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신라 조회순 목록
-
양산출토금동반가사유상 (梁山出土金銅半跏思惟像) 신라시대의 금동반가사유상. 높이 27.5㎝.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975년 당시 경상남도 양산군 물금면 공업단지 조성중에 출토된 청동상으로..
-
금강산 신계사 (신계사, 金剛山 神溪寺) 강원특별자치도 고산군 외금강면 금강산(金剛山)에 있었던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보운이 창건한 사찰. 31본산 중의 하나인 유점사(楡岾寺)의 말..
-
금관총 금관 및 금제 관식 (金冠塚 金冠 ─ 金製 冠飾) 국보(1962.12.20 지정). 전형적인 신라식 금관으로서 둥근 테 중앙과 좌우에 3개의 출자 모양 입식과, 뒤쪽에 2개의 사슴뿔 모양 입..
-
호우총 (노서동 제140호분, 壺杅塚)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 시기의 돌무지덧널무덤. 적석목곽분. 사적. 광복 직후인 1946년 한국인에 의해 최초로 고고학적으로 발..
-
아달라이사금 (신라 제8대 국왕, 阿達羅尼師今) 신라 제8대 왕이자 일성이사금의 장남으로 성은 박, 이름은 아달라, 칭호는 이사금. 재위 기간동안 소백산맥을 넘어 북쪽으로 이어지는 계립령길..
-
동시전 (東市典) 신라시대 수도인 경주에 설치된 동시(東市)의 업무를 관장하기 위해 509년(지증왕 10)에 설치한 관서. 신라는 469년(자비마립간 12)에..
-
보은 법주사 (報恩 法住寺) 법주사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의신이 창건한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속리산(俗離山)에 있는 사찰이다. 진표의 제자 영심이 중창하면서 미륵신..
-
거서간 (거슬한, 居西干) 신라 초기의 왕호. 시조 박혁거세를 거서간이라고 했다.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보면 "거서간은 진한 사람들의 말로 왕을 뜻한다. 또는 귀인을..
-
서봉총 (노서동 제129호분, 瑞鳳塚) 서봉총은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돌무지덧널무덤이다. 일제강점기에 발굴되었는데 당시 스웨덴의 황태자가 참여하여 봉황 장식의 금..
-
신라토기 (Silla Pottery) 고대국가 신라 영역에서 생산하여 소비한 일체의 토기. 신라토기는 신라의 성립 시기부터 멸망할 때까지 신라영역에서 생산·소비된 토기를 지칭하지..
-
경주 태종무열왕릉비 (慶州太宗武烈王陵碑)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에 있는 신라 제29대 태종무열왕릉의 비. 능에서 약 40m 앞 좌측에 있다. 귀부를 아주 생동감있게 표현했는데, 목을..
-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 (求禮 華嚴寺 覺皇殿 ─ 石燈) 화엄사 각황전 앞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석등. 기단부·화사석·상륜부를 모두 갖춘 완전한 형태의 팔각석등으로 현존하는 우리나라 석등 가운데 가장..
-
영천 청제비 (永川 菁堤碑) 경상북도 영천시에 있는 영천 청못 축조 관련 기적비. 보물. 영천 청제비(永川菁堤碑)는 경상북도 영천시 도남동 산7-1번지에 있으며 영천 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