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위치 | 오스트레일리아 동방 남태평양 |
---|---|
인구 | 108,683명 (2024년 추계) |
수도 | 누쿠알로파 |
면적 | 747.0㎢ 세계면적순위 |
공식명칭 | 통가 왕국 (The Kingdom of Tonga) |
기후 | 열대성기후 |
민족 구성 | 폴리네시아인, 유럽인 |
언어 | 영어,통가어 |
정부/의회형태 | 입헌군주제 / 단원제 |
종교 | 그리스도교 |
화폐 | 팡가 (T$) |
국화 | 헤일라라 |
대륙 | 서남아시아태평양 |
국가번호 | 676 |
GDP | USD 433,000,000 |
전압 | 220V, 240V / 50Hz |
도메인 | .to |
요약 태평양 남서부에 있는 입헌 군주국. 통가어로는 풀레앙가 파카투이 오 통가(Pule'anga Fakatu'i'O Tonga)라고 한다. 오스트레일리아 북동쪽 남태평양에 위치하고 있으며 수도는 누쿠알로파이다. 화폐는 팡가이다. 의료상태는 양호한 편이며, 14세까지의 초등교육을 정부에서 무료로 지원하고 있다.
목차
접기-
자연환경
-
국민
-
경제
-
정치와 사회
-
역사
-
통가와 한국과의 관계
- ┗ 외교
- ┗ 경제·통상·주요 협정
- ┗ 문화교류·교민 현황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시 북동쪽으로 3,000km, 피지 섬 동쪽으로 약 640km 떨어져 있다. 169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군도이며, 이 섬들은 남북으로 2개의 평행한 열도를 이루며 805km 뻗어 있다. 169개 섬 중 36개의 섬에만 사람이 거주하고 있다. 통가는 북쪽의 바바우, 중앙 하파이, 남쪽 통가타푸 등의 3개 군도로 크게 나뉘며, 북쪽과 남쪽으로 몇몇 섬들이 고립되어 있다.
수도인 누쿠알로파는 가장 큰 제도인 통가타푸(면적 256㎢)에 있다. 면적 750㎢, 인구 108,683(2024 추계).
자연환경
동부 열도에 있는 제도는 산호석회층의 낮은 지형인 반면 서부의 제도는 높은 화산섬이다. 산호초는 이 군도 전체에서 두루 볼 수 있고, 서부의 제도 중 4개 섬에는 활화산이 있다. 석회암 제도의 토양은 대부분 화산회로 이루어져 대체로 비옥하다. 기후는 따뜻하고 강우량이 많다. 태풍이 12∼4월에 발생하며, 특히 북부 제도에서 심하다. 많은 종류의 열대성 식물이 경작된다.
국민
통가의 시골 마을에는 폴리네시아인이 주로 거주한다. 그들은 전통적인 생활방식 속에서 엄격히 계층화된 집단을 이루며 시골에서 살고 있으나 서방의 문명 요소도 가지고 있다. 전체인구의 2/3가 주요섬인 통가타푸에서 산다. 이 나라의 유일한 도시이며 상업 중심지인 누쿠알로파 외에 통가타푸의 무아, 바바우의 네이아푸 등의 큰 마을이 있다. 공식어는 오스트로네시아의 한 언어인 통가어와 영어이다. 인구의 약 절반이 감리교도이며, 통가의 자유교회와 로마 가톨릭교도가 많다. 모르몬교도도 약간 있다.
통가의 연간 인구증가율은 1980년대 이후 0%대를 유지하고 있다. 2024년 기준 연간 인구증가율은 0.84%를 기록했다. 2024년 추계인구는 10만 8,683명이며, 전체 인구의 24%만이 도시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또한 전체 인구의 36%가 15세 이하의 유소년 인구이다.
경제
주로 농업에 기초한 자유시장경제가 발전하고 있다. 1인당 국민총생산(GNP)은 인구보다 더 빨리 증가하지만 태평양 제도의 다른 나라에 비해 낮은 편이다. 16세 이상의 남자에게는 3㏊의 경작용 토지가 주어지는데 토지부족으로 완전히 실행되지 않을 때도 있다.
주요환금작물로는 코코넛·바나나·바닐라·콩 등이 있고, 자급용 작물에는 마·타로토란·카사·땅콩·옥수수·수박·파인애플 등이 있다. 돼지·염소·말·소 등이 사육된다.
경공업을 하며, 관광용의 수공예품도 생산된다. 높은 실업률로 인해 한때 뉴질랜드·미국·오스트레일리아 등으로 이주가 성행했다. 무역상대국은 뉴질랜드와 오스트레일리아이며, 코코넛 기름, 바나나, 코프라 등을 수출한다. 누쿠알로파와 바바우의 네이아푸에 주요항구가 있고, 통가타푸에 있는 푸아모투 공항에서 국제항공을 이용할 수 있다.
