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충청남도 忠淸南道대한민국의 중서부에 위치하는 도. 개관 동쪽은 충청북도 청주시 및 진천군 · 보은군 · 옥천군, 서쪽은 황해, 남쪽은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 완주군 · 군산시, 북쪽은 경기도 평택시 · 안성시와 각각 접하고 있다. 위치는 동경 127°38'∼125°32', 북위 35°58'∼37°03'이다. 면적은 8,204.50㎢이고, 인구는 ...
- 유형 :
- 지명/행정지명ˑ마을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충청남도 忠淸南道대한민국 중서부 일대를 아우르는 행정구역. 백제의 문화가 융성했던 곳이다. 1896년 13도제가 실시되면서 충청남도로 명명되었고, 철도와 고속도로의 발달로 수도권과 전라도의 중간지 역할을 담당했다. 2012년 도청이 홍성군으로 이전하면서 내포신도시가 개발되었다. 면적은 8,203.89㎢, 인구 2,130,509(2024). 대...
- 위치 :
- 대한민국 중서부
- 인구 :
- 2,130,509 (2024)
- 면적 :
- 8,203.89㎢
- 행정구역 :
- 8개시 7개군 24개읍 137개면 44개동
- 사이트 :
- http://www.chungnam.net/
-
충청남도 (일제강점기) Chūseinan-dō, 忠清南道 (日本統治時代)충청남도(忠淸南道, 106.44km2(1940년 당시 기준), 인구는 1,675,479명(1944년 당시 기준), 인구 밀도는 206.7명/km2이다. 현재의 대한민국의 대전광역시의 전체 지역, 세종특별자치시와 충청남도의 대부분 지역에 걸쳐 있었으며 1개 부, 14개 군을 관할했다. 연도 인구 인구 그래프 비고 1925년 1,282,038명 새막대...도서 위키백과
-
충청남도의 산업과 교통아산시·예산군의 과수원 면적이 가장 넓다. 사과가 가장 많이 재배되어 생산량이 경상북도 다음으로 많으며, 배·복숭아·포도의 생산도 적지 않다. 충청남도는 대소비지인 수도권과 가까워 축산업이 성하며, 특히 돼지를 전국에서 가장 많이 사육하고, 젖소도 경기도 다음으로 많이 기른다. 목장용지도 수도권에...
-
외암마을 용이 제 몸을 휘감아 꼬리를 돌아보다못하고 저절로 흩어져 사라진다. 그러므로 집터를 잡을 때는 반드시 수구가 꼭 닫힌 듯하고 그 안에 들이 펼쳐진 곳을 눈여겨보아 구할 것이다." 외암마을은 충청남도의 유비쿼터스 시범 마을 1호다. 각 가옥에 유비쿼터스 단자가 보급되어 한국의 정보화 마을 성공작으로 알려진다. 비상사태가 일어났을 때 누구나 끈만...
- 위치 :
- 충남 아산군 송악면
-
충청남도의 자연환경용수원이 되고 있으며, 예산군의 예당저수지는 내륙의 관개용 저수지로서는 국내 최대의 규모이다. 대전광역시와 충청북도 청원군·옥천군에 걸쳐 있는 대청댐은 총저수량 14억 9,000만t, 시설용량 9만kW로 1980년에 완공되었으며, 대전광역시뿐만 아니라 충청남도의 여러 시·군에까지 공업 및 생활용수를 공급하고...
-
충청남도의 식재충청남도는 공주시, 논산시, 당진시, 금산군, 부여군 등 8개 시와 7개 군으로 이루어졌다. 논밭경지 면적이 전남 전북에 이어 세번째로 많고 전북, 전남에 이어 농가 비중이 높아 농특산물 생산기반이 잘 갖춰져 있다. 평균 강수량은 전국평균보다 높고, 기후가 대체적으로 온화하나 전체적으로 대륙성기후이며 동해안...
-
공주시 웅진, 公州市능치 · 우금치에서 관군 및 일본군과 싸워 패하였다. 1895년(고종 23) 충청도가 충청남북도로 양분되면서 공주군으로 개칭되고 공주부가 신설되어 충청남도의 수부로 관찰사가 주재하면서 인근 27개 군을 관할하였다. 1911년 일제의 강점 후에도 충청남도의 도청소재지로서 종전의 관찰사를 도의 장관으로 개칭하였다...
- 유형 :
- 지명/행정지명ˑ마을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계룡산 계람산(鷄藍山), 鷄龍山시작하였으나, 조운(漕運)의 불편 등 왕도로 적합하지 않다는 결론에 따라 중단하였으며, 지금도 부남리에는 초석으로 다듬어진 암석이 94개나 있어 1976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그곳에는 동문거리 · 서문거리 등의 지명과 함께 신도 역사의 인부들이 일을 마치고 짚신을 털어 봉우리가 되었다는...
- 유형 :
- 지명/자연지명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충청남도의 교육·문화·관광충청남도에는 2008년 현재 유치원 526개소, 초등학교 430개교, 중학교 191개교, 고등학교 116개교, 전문대학 10개교, 대학교 26개교가 있다. 근래 순천향대학교·호서대학교·건양대학교 등과 전문대학 및 서울 소재 대학들의 분교(지방 캠퍼스)들이 아산·천안·조치원 등지에 새롭게 많이 입지하고 있다. 공주시에는...
-
충청남도의 지역개발제1·2차 국토종합개발계획기간 동안 대전이 성장거점도시로 육성됨에 따라 충청남도의 지역구조는 대전 위주로 편성되었다. 따라서 종래 지역개발사업은 충청남도 북부 및 대전 일대에 치중되어 중앙 내륙과 서해안지방은 혜택이 적었다. 특히 중앙 내륙지방은 철도나 고속도로가 지나지 않아 기반시설 마저 취약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