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페름기의 지구역사

다른 표기 언어

개요

페름기는 고생대 최후의 시대로서 약 2억 9,900만 년 전에 시작되어 약 2억 5,100만 년 전에 끝났으며, 중생대의 트라이아스기로 계속되었다. 페름계는 1841년 로드릭 머치슨에 의해 명명되었는데, 이 명칭은 이 시대 지층의 표식지인 우랄 산맥 서쪽에 위치한 페름이라는 지명을 딴 것이다.

암석

페름기의 해성층은 지향사와 지향사 주변의 대륙붕에 퇴적되었는데 차지향사인 천해 대륙붕에는 주로 석회암이 퇴적되었으며, 완지향사에는 사암과 셰일이 퇴적되고 이에 간간이 화산암이 분출되었다. 페름기에는 육성층도 상당히 퇴적되었는데, 이들은 주로 사암·역암·셰일로 되어 있으며, 석탄과 빙성층도 일부 지역에 퇴적되었다(→ 퇴적암).

생물

페름기 초기의 생물계는 전기 석탄기의 것과 매우 유사했지만, 말엽에는 많은 해양무척추동물이 절멸했다. 페름기말까지 삼엽충은 완전히 절멸해 지구상에서 자취를 감추었으며, 완족류·사사산호·방추충·해백합과 같은 수많은 해양무척추동물의 여러 종류가 절멸했다(→ 대량절멸). 반면 석탄기에 출현한 파충류는 여러 종류로 발전했다. 식물계에도 상당한 변화가 일어났는데, 양치식물은 석탄기에 비해 많이 쇠퇴했으며 페름기 중엽에는 은행류와 소철류가 출현했다.

고지리와 기후

페름기의 고지리는 후기 석탄기와 유사했다. 남반구에는 여전히 곤드와나 대륙이 존재했고, 북반구에는 앙가라 대륙과 에리아 대륙이 존재했다. 북아메리카에서는 애팔래치아 조산운동이 일어났으며, 석탄기에 시작된 바리스칸 조산운동은 페름기에 끝났다. 페름기에는 대서양이 열리기 시작했다. 페름기 초기에는 빙하작용이 우세한 한랭한 기후였으나 후기에는 건조한 기후로 바뀌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지구

지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페름기의 지구역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