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타스만

다른 표기 언어 Abel Janszoon Tasman
요약 테이블
출생 1603(?), 네덜란드 루티예하스트
사망 1659. 10. 22 이전으로 추정
국적 네덜란드

요약 네덜란드의 항해가·탐험가.

태즈메이니아, 뉴질랜드, 통가, 피지 제도 등을 발견했다.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에서 근무하던 때의 첫번째 항해(1642~43)에서 인도양과 오스트랄라시아, 태평양 남부를 탐험하고 2번째 항해(1644)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의 남태평양 쪽 근해를 돌았다.

1632(또는 1633)년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에 들어가 1634년 모하호의 선장으로 지금의 인도네시아에 있는 세람 섬으로 첫 항해를 했다. 1639년 마테이스 헨드리크존 쿠아스트 제독 밑에서 '금과 은의 섬들'을 찾아 일본 동쪽 바다로 원정을 했다.

일본·포르모사(지금의 타이완)·캄보디아·수마트라 등지로 여러 차례 무역항해를 한 뒤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의 총독인 안톤 반 디멘에게 발탁되어 가장 야심적인 남반구 탐험항해를 도맡아 지휘하기에 이르렀다. 1642년 8월 14일 2척의 배, 즉 '헴스케르크호'와 '제한호'를 타고 바타비아(지금의 자카르타)를 떠나 모리셔스로 갔다(9. 5~10. 8). 그리고 남동쪽으로 더 항해해 그가 간 가장 남쪽 지점인 남위 49°, 동경 94°에 도착한 뒤 북쪽으로 방향을 돌려 11월 24일에 남위 42° 20′ 지점에서 육지를 발견하고 남쪽 해안을 스쳐지나갔다.

그는 그 육지를 '반 디멘의 땅'(지금의 태즈메이니아)이라고 이름붙였다. 12월 5일 고급선원회의에서 더이상의 조사를 하지 않기로 결정했기 때문에 그는 그곳에서 배스 해협을 발견할 기회를 놓쳤다. 계속 동쪽으로 가 12월 13일 남위 42°10′ 지점에서 뉴질랜드의 사우스섬을 목격하고 북쪽으로 탐험을 계속해 만이라고 생각하면서 노스섬과 사우스섬 사이의 해협에 들어갔다.

그는 1643년 1월 4일 뉴질랜드의 노스케이프를 떠났다. 이때 그는 자신이 이전에 W. C. 스호우텐과 자크 르 메르가 남아메리카 대륙 남쪽에서 발견했던 '스타텐란트'(스타텐 섬)와 연결되어 있을지도 모르는 남부대륙의 서해안을 발견했다고 생각했다. 스타텐란트는 나중에 타스만이 스타텐 헤네랄(네덜란드 의회)을 기념해 붙인 이름이다.

칠레로 가는 항로가 있다는 확신을 갖고 북쪽으로 향한 그는 1월 21일 통가를, 2월 6일에는 피지 제도를 발견했다. 북서쪽으로 뱃머리를 돌려 1643년 4월 1일에는 뉴기니 근해에, 6월 14일에는 바타비아에 도착했다. 10개월 동안 계속된 이 항해에서 단 10명의 선원만 병으로 죽었다.

타스만은 오스트레일리아에 상륙하지 않고 주위를 항해한 결과 그곳이 당시에 추정되던 남부대륙과는 별개의 것이라고 확신했다. 타스만이 비록 해군중령의 계급을 얻고 바타비아 사법위원회의 일원이 되었지만 회사로 볼 때 그의 2번째 항해 역시 실망스러운 것이었다. 부를 가져다줄 수 있는 대륙을 발견하는 데 실패했기 때문이었다. 1647년 타스만은 시암(지금의 타이)으로 가는 상선단을 지휘했고 다음해에는 필리핀에서 스페인에 맞서 전함을 지휘했다. 그는 몇 년 뒤 네덜란드 동인도회사를 떠났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과학자

과학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타스만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