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555, 중국 장쑤 성[江蘇省] 화정(華亭) |
---|---|
사망 | 1636 |
국적 | 중국, 명(明) |
요약
중국의 화가·서예가·화론가.
(병). Dong Qichang. (웨). Tung Ch'ich'ang.
명대 말기의 가장 뛰어난 예술가 가운데 하나로 손꼽힌다. 당대 가장 유명한 미술전문가였던 그가 제시한 개념들은 중국 미학 이론에 계속 영향을 미쳤다. 가난한 사대부 집안에서 태어나 처음에는 과거시험에 떨어졌지만 34세 때인 1589년에 진사시험에 합격하여 처음 관직에 올랐고, 그후 잇달아 명 조정의 관직을 맡았다.
그는 중국화에 대한 저술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연상의 동료이자 친구인 막시룡이 처음 제시한 방법에 따라 중국화를 '북종화'와 '남종화'로 나누고, 그 계보를 추적하여 2갈래 전통을 분석했다. 남종화는 순간적이고 직관적인 진리의 깨달음을 강조한 반면, 북종화는 그러한 통찰력을 보다 점진적으로 터득하도록 가르쳤다고 주장했다.
남종화파에 속하는 화가들은 감수성이 예민한 시인과 문인화가들이었는데, 이들은 그림의 기능이나 아름다움을 의식적으로 생각지 않고 직관적으로 그렸기 때문에, 대중의 취향보다는 비슷한 감수성을 가진 상류층 지식인들에게 더 호소력을 갖고 있었다. 이와는 반대로, 북종화파의 '직업' 화가들은 자기 내면의 본질을 거의 나타내지 않고 즉각적인 시각적 호소력을 지닌 아름다운 화면을 창조하려고 애썼다. 남종화파가 추구한 학자적 이상 한가운데에는 서예가 있었다. 서예는 회화적 묘사를 전혀 개입시키지 않고 운필하는, 한 개인의 진정한 본질을 추상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동기창의 서예는 유명한 서예가인 조맹부와 문징명(文徵明),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진(晉)과 당(唐)의 대가들의 뒤를 이었다. 조맹부나 문징명과 마찬가지로, 동기창의 창작적 접근방식은 진지하고 잘 단련되어 있으며 학구적이고 체계적이다. 또한 고대의 문화를 되살리려고 노력하는 과정에서 본보기로 삼은 서체의 겉모습을 맹목적으로 답습하기보다는 그 정신을 파악하고자 했다.
동기창은 특히 원4대가인 황공망(黃公望)·오진·왕몽·예찬(倪瓚)을 좋아했다. 이들은 모두 문인화가로서 가장 높은 이상을 보여주는, 사심없는 성격과 개성적인 표현양식을 갖고 있었다. 동기창의 그림은 표현양식과 소재에서는 그들에게서 받은 영향을 드러내고 있지만, 예술에서 직관적인 미감을 모두 추방하는 대신, 있는 그대로의 형태와 겉보기에 파격적인 공간 묘사, 그리고 필묵의 부자연스런 운용을 강조했다는 점에서는 그들을 상당히 능가했다. 동기창의 글은 그의 다양한 저서에 뿐만 아니라 그림에도 실려 있다. 저서로는 〈화안 畵眼〉·〈화지 畵旨〉·〈화선실수필 畵禪室隨筆〉 등의 문집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