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테이블
원산지 중·남아메리카
크기 지름 5~7cm
학명 Ipomoea batatas
영양 성분 식이섬유, 단백질, 칼륨
고구마

ⓒ 농림축산식품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고구마는 식량부족시기에 서민들의 허기진 배를 채워 주었던 구황 작물이었다. 지금은 섬유질과 무기질이 풍부한 건강식품으로 각광받으며 국내 전역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다. 지역별로 다양한 품종을 개발해 재배하고 있으며, 식감에 따라 크게 호박고구마, 밤고구마, 자색고구마를 사용한다.

호박고구마는 육질이 호박처럼 노란색을 띤다고 해 붙여진 명칭으로 날것일 때는 주황색을 띠고, 익히면 짙은 노란색을 띤다.

밤고구마는 밤맛이 난다고 해 붙여진 명칭으로, 분질(粉質) 고구마라고도 한다. 찌거나 구웠을 때 육질이 단단하며 물기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자색고구마는 고구마의 항산화 성분인 안토시아닌이 많다고 알려지면서 인기를 끌고 있는 품종이다.

음식궁합

고구마를 섭취하면 가스가 발생하기 쉬운데 사과 속의 펙틴이 정장작용을 해 소화에 도움을 준다.

고구마와 사과

ⓒ 농림축산식품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활용

고구마의 당도로 단맛을 잡다

고구마는 당도가 높아 반찬보단 간식, 보조주식의 개념이 강하다. 하지만 가공하기에 따라서 무한변신이 가능하다. 특히 고구마를 활용해 만든 소스류(고구마 조청, 고구마 설탕, 고구마잼)는 천연 단맛과 더불어 고구마 특유의 구수한 맛이 메뉴 선호도를 높인다.

컬러푸드 열풍, 분말 활용

최근 컬러푸드 열풍의 중심에 있는 자색고구마는 분말화해 각종 식품에 첨가하면 건강과 더불어 보는 즐거움을 더한다. 자색고구마 음료 및 떡국, 수제비, 냉면, 새알심 등 각종 식품에 색을 더할 수 있으며, 안토시아닌 성분이 풍부해 항산화 작용을 돕는다.

식후 디저트로 고구마 간식 어때요?

최근에는 고구마를 활용해 지역별로 다양한 가공식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고구마 페이스트, 고구마 스틱, 고구마 반시, 고구마 음료 등 종류도 다양하다.

유명 레스토랑과 고구마의 콜라보레이션

유명 레스토랑의 로컬식재료 사용이 늘면서 고구마도 각종 요리에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고구마를 꿀 등에 마리네이드하거나 구운 고구마를 가니쉬로 활용하기도 하며, 삶은 고구마를 으깨 고구마 막걸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고구마 수프, 고구마 티라미수, 고구마 타르트, 고구마 아이스크림, 타락죽, 고구마 빠스 등은 한정식은 물론 양식 레스토랑에서 코스요리로 활용하기 좋다.

특징

고구마 품종의 특성에 따른 당도와 분질·점질, 색깔 등을 고려해 음식에 활용한다.

주요 생산지

1. 인천 강화군

세부지역 : 강화읍, 양도면
수확시기 : 9 ~ 10월
특징 : 강화도 해변가 지역에서 생산되는 강화속노랑고구마를 지역 로컬브랜드로 상품화했다.

2. 전북 익산시

세부지역 : 덕기동, 낭산면, 삼기면
수확시기 : 9 ~ 10월
특징 :
1. 익산 황토땅에서 자라 섬유질과 비타민 무기질이 풍부하다.
2. 익산 농특산물 브랜드 탑마루로 육성했다.

3. 전남 해남군

세부지역 : 화산면, 마산면, 해남읍, 산이면
수확시기 : 9 ~ 10월
특징 :
1. 전남 생산량의 50% 이상 생산량을 자랑한다.
2. 전국에서 가장 많은 황토면적을 가지고 있어 당 함량이 높고 식이섬유와 무기질 성분도 많이 함유돼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식재의 재발견
식재의 재발견 전체항목 도서 소개

35가지 숨은 식재료들의 수확시기, 산지정보, 활용법 등의 정보를 담았다.

농림축산 식품,aT
TOP으로 이동


[Daum백과] 고구마식재의 재발견, 농림축산 식품,aT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