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지질·지형
지질시대로 보아 매우 오래된 것으로 대부분 선캄브리아기의 결정편마암·편마암과 중생대말 이전에 형성된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른 지질시대의 지층으로는 시생대의 결정편암계가 당진군·태안반도·안면도 일대와 공주시·논산시 등지에 분포하며, 원생대의 화강편마암계는 대체로 차령산맥을 따라 형성되었고, 신생대층은 금강유역에 일부 분포한다.
지형은 평균고도가 100m 내외로 전국에서 가장 저평한 지역 가운데 하나이지만 차령산맥이 북동-남서 방향으로 도의 가운데를 비스듬히 지나 예로부터 경기도지방과 호남지방의 문화지역을 가르는 지형적 장애가 되어왔다.
차령산맥은 중생대에 형성된 습곡산맥으로 오랜 세월 동안 침식되어 도의 중앙부에 광덕산(廣德山:699m)·무성산(武盛山:614m)·칠갑산(七甲山:561m)·성주산(聖住山:680m) 등이 솟아 있기는 하지만 전반적으로 연속성이 적은 노년기 산지가 되었다. 이 산맥은 분수계를 이루어 서북사면에 삽교천 수계, 동남사면을 따라 금강 수계를 발달시켰다. 서북사면에는 삽교천과 곡교천이 예당평야를 이루었고, 멀리 경기도와의 경계 부근에 있는 안성천에 이르기까지 너른 들이 이어져 주요농업지대를 이룬다. 또한 구릉지대도 많아 과수원이 많은 곳이기도 하다.
예당평야를 건너 서북부는 다시 고도가 높아져 가야봉(伽倻峰:678m) 등이 솟아 있다. 가야산지는 그 규모는 크지 않으나 고도는 비교적 높으며, 덕산도립공원과 수덕사 등의 관광자원이 있다. 가야산지 서쪽은 서해에 면한 태안반도 일대로, 구릉성 산지이며 큰 하천이 발달하지 못했다. 해안선은 드나듦이 심하여 아산만·가로림만·안흥만·천수만을 비롯한 크고 작은 만이 수없이 발달했고, 밀물과 썰물의 차가 커서 개펄이 넓게 발달했다.
개펄은 예로부터 염전으로 이용되거나 농경지로 간척되어 왔으며, 근래에는 대규모 간척사업이 활발하여 해안선의 모습이 더욱 빠르게 달라지고 있다. 서해에는 섬이 상당히 많지만 안면도를 제외하면 대부분 그 규모가 작다. 안면도는 본래 본토에 연결된 땅이었으나 과거 수로를 개설하면서 섬으로 바뀌었다. 차령산맥의 동남사면을 흐르는 금강은 남한 4대강의 하나로, 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신무산(897m) 북동쪽 계곡에서 발원하는 본류와 충청북도에서 발원하는 미호천이 연기군에서 합류하여 공주시와 부여군을 지나 강경부터는 전라북도와의 행정경계를 이루며 서해로 흘러 들어간다.
금강유역에는 논산평야·강경평야를 비롯하여 평야와 분지가 넓게 발달했다. 또한 공주와 대전 사이에 계룡산(鷄龍山:845m)이 솟아 있으며, 도의 동남쪽 끝인 금산군에서는 다시 산지가 시작되어 대둔산(大芚山:878m)에 이어 전라북도의 진안고원으로 이어진다.
기후
한반도 중부지방의 기후, 즉 비교적 온난하고 4계절이 뚜렷한 동시에 대륙성기후이다.
연평균기온은 11~13℃이며, 8월평균기온 24~26℃, 1월평균기온 -3~-1℃로 연교차가 비교적 크다. 겨울에는 북서풍의 영향으로 같은 위도상의 동해안보다 춥고 서북해안에서는 적설량도 비교적 많다. 기후구로는 도의 대부분이 남부서안형(南部西岸型) 기후구에 속하며, 북부 경기도와의 경계 일대는 중부서안형(中部西岸型) 기후구에 속한다. 연강수량은 1,100~1,350㎜로 내륙의 공주·부여 등 금강유역과 서북부 태안반도 일대는 도내의 다우지를 이루는 반면 일부 섬에서는 비가 적게 온다.
식생·육수
온대림지대로서 도내 삼림의 50.5%가 침엽수이고, 23.5%가 활엽수, 나머지 22.5%가 혼효림으로 구성되어 있다.
임야면적이 넓은 지역은 공주시·금산군 등지이다. 북부지방은 중부서안형 기후구와 남부서안형 기후구의 경계에 해당하는 곳으로 대나무·쌀보리의 재배 북한계선이 이곳을 지난다. 태안군 안면읍 승언리의 모감주나무 숲, 서천군 서면 마량리의 동백나무 숲, 보령시 오천면 외연도리의 상록수 숲 등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차령산맥 이남 지방은 금강 수계로서 물이 비교적 풍부하지만 차령산맥 이북에는 큰 강이 없어 수자원이 빈약하다. 삽교천·대호·아산만 방조제 등에 의해 생긴 거대한 인공호수들은 이 지방의 용수원이 되고 있으며, 예산군의 예당저수지는 내륙의 관개용 저수지로서는 국내 최대의 규모이다.
대전광역시와 충청북도 청원군·옥천군에 걸쳐 있는 대청댐은 총저수량 14억 9,000만t, 시설용량 9만kW로 1980년에 완공되었으며, 대전광역시뿐만 아니라 충청남도의 여러 시·군에까지 공업 및 생활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충청남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충청남도의 자연환경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