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세포적 수준
세포 수준에서 유성생식은 배수체의 핵상이 반감하는 감수분열과 반수체인 성세포가 융합해서 배수체가 되는 2가지 과정을 포함한다. 성세포인 배우자는 결합하여 접합자를 형성하게 되는데, 수배우자인 정자는 운동성이 있는 편모를 가지지만 암배우자인 난세포는 크고 비운동성이다.
그러나 이들 배우자가 형태적으로 구별할 수 없는 경우는 동형배우자접합, 크기에서 약간 차이를 가지는 경우를 이형배우자접합, 운동성의 정자와 비운동성의 난세포가 결합하는 경우를 난접합이라 한다.
대부분 선태식물과 관다발식물은 난접합형이며 이들 배우자는 각각의 장란기와 장정기에서 만들어진다.
개체적 수준
식물은 암수 배우자가 같은 식물체에 의해 생산되는 암수한그루[雌雄同株]이거나 암수배우자가 암수 식물체에서 따로따로 생산되는 암수딴그루[雌雄異株]이다. 그러나 암수한그루이더라도 언제나 자신의 난세포와 정자가 수정하는 것은 아니다.
선태류와 관다발식물에서 식물체는 2가지 핵상이 교대되는 이른바 세대교번이라는 과정이 반복된다. 배우체라고 불리는 반수체의 식물체는 유사분열을 통해 배우자를 만들고 이들이 수정하고 성장하여 2배체인 포자체를 만든다. 그리고 이 포자체는 감수분열로 포자를 만들며 포자는 배우체로 자란다.
조류(藻類)에서 포자체와 배우체는 서로 독립적으로 생활하지만 선태류에서는 포자체가 배우체에 착생하여 살며, 종자식물에서는 배우체가 포자체의 특수화된 기관 속에서 기생하여 산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생물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유성생식의 일반적 특성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