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존재 存在, Being
    플라톤은 존재를 불변하는 것으로 보았으며, 이데아만이 참된 존재이고 물리적 대상은 이데아의 그림자라고 주장했다.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존재의 1차적 의미는 모든 것의 밑바탕에 있는 본질 또는 형상이다. 유명론자에 따르면 실재하는 것은 개별 대상 또는 개체뿐이고 속성은 이 대상들의 집합적 이름일 뿐이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기대승 (동의어 존재) 奇大升
    조선 유학의 전개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주자학자이며, 지치주의적 이념으로 왕도정치를 펼치려 했다. 그의 주자학설 가운데 중요한 위치를 점하는 사단칠정론은 이황·정지운·이항 등과의 논쟁을 통하여 체계가 이루어졌다. 그는 조광조의 지치주의 사상을 이어받아, 전제주의 정치를 배격하고 민의에 따르고 민리를 ...
    출생 :
    1527(중종 22)
    사망 :
    1572(선조 5)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존재 存在, being, presence
    존재가 귀속시키는 것은 존재자(存在者, ens)이다. 존재는 최고의, 가장 보편적인, 여러 개념에 환원될 수 없는 개념의 내용을 표시한다. 존재의 영역은 온갖 것을 포괄하며, 특수영역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스콜라학(學)에서는 ‘존재의 초월성’이라고 불렀고, 그런 뜻에서 존재는 초월적이다. 가톨릭의 입장...
  • 조익 (동의어 존재) 趙翼
    성리학의 대가로 예학에 밝았으며 경학·병법·복술에도 뛰어났다. 임진왜란 때 음보(蔭補)로 정포만호)가 되어 1598년(선조 31) 군량미 23만 석을 운반하는 공을 세웠다. 1602년 과거에 급제하여 정자·검열을 지냈다. 1611년(광해군 3) 수찬으로 재직중 이언적과 이황의 문묘종사를 반대한 정인홍 등을 탄핵했다가 고...
    출생 :
    1579(선조 12)
    사망 :
    1655(효종 6)
    국적 :
    조선, 한국
  • 위백규 (동의어 존재) 魏伯珪
    18세기 향촌사회에서 일생을 보낸 전형적인 향촌사족의 한 사람으로서 사회현실의 모순을 비판하고 향촌사회의 자율성을 모색했다. 그의 문학관은 형식보다는 내용의 중요성을 중시하는 재도론적 입장에 있었으며 현실비판적 문학을 높게 평가했다. 1765년 생원복시에 합격했으나 과거에 대한 뜻을 단념했다. 문중결속을...
    출생 :
    1727(영조 3)
    사망 :
    1798(정조 22)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이휘일 (동의어 존재) 李徽逸
    조선 후기의 학자.|본관은 재령. 자는 익문, 호는 존재. 아버지는 참봉 시명, 어머니는 안동장씨로 흥효의 딸이다. 평생 학문을 연구했으며 뒤에 학행으로 참봉에 천거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장흥효의 문인으로 〈맹자〉의 존심양성, 〈주역〉의 선천후천설, 주돈이의 태극설에 뜻을 두고 힘써 배웠다. 병자호란 ...
    출생 :
    1619(광해군 11)
    사망 :
    1672(현종 13)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존재 Being, エッセ
    이런 용법은 대개 주관을 가지는 존재자에게로 제한된다(인간을 “인간 존재[human being]”라고 부르는 경우처럼). 존재의 개념은 철학사 전체적으로 확정적으로 이해된 적이 없고, 항상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 실존 철학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 나는 소비한다, 고로 존재한다 해밀턴 ‘오늘날의 가정을···’과 부르디외 ‘..
    것만이 현실이다. 타인에게 보일 수 없는 삶의 공간은 더는 현실적 의미를 갖지 못한다. 그래서 가정의 가장 은밀한 부분까지 드러낸다. 아니 드러내기 위해 존재한다. 이런 이유로 TV 오락 프로그램 중에는 집을 방문하여 은밀한 침실이나 욕실 인테리어를 자랑하는 내용이 많다. 집 구석구석을 소개하는 그들의 표정이...
  • 신석기 · 청동기인이 생각한 존재와 인식 개념적 사고와 권력의지의 비약
    아니라 자연을 체계적으로 인식하는 것도 종교를 통해 드러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자연 인식의 출발점은 인간 자신이었다. 궁극적으로 ‘인간이라는 존재는 무엇인가’와 연관된 의문에서 출발한다. 인간은 어디에서 왔고, 죽으면 어디로 가는지를 묻는 데서 자연에 대한 관심은 깊어간다. 인간의 기원에 대한 생물학...
  • 존재의 지평을 넓힌 지도 지도, 생각의 기준을 뒤집다
    어떻게 컴퓨터 지도를 이용해 상상력을 키워나갈 것인지를 연구해 발표했다. 《공간적으로 생각하기》라는 이름이 붙은 이 연구의 목적은 인간 사회에 존재하는 정보의 80퍼센트 이상이 공간적 속성을 가지고 있는데도 그 공간 정보에 대한 경험, 지식, 상상력은 제한적이고 체계적이지 못한 경우가 많아 이를 연구해...
  • 우리가 알던 원자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와 같은 하드론(hadron)의 일종이라 할 수 있다. 1968년 스탠포드 대학의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실험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양성자는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존재가 아니라 리처드 파인만이 ‘파톤(parton)’이라 부른 작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쿼크 모형은 1964년에 제시되었지만 파톤은 곧바로 발견되지는 않았다...
  • 벽화 〈아테네 학당〉에 여성이 존재했을까
    ‘○○아카데미’라는 곳이 참 많아졌습니다. 본래 아카데미는 B.C.385년,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플라톤이 청년들의 심신을 수양시킬 목적으로 아테네의 근교에 설립한 교육기관입니다. 그러다 중세에는 귀족이나 왕실의 보호를 받는 학자의 집단을, 나중에 대학이라는 명칭이 나오기 전까지는 중등교육기관이나 고등...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54건

존재유고
존재문집
존재문집
존재종택
존재유고
존재집
존재집
존재집
장흥 존재고택
먹는 존재
장흥존재고택
먹는 존재
먹는 존재
먹는 존재
먹는 존재
장흥 존재 고택 서까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