여 난을 일으킴으로써 피아간에 수많은 인명을 살상하고 국력을 피폐하게 하였다. 히데요시가 일본 전국을 통일하고 병농분리 정책을 추진함에 따라 지금까지 소유하고 ...
  • 유성룡 (관련어 임진왜란) 조선 중기의 명신
    임진왜란 초기 선조의 피난길을 수행했고, 왜군을 물리치는데 공헌한 조선의 문인. 의주에서 병력을 모으고, 명군과 함께 평양성을 수복하는 등 조정을 이끌며, 이순신이 탄핵받았을 때 다시 천거했다. 전란 중 민심을 달래고 군사력을 강화했으며, 천민들에게도 면천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다양한 정책을 시행했다. 과...
    출생 :
    1542(중종 37)
    사망 :
    1607(선조 40)
    국적 :
    조선, 한국
  • 천하를 손에 넣은 원숭이, 도요토미 히데요시 (관련어 임진왜란) 하시바 히데요시, 豊臣秀吉
    8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일본 전체를 평정하는 데 걸린 시간이다. 그는 우리나라에서는 임진왜란의 원흉으로 여겨지지만 일본에서는 밑바닥에서 시작해 전국 통일을 이룩한 희대의 영웅으로 추앙받는 인물이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1536년 오와리국 아이치 군에서 농민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아버지가 죽고 ...
    출생 :
    1536년
    사망 :
    1598년
    국적 :
    일본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출처1건

멀티미디어37건

임진왜란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 이순신 난중일기
고양 행주대첩비 중 재건비와 구비각 전경
임진왜란 해전 경로
평양성 탈환도
남원 만인의총 전경
금산 칠백의총 전경
부산진 순절도
임란일기 / 이언춘
동래부순절도
곽재우 기록화
비격진천뢰
충주 탄금대
승자총통
징비록
대완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