정치와 사회
1875년 통가 헌법이 조지 투포우 1세에 의해 제정되었고, 그후 거의 개정되지 않았다. 이 헌법에 따라 군주를 국가와 행정부의 수반으로 하고 군주와 내각으로 구성된 추밀원이 신설되었다. 내각은 총리와, 군주에 의해 임명된 장관들, 하파이·바바우의 주지사들로 구성되었다. 단원제 의회가 있으며, 의원들의 일부는 3년마다 선거에 의해 선출되고 나머지 의원들은 임명된다. 수입관세가 재정의 주요수입원이다. 통가타푸·바바우·하와이 등의 섬에는 정부에서 운영하는 공공병원이 있고, 다른 섬에는 정부 운영의 진료소가 있다. 사람들의 건강상태는 대체로 양호하고 평균수명은 63세이다. 6∼14세의 초등교육은 의무적이고, 정부에서 무료로 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역사
통가에는 적어도 3,000년 전에 오스트로네시아인으로 불리는 사람들이 살았다. 이들은 피지 섬에서 발견된 것과 비슷한, 정교하게 장식된 라피타 도기를 만들었다. 통가는 최고의 권위를 가진 통치자를 중심으로 한 계급사회 구조로 발전했는데, 13세기에는 멀리 하와이까지 통치했다.
네덜란드 항해가인 야코프 레 마이레는 1616년에 타파히(옛 이름은 보스카웬)를 발견했으며 1643년 아벨 타스만에 의해 더욱 많은 탐험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실제적인 접촉은 1773년 영국 탐험가 제임스 쿡 선장이 이 제도에 도착해서 이곳을 프렌들리 제도라 명명하면서부터였다.
1826년 감리교 선교단이 들어와 전통적인 종교를 파괴했고, 타우파하우 추장을 개종시켰다. 그뒤 이 추장은 조지 투포우 1세 왕이 되어 통가의 모든 섬들을 통치했는데, 조지는 적어도 10세기부터 통치해왔던 왕들의 가문인 투이 통가의 자손으로서 1862년 법전, 1875년 헌법에 기초해서 제한된 군주제를 설립했다. 통가의 독립을 인정하는 조약이 독일(1876)·영국(1879)·미국(1888) 등과 각각 체결되었다.
1893년 조지 투포우 1세가 죽자 재정이 어려운 시절에 그의 손자가 왕위를 계승하여 조지 투포우 2세가 되었다. 1900년 영국과의 우호조약으로 외교관계에서 영국 영사의 도움을 받게 되었다. 1905년 영국의 영사가 통가의 외교문제 결정에서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조약이 개정되면서 통가는 영국의 보호국이 되었다.
1918년 조지 투포우 2세가 죽자 그의 딸이 왕이 되었고, 그녀는 1918∼65년 통가를 통치하면서 국민과 영국으로부터 신망을 얻었다(→ 대영제국). 그녀의 아들인 퉁기 왕자가 타우파하우 투포우 4세가 되었다. 1970년 6월 4일 통가는 영국 연방의 일원으로 완전 독립했다.
통가와 한국과의 관계
외교
통가는 1970년 9월에 한국과 수교를 맺었으며, 한국은 주 뉴질랜드 대사관이 겸임하고 있다. 1980년 12월에 외무부장관 겸 국방부장관인 투포우 왕세자의 방한으로 우호를 다졌고, 2011년 5월에 총리, 2014년 11월에 외교부차관이 방한했으며, 한국은 2010년 3월에 신임장 제정으로 주 뉴질랜드 대사가 방문했다. 한편 통가는 북한과 미수교 상태이다.
경제·통상·주요 협정
양국 간 교역은 미미하여 2023년 기준 대한국 수출액은 88만 달러이다. 한국은 1981년부터 어업연수생을 초청하여 교육시키고 있다. 한국은 통가에 1976년부터 태풍구호금·어로장비·어구장비를 무상 원조했으며, 1987~2016년 간 통가의 경제발전을 협력하기 위해 377만 달러를 지원했으며, 2006~2016년 간 100만 달러를 투자했다. 2018년 2월에는 태풍 사이클론으로 인해 막대한 피해를 입은 통가에 10만 달러 규모의 인도적 지원을 했다.
문화교류·교민 현황
2023년 기준 통가에는 24명의 재외동포가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 ・ 외교부
- ・ 주 뉴질랜드 대한민국 대사관
- ・ 한국무역협회 통계
- ・ 외교부 재외동포 현황(2023년 기준)
오세아니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