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꿀풀과

다른 표기 언어 Lamiaceae

요약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의 한 과. 약 180속(屬), 3,500종(種)으로 이루어졌으며 맛과 향기, 약효가 있어 사람들에게 아주 요긴한 식물로 여겨지고 있다. 줄기는 네모져 있고 잎은 쌍을 이루며 마주 난다. 대롱처럼 생긴 꽃의 꽃부리는 끝이 입술처럼 2개로 갈라지면서 벌어진다. 전 세계에 걸쳐 분포하지만, 특히 지중해 연안과 중앙아시아 동쪽에 집중 분포한다. 대부분은 햇볕이 좋은 초지에서 잘 자란다.

약 180속(屬), 3,500종(種)으로 이루어졌으며 맛과 향기, 약효가 있어 사람들에게 아주 요긴한 식물로 여겨지고 있다.

꿀풀과

실버타임 (silver thyme)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꿀풀과

웨스트링기아 (westringia)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꿀풀과

람스이어(stachys byzantina), 꿀풀과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줄기는 네모져 있고 잎은 쌍을 이루며 마주난다. 대롱처럼 생긴 꽃의 꽃부리는 끝이 입술처럼 2개로 갈라지면서 벌어졌고 꽃밑에는 5갈래로 갈라진 종처럼 생긴 꽃받침이 있다.

광대수염속에는 40~50종이 있는데 키가작고 잡초처럼 자라나 재배하기도 한다. 백리향속(Thymus)은 300~400종으로 이루어졌고 모두 유라시아가 원산지이다.

티무스 세르필룸(T. serphyllum)은 땅 위를 기는 식물로 잎에서 향기가 나고, 유럽이 원산지이지만, 지금은 북아메리카 동부지방에도 귀화식물로 자라고 있다. 이 식물의 잎과 꽃은 땅백리향(T.vulgaris)과 비슷한데, 음식의 맛과 향기를 위한 양념으로 쓰인다(→ 땅백리향)(사향초). 속단속(Phlomis)에는 약 100종이 있다.

이중 플로미스 투베로사(P. tuberosa)는 키가 2m까지 자라며 자주색 꽃이 무리지어 핀다. 이 식물은 유라시아가 원산지이며 북아메리카에도 귀화식물로 자란다.

영능향속에는 150종이 있으며 이중 영능향은 힌두교인들이 성스럽게 여기는 식물로, 아프리카와 아시아가 원산지이지만 요리용 양념으로 쓰기 위해 심기도 한다(→ 바질). 유럽이 원산지인 오리가눔속(Origanum)에는 15~20종의 식물있고 이들 중 마요라나(Origanum majorana/Majorana hortensis)가 제일 중요하다(→ 마요라나).

로즈메리(Rosmarinus officinalis)는 강렬한 향기 때문에 잘 알려졌고 지중해 연안에 자라는 3종 가운데 하나이다(→ 로즈메리). 역시 지중해 연안에 자라는 라벤더는 잎이 달리지 않는 긴 꽃대 끝에 향기가 나는 보라색 꽃이 수상(穗狀)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라벤더).

아프리카에 자라는 레오노티스속은 40종으로 이루어졌다.

레오노티스 네페타이폴리아는 열대 전역에 퍼져 자라고 있으며 길이 1~2m 정도 되는 줄기 끝에 주홍색을 띤 공 모양의 꽃송이가 많이 핀다. 히솝풀은 한때 약초로 이용하였다(→ 히솝풀).

유라시아산 개박하는 다년생 식물로 1m까지 자란다.

심장 모양의 잎은 부드러운 털이 있으며 고양이가 좋아하는 향기가 난다. 베토니카 오피키날리스는 한때 만능약으로 알려졌으며, 석잠풀속(Stachys)의 어떤 종은 민간치료제로 이용했다. 푸루넬라 불가리스(Prunella vulgaris)도 약초로 중요하게 쓰였다.

우리나라에는 26속 100여 종의 꿀풀과 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이중 골무꽃속(Scutellaria)의 골무꽃, 산박하속의 방아풀, 조개나물속의 조개나물, 꿀풀속(Prunella)의 꿀풀, 벌깨덩굴속의 벌깨덩굴, 익모초속의 익모초, 층층이꽃속의 층층이꽃, 향유속의 향유 등이 흔히 자라고 있다.

이밖에 골무꽃속 식물로는, 7~8월에 자주색의 꽃이 피며 바닷가에서 자라는 참골무꽃(S. strigillosa), 약으로 쓰기 위하여 심고 있는 황금(S. baicalensis)이 있으며, 중국에서 들여와 약으로 쓰기 위하여 심고 있는 단삼, 높은 산에서 자라는 백리향, 기름을 얻기 위하여 심고 있는 박하 등도 있다.→ 모나르다속, 박하속, 콜레우스속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2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꿀풀과

속씨식물 종류

추천항목


[Daum백과] 꿀풀과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