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글 맞춤법 (동의어 한글 맞춤법) 맞춤법, 한글 맞춤法문자체계로 한글 자모를 확립하여 국어를 표기하는 규범. 맞춤법·철자법. 내용 따라서, 한글맞춤법이라 할 때에는 한자(漢字)를 비롯한 외래문자체계에 의한 표기규범은 해당되지 않는다. 이러한 점에서 한글맞춤법은 국어정서법(國語正書法)과는 구별된다. 국어정서법은 국어를 올바르게 표기하는 규범이므로 한글로...
- 유형 :
- 개념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한글맞춤법통일안내용 한글맞춤법통일안은 많은 호응을 받아 널리 채택되다가 1948년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채택함에 따라 그 뒤 우리나라 정서법의 법전(法典)이 되었다. 총론 3항, 각론 7장 63항, 부록 2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1) 제정경위 개화기를 맞은 우리나라는 한글을 공용문(公用文)으로 채택하고, 또 학교를 세워 각종 교과서...
- 시대 :
- 근대
- 성격 :
- 정서법통일안
- 유형 :
- 제도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한글 맞춤법(맞춤법)관한 것, 형태에 관한 것, 띄어쓰기, 그밖의 것으로 이루어진 본문 6장과 문장 부호를 담고 있는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1933년에 조선어학회가 제정한 '한글맞춤법통일안'을 근거로 하여 만들어진 것인데, ' 한글맞춤법통일안'을 제정한 것이 이미 50여 년 전의 일이므로 현재 언어와의 거리와 그에 따른 문제점들이...도서 다음백과
-
한글 마춤법 통일안 한글맞춤법통일안, 한글 마춤法 統一案내용 1930년 12월 14일 조선어학회 총회에서 한글맞춤법 통일안을 제정하기로 결의하고 2년 간 심의를 거듭하여 1932년 12월에 원안 작성을 마쳤다. 원안 작성에는 권덕규(權悳奎), 김윤경(金允經), 박현식(朴顯植), 신명균(申明均), 이극로(李克魯), 이병기(李秉岐), 이윤재(李允宰), 이희승(李熙昇), 장지영(張志暎...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제도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우리말바로쓰기사전]<한글 맞춤법>의 원칙갖는다. 1)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 2)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 3)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음. 용법과 해설 1)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 이 조항은 한글 맞춤법의 대원칙이라고 볼 수 있다. 표준어로 정한 언어를 소리나는 대로 적지만, 소리나는...
-
한글맞춤법통일안강의 한글맞춤法統一案講義한글맞춤법통일안」이 제정, 공포되었다. 「한글맞춤법통일안」은 문체가 간단하고 뜻이 너무나 압축되어 전체의 내용을 쉽사리 알 수 없으므로, 「한글맞춤법통일안」의 체재를 그대로 따라 각 조항에 대한 설명과 해석을 붙여 조선어학회의 기관지 『한글』 제6권 제1호(1938.1.1.)로부터 제8권 제3호(1940.4.1.)까지...
- 시대 :
- 현대
- 유형 :
- 문헌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조선어학회, 한글맞춤법 통일안 발표그래서 당시 한글학자들은 한글을 바로 세우는 것이 자주국가의 기틀을 세우는 일임을 깨닫고 준비합니다. 특히 1930년 12월 13일 조선어학회 총회에서 한글맞춤법통일안을 제정하기로 결의하고, 권덕규·김윤경·박현식·신명균·이병기·이희승·이윤재·장지영·정인승·최현배를 포함한 위원 12명이 2년 동안 심의를...
- 날짜 :
- 1933년 11월 04일
-
조선어학회의 한글맞춤법통일안 제정10월, 조선어학회가 한글맞춤법통일안을 발표했다. 통일안의 핵심 내용은 ▶우리 말을 소리 나는 대로 적되 어법에 맞게 하고 ▶서울(경성) 중류층이 쓰는 말을 표준어로 정하며 ▶각각의 단어는 띄어 쓰되 토는 앞 단어에 붙여 쓴다는 것이다. 조선어학회는 1930년 한글맞춤법통일안을 제정하기로 결의한 지 3년 만에...
- 시대 :
- 1933년 10월
- 국가/대륙 :
- 한국
-
한글 맞춤법 제1장 총칙제1항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제2항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제3항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