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글의 ·현대사
    한글이 본격적으로 우리의 어문생활에 등장한 것은 1894년(고종 31)의 갑오개혁을 기점으로 한다. 즉 1894년 11월 칙령 제1호 공문식(公文式)이 공포되어 기존의 한문 대신 국문을 공문으로 했는데, 제14조에는 이런 조치가 지나치게 혁신적이고, 이상적임을 인식했던지 국문을 본으로 하고 한문 번역 또는 국한문을 덧...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한국현대문학관 韓國現代文學館
    으로 개칭하고 장충동으로 이전하여 재개관하였다. 기능과 역할 ‘한국현대문학관’은 한글창제에 담겨 있는 애민정신과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등 격동의 ·현대사를 거쳐 오면서도 치열하게 모국어를 지키고 가꾸어온 문학인들의 노력의 실체인 문학 자료를 전시함으로써 우리말과 글을 보존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획...
    위치 :
    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동2가 186-210
    설립 :
    1997년 11월 8일
    성격 :
    박물관, 문학박물관
    유형 :
    단체
    설립자 :
    전숙희
    분야 :
    문학/현대문학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