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구마와 감자의 차이고구마와 감자는 전분이 풍부하다는 점에서 서로 같지만 차이점이 더 많다. 가장 큰 차이점은 고구마는 뿌리가 변해서 생긴 것이고, 감자는 줄기가 변해서 생긴 것이다. 그래서 고구마는 덩이뿌리라 하고 감자는 덩이줄기라고 한다. 하지만 이것 뿐만 아니라 고구마는 생고구마 그대로 단맛이 나지만, 감자는 생 것으로...
-
원료 식품별 가공방법, 전분 제조 및 전분 가공이용된다. 고구마를 물로 씻어 솥에서 90분 정도 쪄서 불을 끄고 20~30분 두어 뜸을 들인 후 껍질이 쉽게 벗겨지게 하기 위해 찬물을 뿌리고 뚜껑을 닫아 10분...이는 주성분이 과당으로 맛을 좋게 한다. ③ 매시드 포테이토(Mashed potato) 감자를 세정 선별, 정형 후 얇게 자른다. 예비가열을 하여 일부전분을 호화...
-
고구마의 형태 및 생리 ・ 생태수량의 차이가 적어 비교적 안정된 수량을 얻을 수 있다. (3) 고구마는 생육기간의 조절이 용이하다 고구마는 생육기간의 조절이 비교적 용이하여 심는 시기가 늦거나 거두어들이는 시기가 이르더라도 어느 정도는 수확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노력의 분배 또는 작부체계로 보아 유리한 재배를 할 수 있다. 우리나라...
-
고구마, 병해충 방제다소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평균 2개 이상 덩이뿌리 무병 묘가 감염 묘에 비해 많이 달렸다. 또한 수확 후 표피 및 육색이 퇴색되며, 덩이뿌리의 모양도 불규칙...육질 안쪽은 코르크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그림6-16>. ◎ 전염 경로 고구마 바이러스는 대부분 매개충 혹은 사람에 의해 전염이 된다. 고구마...
-
-
-
식품 食品식품이다. 감자와 고구마는 곡류는 아니지만 전분을 위주로 하는 식품으로서 열량원으로 중요한 구실을 한다. 채소와 과일류는 다 같이 수분이 대부분(80∼95%)이며, 약간의 탄수화물과 아주 적은 양의 단백질을 함유한다. 이 중에서 조섬유는 섬유소와 펙틴질 등으로 되어 있어 소화가 되지는 않으나 변비에는 좋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생활/식생활
-
건강하게 탄수화물 먹는 방법! 알려드리겠습니다!열량의 차이입니다. 섭취한 열량보다 더 많은 열량을 소비하면 체중은 줄게 됩니다. 지방은 탄수화물보다 열량이 2배 이상 많기 때문에 같은 양을 줄일 경우 지방을 줄이는 것이 장기적으로 살을 빼는데 더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고중성지질혈증이나 당뇨병이 있는 경우에는 탄수화물을 줄이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
농산물 農産物저장(감자·무·과실 등), ③ 굴저장[橫穴貯藏:고구마 등], ④ 저온저장고 또는 온돌저장(고구마같이 저장적온이 높은 것들), ⑤ 저온저장고 저장(과실·양파·마늘 등), ⑥ 창고저장(일반창고로서 곡류 등) 등의 방식이 있다. 농산물이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까지 거래되는 전과정, 즉 생산자가 수확한 농산물을...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함흥냉면 쇠심줄보다 질겨야 함흥냉면비벼 먹어야 제맛을 느낄 수 있다. 평양냉면과 함흥냉면을 구분하는 본질적 차이는 국수를 만드는 면의 재료다. 원칙대로 만들자면 평양냉면은 메밀로 면발을...뽑는다. 지금은 평양냉면에도 메밀에 전분을 섞고, 함흥냉면 역시 감자 전분이 아닌 고구마 전분으로 만든다고 하니 원초적인 평양, 함흥냉면에 비해 진화...
- 분류 :
- 면류
-
향토음식 鄕土飮食뚜렷하고 그 생활양식의 차이가 있다. 해촌은 식물 지대 및 평야 식물 지대보다 아래쪽에 있는 마을로 해녀들이 잠수 어업을 많이 한다. 양촌은 평야 식물 지대...적고 산도(山稻)·육도(陸稻)라는 밭벼가 있고, 밭곡식은 조·피·보리·메밀·콩·팥·녹두·깨 등 잡곡이 주가 되고, 감자·고구마의 생산이 많다. 채소...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생활/식생활
-
벽동군 碧潼郡한서의 차이가 크다. 연평균기온 7.3℃, 1월 평균기온 -14.5℃, 8월 평균기온 24.3℃로 여름과 겨울의 연교차가 무려 39℃에 달한다. 연강수량은 802.6㎜로 비가 적은 편이다. 역사 [고 대] 구석기 · 신석기시대의 유물 · 유적은 발견된 적이 없으나 이웃의 의주군 미송리에서 신석기시대 유물 · 유적이 발견...
- 유형 :
- 지명
- 분야 :
- 지리/인문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