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위백규

다른 표기 언어 魏伯珪
요약 테이블
출생 1727(영조 3)
사망 1798(정조 22)
국적 조선, 한국

요약 18세기 향촌사회에서 일생을 보낸 전형적인 향촌사족의 한 사람으로서 사회현실의 모순을 비판하고 향촌사회의 자율성을 모색했다. 그의 문학관은 형식보다는 내용의 중요성을 중시하는 재도론적 입장에 있었으며 현실비판적 문학을 높게 평가했다.
1765년 생원복시에 합격했으나 과거에 대한 뜻을 단념했다. 문중결속을 꾀했으며 이로부터 자영농업적인 처사의 생활로 들어갔으며, 성리학적 규범에 입각한 가정상을 세우고자 했다. 1781년(정조 5) 모친상을 당하자 다산정사를 짓고 후진을 가르치면서 저작활동을 했다. <사성록>(1781) 전·후편과 1786년 전후에 <만언봉사>를 완성했다. 1794년(정조 18) 그의 나이 68세 때 서영보의 천거를 받아 처음으로 벼슬길에 올랐다. 문집으로 <존재집>이 있으며 그의 글을 총망라해서 모아놓은 <존재전서>가 있다.

본관은 장흥. 자는 자화, 호는 존재·계항거사. 진사 문덕의 아들이다. 손이 귀한 집안의 첫째 아들로 태어나 어릴 때 작은할아버지 세린에게 사랑을 받으며 일찍 문자에 눈을 떴다. 20세 무렵에는 문중의 자제를 모아 가르쳤고 1750년(영조 26) 장흥부사 이진의의 천거를 받았다.

1751년(영조 27) 봄에 윤봉구를 사문으로 정하고 스승이 있는 충청도 덕산까지 천리 길을 오가며 성리학에 힘썼다. 15년 동안 덕산에 실제 머문 기간은 얼마 되지 않으며 대부분 천관산의 장천재에서 경전탐구와 과거공부에 매달렸다. 이 기간에 〈의례문답 疑禮問答〉·〈대학차의 大學箚義〉·〈고금 古琴〉 등이 완성되고, 〈정현신보 政鉉新譜〉·〈환영지 寰瀛誌〉 등의 초고가 준비되었다.

1757년에는 스승에게 〈시폐십조 時弊十條〉를 지어 올렸다. 이때 선대의 유훈을 정리·발굴하는 데도 힘썼다. 1765년 생원복시에 합격하고 과거에 대한 뜻을 단념했다. 1767년 독경병행의 문중결사인 사강회를 결성하여 문중결속을 꾀했으며 이로부터 자영농업적인 처사의 생활로 들어갔다. 가중사시회라는 가족모임도 결성하여 성리학적 규범에 입각한 가정상을 세우고자 했다.

1781년(정조 5) 모친상을 당하자 독경병행에서 물러나 독서인으로 돌아와 다산정사를 짓고 후진을 가르치면서 저작활동을 했다. 〈사성록 思成錄〉(1781) 전·후편과 1786년 전후에 〈만언봉사 萬言奉事〉를 완성했다. 또한 〈환영지〉(1787)·〈거병서 去病書〉(1789), 〈정현신보〉(1791)·〈사서차의 四書箚義〉(1791)·〈격물설 格物說〉(1791) 등을 완성했다. 1794년(정조 18) 그의 나이 68세 때 서영보의 천거를 받아 처음으로 벼슬길에 올랐다.

1796년(정조 20) 2월 그의 저술을 본 정조의 요청에 의해 백성의 실상과 그 해결책을 논한 〈만언봉사〉를 올렸다. 정조는 그에게 옥과현감을 임명했는데 승지 윤숙과 헌납 한홍유가 〈만언봉사〉는 사투리를 마구 써서 임금의 귀를 더럽힌 무엄한 것이라고 성토했고, 성균관 유생들 또한 자기들을 비판했다면서 이에 항의했다. 옥과현감에 부임해서는 향약을 설치·시행하고 청렴하게 일했으나 그해말 고과에 걸렸다. 그로 인해 계속 사직 상소를 올렸지만 정조는 들어주지 않았다.

1797년(정조 21) 2월 중풍이 들어 눕게 되어 6월의 고과에서 최하등을 받게 되자 정조는 이러한 고과에 불만을 나타내고 "하고는 우선 지워버리고 경직에 자리나는 것을 보아 올리도록 하라"고 명했다. 정조의 배려에도 불구하고 병이 악화되어 1798년(정조 22) 세상을 떠났다.

18세기 향촌사회에서 일생을 보낸 전형적인 향촌사족의 한 사람으로서 사회현실의 모순을 비판하고 향촌사회의 자율성을 모색했다. 그의 문학관은 철저히 재도론적 입장에 있었으며 현실비판적 문학을 높게 평가했다. '보리' 연작시와 〈연년행 年年行〉 연작, 구황식물연작 등의 한시, 〈농가구장 農家九章〉의 시조 9수, 그리고 가사 〈자회가 自懷歌〉는 모두 농촌사회의 현실을 반영한 시들이다. 문집으로 〈존재집〉이 있으며 그의 글을 총망라해서 모아놓은 〈존재전서 存齋全書〉가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학자

학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위백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