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향리 장리(長吏), 鄕吏
    향리는 고려 ·조선시대에 지방 행정의 말단을 담당한 계층이다. 고려시대의 향리는 외관과 더불어 지방 행정의 말단을 담당한 계층이며, 조선의 향리는 지방 관청의 행정 실무를 담당한 하급 관인 계층이다. 향리는 나말 여초의 호족에서 기원하는데, 지방관이 파견되며 점차 세력이 약화되고 신분·역이 고정되었다. ...
    시대 :
    고려
    유형 :
    제도/관직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향리 鄕吏
    전근대사회에서 지방 행정실무를 담당하던 계층.|향리는 고려시대 군현에서 지방관의 지휘와 통제를 받으면서 민에 대한 조세수취와 역역징발에 관한 행정실무를 실질적으로 수행했다. 이들은 소속된 군현의 관격에 따라 부리·군리·현리·부곡리 등으로 호칭되었고, 장리·외리로 총칭되었다. 향리라 불리는 세력은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 취락 마을, 聚落
    인류가 생활하기 위해 지표를 점거한 주거양식.|한국의 마을과 벌에 해당한다. 한문화권(漢文化圈)에서는 촌락(村落)·부락(部落)·향리(鄕里) 등과 함께 유사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취락 본래의 의미를 살려 재창조한 슈라쿠[集落]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어원은 회(會)의 의미를 지닌 '한곳...
  • 고향 (동의어 향리) 故鄕
    고향은 태어나서 자라고 살아온 곳, 혹은 마음속 깊이 간직한 그립고 정든 장소이다. 나의 과거가 있고 정이 든 곳으로, 일정한 형태로 나에게 형성된 하나의 세계이다. 이처럼 시간·공간·마음이라는 세 가지 요소가 불가분의 관계로 굳어진 복합된 심성을 담고 있다. 산천이라는 자연을 포함시켜 고향산천이라고도 하...
    유형 :
    개념
    분야 :
    문학/현대문학
  • 향리
    고려나 조선시대 때 지방에서 행정의 실무를 담당했던 최하위 관리를 칭한다.
  • 공리 (동의어 향리) 貢吏
    고려와 조선시대 각 고을의 전세와 공물 등의 납부를 담당하던 향리.|조선 시대에는 향리 가운데서 상층에 해당하는 수호장과 기관층에서 지식이 있고 재산이 넉넉한 자를 뽑아 정하는 것이 원칙이었다. 전세는 이들이 세곡 운반을 맡는 납호들을 거느리고 정해진 포구에 납부하였다. 중앙의 각 관서에 바치는 공물은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삼반체제 (동의어 향리) 三班體制
    고려·조선 시대의 향리조직.|맡은 임무에 따라 향리의 지도층인 호장층, 실무 조직인 병정·사옥정 등의 기관층(후에 육방), 군무를 담당한 장교층(혹은 도군)의 3조직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수위자로 상호장(혹은 수호장)·조문기관(조선 후기에는 이방)·도령을 두었다. 삼반의 내부는 상중하의 3단으로 나누어 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향리 (관리)
    향리(鄕吏)는 고려와 조선시대 지방 관청에 속해 있던 하급 관리이다. 향리는 본래 각 지방의 호족에서 유래했는데, 지방 행정 단위에 있는 6방의 사무를 분장하였으며, 향역(鄕役)이라 하여 세습적으로 그 의무를 맡게 되어 있었다. 이들은 지방 사정에 생소한 양반 관리를 움직여서 지방 행정을 실질적으로 운영해...
    도서 위키백과
  • 향리
    향리는 다음을 의미한다. 향리(鄕吏)는 조선시대 지방 관청에 속해 있던 하급 관리이다. 향리(香里)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다. 경기도 양평군 개군면 향리
    도서 위키백과
  • 고려시대의 향리
    태조 때부터 일부지역에서 시행되기 시작했으며, 983년(성종 2)에는 당대등·대등과 같은 지방세력의 독자적인 통치기구를 호장·부호장 등으로 개편한 향리직제를 마련해 그 제도적인 골격이 형성되었다. 이후 일련의 군현개편과 함께 향리제는 제도적으로 정비되어갔다. 1018년(현종 9) 군현의 규모에 따라 향리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 조선시대의 향리
    고려 중기 이후 향리제도가 변하기 시작했는데, 그 추세는 고려말·조선초에 더욱 가속화되었다. 이를 더욱 부추긴 것은 속현과 부곡제의 해체, 군현의 영역 조정과 병합과 같은 대대적인 군현개편이었다. 속현이나 부곡, 병합된 군현에 거주한 향리들은 자신들의 지위를 상실하거나 다른 지역으로 이속됨으로써 정치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 향리 鄕吏田
    향리외역전이라고도 한다. 전시과 규정에는 나타나지 않으나 고려 목종(穆宗) 때 이미 향리전을 지급했다는 기록이 있다. 그러나 토지의 지급방식이나 얼마만큼의 토지가 지급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다만 목종 때 안일호장(安逸戶長:70세 이상으로 퇴역한 호장)에게는 직전(職田)의 반을 지급한다는 규정이 있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건

순천 낙안읍성 향리댁
순천 낙안읍성 향리댁 안채 정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