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명 말기 당나라 선종의 남북분파에 착안해 중국 산수화를 출신성분과 화풍에 따라 남북 2종으로 구분한 데서 비롯되었으며, 남종문인화라고도 한다. 문인들이 비직업적으로 수묵과 옅은 담채를 써서 내면세계의 표출에 치중하고, 시정적이며 사의적인 측면을 중시해서 그린 품격 높은 그림을 가리킨다.
한국에는 17세기 전반경에 유입되어 일부 문인화가들에 의해 소개되다가 1700년경 윤두서·정선 등에 의해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다. 그후 심사정·강세황 등을 중심으로 조선 후기 화단의 주도적인 화풍이 되었다. 18세기 후반 간략하면서도 거칠고 강렬한 토착적인 경향을 심화시키면서 점차 형식화되었는데, 19세기 전반 김정희는 본래의 문인화적 정신을 회복할 것을 강조했다. 8·15해방 후 주로 호남지방 화단을 중심으로 전통이 이어졌다.
명 말기의 동기창(董其昌)과 막시룡(莫是龍) 등이 당나라 선종(禪宗)의 남북분파(南北分派)에 착안해 중국 산수화를 출신성분과 화풍에 따라 남북 2종으로 구분한 데서 비롯된 명칭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남파(南派)라고도 했다. 문인화가들을 중심으로 전개되었기 때문에 남종문인화라고도 하며, 일본에서는 약칭으로 남화라고도 한다. 학문과 교양을 갖춘 문인들이 비직업적·여기적(餘技的)으로 수묵과 옅은 담채를 써서 내면세계의 표출에 치중하고, 시정적(詩情的)이며 사의적(寫意的)인 측면을 중시해서 그린 품격 높은 그림을 일컬으며, 북종화와 대비되는 개념을 지닌다.
동기창과 막시룡 등은 남종화의 시조를 당나라의 유명한 문인화가 왕유(王維)로 삼고 그 정통이 오대(五代)의 동원(董源)과 거연(巨然), 북송의 미불(米芾)·미우인 부자 등을 거쳐 원(元) 말기의 4대가인 황공망(黃公望)·예찬(倪瓚)·오진(吳鎭)·왕몽(王蒙)과 명대 오파(吳派)의 심주(沈周)·문징명(文徵明) 등에게로 이어졌다고 했다. 명대 오파에 이르러서 남종화는 전시대의 화법을 본받아 그리는 풍조에 따라 구도라든지 피마준(披麻皴) 등의 준법과 필법(筆法)·수지법(樹枝法) 등에서 정형화가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화풍은 남종을 숭상하고 북종을 업신여기는 동기창의 상남폄북론(尙南貶北論)에 힘입어 명 말기부터 문인화가들뿐 아니라 직업화가들에게까지 파급되었다.
한국에서는 이처럼 정형화된 남종화풍이 17세기 전반경에 유입되어 이영윤(李英胤)·조속(趙涑) 등의 일부 문인화가들에 의해 소개되다가 1700년경 윤두서(尹斗緖)·정선(鄭敾)·조영석(趙榮祏)에 의해 본격적인 수묵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문인화가의 다음 세대인 심사정(沈師正)·강세황(姜世晃)·이인상(李鱗祥)을 중심으로 정착되면서 조선 후기 화단의 주도적인 화풍으로 성행하게 되었다.
18세기 후반에 이르러 직업화가들도 남종화법을 구사하게 되었으며, 화풍은 간략하면서도 거칠고 강렬한 토착적인 경향을 심화시키면서 점차 형식화되었다. 이러한 형식화 현상에 대해 19세기 전반에 김정희(金正喜)는 남종화 본래의 문인화적 이념과 정신을 회복할 것을 강조하며 새바람을 일으키기도 했다. 남종화는 일제강점기를 통해서도 가장 큰 세력을 누렸으며, 8·15해방 후에는 주로 호남지방 화단을 중심으로 전통이 지속되었다.→ 북종화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미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