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블레이크의 초기생애

다른 표기 언어

양말제조업자인 아버지의 다섯 자녀 중 둘째로 태어났다.

런던에서 자랐으며, 근처 교외의 페컴라이에서 나무에 있는 천사들을 보았고, 들판에서 선지자 에스겔을 보았다는 등 어렸을 때 체험한 환상을 훗날 시로 표현했다. 화가가 되고 싶어 10세 때인 1767년 스트랜드가에 있는 헨리 파스의 미술학교에 다니기 시작했다. 독서를 많이 했으며 르네상스 시대 대가들의 그림을 판화에 새기면서 독학했다. 1772년 판화가 제임스 배사이어 밑에서 일하면서 판화의 기교를 철저히 배웠다.

배사이어는 그를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보내 그곳의 조각을 그리게 함으로써 고딕 미술에 대한 관심을 일깨워주었다. 1779년 견습기간이 끝나자 판화부 학생으로 왕립 아카데미에 들어갔다. 당시 교장이던 조슈아 레이놀즈 경을 몹시 싫어한 데다 자신의 재능을 허비하고 있다고 느낀 까닭에 그곳 생활은 순탄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왕립 아카데미에 다니는 동안 출판되는 책에 판화로 삽화를 그려 생계비를 벌었고, 독자적인 수채화법을 개발하기도 했다. 이무렵 조각가 존 플랙스먼과 화가 토머스 스토서드를 비롯해 뛰어난 젊은 예술가들을 사귀었으며 화가 헨리 푸젤리와도 친분이 있었다. 1782년 8월 18일 가난하고 무식한 소녀 캐서린 보처와 결혼했는데, 그녀는 그에게 완벽한 동반자가 되어주었다. 플랙스먼의 소개로 앤소니 S.매슈 목사부부를 알게 된 뒤로 한동안 이들이 여는 문학모임에서 관심의 초점이 되기도 했다.

플랙스먼과 매슈는 블레이크의 시집 〈W. B.의 습작시집 Poetical Sketches. By W. B.〉(1783)의 인쇄비를 대주었다. 12~20세 때 쓴 시들로 이루어진 이 시집은 주목할 만한 첫 시집으로서, 그중 몇편은 17세기 이후 영국 시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신선함, 때묻지 않은 상상력, 강렬한 서정성을 담고 있다.

블레이크는 매슈 부부의 집을 점점 찾지 않다가 마침내는 아예 발을 끊었다.

그뒤 그는 1780년대 급진적인 서적판매업자인 자신의 고용주 조지프 존슨의 집에서 모이던 진보적인 사상가들의 무리에 끼게 되었다. 1787년에 〈달에 있는 섬 An Island in the Moon〉이라는 환상적인 산문의 일부를 썼는데, 여기서 그 사상가들을 풍자했다. 아버지가 죽은 뒤 1784년 런던에 인쇄소를 차리고 남동생 로버트를 조수 겸 제자로 삼아 함께 살았다. 로버트는 1787년초 병이 나 2월에 죽었다.

동생을 극진하게 간호했던 블레이크는 로버트의 영혼이 기쁨에 차서 천장을 뚫고 날아올라가는 것을 보았다고 뒷날 말했다. 또 로버트의 혼이 자기 앞에 나타나서 인쇄업자에게 맡기지 않고도 책의 본문과 삽화를 새기는 방법을 가르쳐 주었다고도 말했다. 이 방법은 블레이크가 고안해낸 '채색 인쇄'로 양각 부식이라는 특수한 방법을 이용하여 본문과 그림 모두가 새겨진 활자판에서 책을 한 페이지씩 단색으로 찍어내는 것이다(철판인쇄). 이 방법은 그의 친구 조지 컴벌런드가 앞서 시도한 바 있었다.

그 다음에는 블레이크가 아내와 함께 각 페이지에 수채물감으로 채색을 하거나 물감을 섞어 인쇄를 하고, 종이표지를 씌워 제본한 뒤 2~3실링가량 받고 팔았다. 〈W.B.의 습작시집〉 뒤에 나온 대부분의 작품은 판화로 새겨 이런 식으로 출판되었기 때문에 독자 수가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 오늘날 동적인 디자인과 불타는 듯한 색깔로 된 이 '삽화 시집'은 세계적으로 진귀한 예술품에 속한다.

블레이크가 독창적인 새 인쇄법을 처음으로 사용한 책은 1788년경에 인쇄한 〈자연종교란 없다 There is No Natural Religion〉·〈모든 종교는 하나다 All Reli- gions are One〉라는 작은 책자이다.

이 2권 속에 그뒤에 펼쳐질 사상의 원형이 모두 들어 있다. 그는 당시 정설로 받아들여지던 인간의 정신에 대한 로크의 이론과 널리 퍼져 있던 합리주의·물질주의 철학에 과감히 도전했고, '무한한 존재', 즉 신을 인식하는 수단인 상상력이 다른 '인지기관'보다 우월하다고 주장했다. 이 소책자가 나온 바로 뒤에 창의력이 놀랄 만큼 발휘된 첫 걸작들을 발표했다. 〈순수의 노래〉(1789)·〈셀의 서 The Book of Thel〉(1789)·〈프랑스 혁명 The French Revolution〉(1791)·〈천국과 지옥의 결혼 The Marriage of Heaven and Hell〉(1793)·〈앨비언의 딸들이 본 환상 Visions of the Daughters of Albion〉(1793)·〈순수와 경험의 노래 Songs of Innocence and Experience〉(1794) 등의 작품이다.

이 작품들을 쓴 시기는 프랑스 혁명이 일어난 때와 우연히 일치했는데, 블레이크는 존슨의 가게에서 모이던 다른 회원들과 마찬가지로 처음에는 혁명을 열렬히 지지했다. 그러나 블레이크는 이신론·무신론·물질주의를 싫어했고, 교리에 얽매이지 않으면서도 깊은 신앙심을 지닌 점에서 다른 영국 혁명주의자들과 상당히 달랐다.

윌리엄 블레이크의 자화상

ⓒ wikimedia commons | Public Domain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종교

종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블레이크의 초기생애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