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종교가 실존적인 개인의 경험에 바탕한 의식의 현상임을 전제하는 심리학적 탐구는 윌리엄 제임스(1842~1910)의 〈종교체험의 다양성 The Varieties of Religious Experience〉에서 그 전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종교심리학). 그는 여러 개인의 개종경험을 중심으로 연구했는데, 다양한 문화 속에 있는 종교제도의 다양성과 종교상징과의 연관을 밝히지 못했다.
이에 비하여 J. H. 루바(1868~1946)는 인류의 종교체험에서 보편적인 신비체험을 대상으로 하여 종교심성을 밝히려 하고 있다. 그와 같은 맥락에서 E. 언더힐(1875~1941)은 각 종교전통의 신비체험을 비교하고, 루돌프 오토는 인간의 성(聖) 체험 자체를 분석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보다 본격적인 심리학적 종교탐구는 지크문트 프로이트(1856~1939)와 카를 G. 융(1875~1961)으로 대표될 수 있다. 자아가 초자아를 제거하는 심리적 기제를 근거로, 종교의식은 죄의식으로부터 탈피하려는 환상적 지향이라고 설명한 프로이트는 종교를 유아기적인 강박관념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그의 종교이해가 무신론적인 성향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이론은 개인의 종교체험이 지니는 의식(意識)의 기제를 설명하는 교화적인 이론으로 수용되고 있다. 이에 반하여 융은 종교에 대하여 보다 긍정적·호의적이다. 그는 종교체험이 지니는 종교의식의 현실성을 실제적인 것으로 전제하고, 비록 신의 존재를 심리학적으로 실증할 수는 없으나 신을 경험하는 의식의 현상은 실증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더 나아가 그는 인류의 문화 자체가 지니는 집단무의식을 지적하고, 집단무의식에 내재한 원형을 종교체험의 토대로 상정한다. 그는 종교를 근원적인 인간 의식의 구조라고 주장한다. 이같은 논의로 인해 점차 종교 자체의 특성과 종교인의 경험적 요인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시켜 실증적으로 검증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에리히 프롬의 권위주의적 종교와 인간주의적 종교의 구분, M. 아르질의 종교행위의 양태분석에 따른 체험의 유형 연구 등이 이에 속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종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종교학의 심리학적 연구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