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이충무공전서

다른 표기 언어 李忠武公全書

요약 조선 중기의 무신 이순신(李舜臣 : 1545~98)의 시문집.

이순신

이순신 장군의 동상

ⓒ Brücke-Osteuropa / wikipedia | Public Domain

14권 8책. 활자본. 1795년(정조 19) 검서 유득공(柳得恭)이 편집·간행을 감독하여 교서관에서 간행했다.

책머리에는 임진왜란 때 임금이 내린 교유문과 영조·정조가 내린 사제문, 영패도·독전기도·영기도·구선도·전라좌수영구선도 등이 실려 있다. 시는 〈한산도야음 閑山島夜吟〉 등 모두 5편으로, 적은 분량이지만 이순신의 우국충정을 느낄 수 있다. 장계에는 왜란 발생 직후의 상황과 대비책, 옥포해전 등에서의 전적, 군량미 마련책, 병력확보책, 전쟁중 인재확보책, 질병대책 등 전란중에 일어났던 일들을 담고 있다.

문집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난중일기 亂中日記〉는 1592년 1월 1일부터 1598년 11월 17일까지의 일들을 기록하고 있다. 백의종군시의 기록 등 몇몇 빠진 부분도 있지만 전투상황과 수군실태 등이 자세하게 나타나 있다. 부록으로는 종자 분(芬)이 쓴 행록, 최유해(崔有海)가 지은 행장, 이항복의 전라좌수영대첩비 등과 〈기실 紀實〉이 실려 있다. 이 가운데 〈기실〉은 〈명사 明史〉 〈진린전 陳璘傳〉, 〈징비록 懲毖錄〉, 〈지봉유설 芝峯類說〉, 〈난중잡록 亂中雜錄〉 등에서 이순신에 관한 기록만을 자세히 뽑아 엮은 글로 그의 인품과 일화를 살필 수 있다.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 Korea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 wikioedia | Public Domain

이 전서는 이순신 개인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임진왜란사 연구에도 중요한 문헌이다. 1918년 최남선이 이 책에 구두점을 찍어 신문관에서 2책으로 출간한 것과 1931년 서장석 등이 6책으로 중간한 것이 전해진다. 규장각 등에 소장되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이충무공전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