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신플라톤주의 Neoplatonism
    신플라톤주의는 그리스 철학의 마지막 형태로서 6세기 후반 비그리스도교적인 철학이 금지될 때까지 지배적인 위치를 점유했다. 신플라톤주의자들의 핵심 개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존재의 위계질서가 있으며, 가장 낮은 단계는 물리적 세계이다. 둘째, 각 단계의 존재는 그보다 상위 단계로부터 파생된다. 셋째, 각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신플라톤주의 Neoplatonism
    3세기의 위대한 철학자이자 종교가인 플로티노스가 완성한 그리스 철학의 마지막 학파.|오늘날 신플라톤주의자로 분류되는 고대 철학자들은 고대 신플라톤주의 사상을 이어받은 르네상스와 17세기의 철학자들과 마찬가지로, 자신들을 단순히 '플라톤주의자'라고 불렀다.→ 플라톤주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신플라톤주의 Neoplatonism, 新プラトン主義
    플라톤주의 신플라톤주의(Neoplatonism)는 3세기 이후, 플로티노스의 《엔네아데스》를 기초로 전개해 오는 사상 체계로서 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스토아 학파 등 고대 여러 학파의 사상을 종합화하기 위해 성립한 것이라 볼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이데아계-현상계(現象界)라고 하는 플라톤적 양분론을 계승하고 있으...
    도서 위키백과
  • 15세기 피렌체의 신플라톤주의
    등용을 주저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거칠고 제멋대로였던 도나텔로를 죽을 때까지 후원했던 코시모나 10대의 어린 소년 미켈란젤로를 양자로 받아들여 신플라톤주의 철학에 노출시켰던 로렌초가 이러한 메디치 가문의 특징을 대변한다. 메디치 가문이 등용한 인재들에 의해 피렌체 르네상스가 촉발되었는데, 그것은 그들...
  • 15세기 피렌체의 메디치 가문
    로렌초 데 메디치다. 비아 메디치는 비아 플라토니(Via Platoni)로 연결된다. 메디치 가문은 옛 전통의 수호자가 아니라 새로운 사상의 창달자였다. 이를 위해서 신플라톤주의라는 새로운 시대사조를 유럽에 소개함으로써 그야말로 문명의 충돌을 야기한다. 이 놀라운 사상적 통섭을 위해 메디치 가문의 수장들이 등용...
  • 라파엘로 산치오 Sanzio Raffaello
    개요 그의 작품은 유연한 형태와 평이한 구도뿐 아니라 인간의 고결함에 대한 신플라톤주의적 이상을 시각적으로 표현해냈다는 점에서 걸작으로 인정받고 있다. 1508년부터 로마에서 바티칸 궁을 개조하는 대규모 계획에 참여하게 되었는데, 이 계획에는 브라만테가 성 베드로 대성전을 재건하고(1514년 브라만테가 죽은...
    출생 :
    1483년 4월 6일, 우르비노 공국 우르비노
    사망 :
    1520년 4월 6일, 로마
    국적 :
    이탈리아
  • 마르실리오 피치노 Marsilio Ficino
    마르실리오 피치노(Marsilio Ficino, 1433~1499)는 코시모 데 메디치의 적극적인 후원으로 피렌체에서 신플라톤주의가 태동하게 만든 장본인이다. 피치노는 중세 1000년 동안 부정확하게 소개되어왔던 신플라톤주의 철학을 수정함으로써 전성기 르네상스의 정신적 자양분을 제공했다. 피치노의 부친 디오티페치 피치노...
    출생 :
    1433년
    사망 :
    1499년
  • 군디살보 Domingo Gundisalvo
    그리스-아랍 철학서를 라틴어로 번역함으로써 서방 라틴어권이 동방의 아리스토텔레스주의와 신플라톤주의 전통을 이해하는 데 이바지했으며, 고대 그리스 사상과 그리스도교 철학의 통합을 앞당겼다. 1140년경 프랑스에서 공부한 듯하다. 그의 견해는 프랑스 샤르트르의 신플라톤주의와 파리 생빅토르 대수도원 중심의...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스페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철학가
  • 이사크 Isaac d'Etoile
    12세기 그리스도교 인문주의의 지도적 사상가로서 신플라톤주의 철학과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종합을 제안했다. 영국과 파리에서 공부한 뒤 디종 근처의 시토 대수도원에 들어갔다. 이곳은 클레르보의 베르나르가 일으킨 시토 수도회 수사들의 개혁 중심지였다. 1147년 시토 수도회 공동체인 에투알의 대수도원장으로...
    출생 :
    1100경, 잉글랜드
    사망 :
    1169경, 아키텐 푸아티에 근처 에투알
    국적 :
    잉글랜드,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철학가
  • 헬레니즘과 로마 철학
    내린 고대 말기까지 계속 남아 있었다. 약 1,000년에 걸친 이 기간에 늘어난 새 학파는 신피타고라스주의와 신플라톤주의뿐이었다. 그중에서 신플라톤주의가 철학의 역사에는 훨씬 더 중요했다. 신플라톤주의는 주로 플로티노스의 연구에서 나온다. 플로티노스는 저서를 발표하지 않았지만, 그의 철학은 제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프로클로스 Proclos
    신플라톤주의 사상을 비잔틴·이슬람·로마 세계 구석구석까지 전파하는 데 이바지했다. 프로클로스는 러시아의 크산토스에서 자랐고 알렉산드리아에서 대(大)올림피오도로스 밑에서 철학을 공부했다. 아테네에서는 그리스의 철학자 플루타르코스와 시리아노스 밑에서 공부했으며 이들에 이어 '디아도코스'(diadochos...
    출생 :
    410경, 콘스탄티노플
    사망 :
    485, 아테네
    국적 :
    그리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철학가
  • 이븐 가비롤 Ibn Gabirol
    무어인 지배하의 스페인에서 유대의 황금기 동안 활동한 종교적·세속적 히브리 시파의 뛰어난 인물이었다. 또한 중요한 신플라톤주의 철학자이다. 1022년경 말라가에서 태어나 사라고사에서 고등교육을 받았다. 그곳에서 코르도바 출신의 망명자들로 이루어진 학식있는 소집단에 가담했는데, 그 집단은 유명한 학자들과...
    출생 :
    1022경, 코르도바 칼리프 통치구역 말라가
    사망 :
    1070경, 발렌시아 발렌시아
    국적 :
    유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플로티노스(Plotinos)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