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국군작전통제권 작통권, 韓國軍作戰統制權
    한국군작전을 통제할 수 있는 권한.|개설 작전통제는 작전계획이나 작전명령 상에 명시된 특정 임무나 과업을 수행하기 위해 지휘관에게 부여된 권한이다. 현재 한국군작전통제권은 평시작전통제권과 전시작전통제권으로 구분되어 있다. 평시작전통제권은 1950년 7월 14일 이승만 대통령이 유엔군사령관에게 작...
    시대 :
    현대
    성격 :
    권한
    유형 :
    제도
    시행일 :
    1994년 12월 1일(평시작전통제권 환수), 2012년 4월 17일(전시작전통제권 환수 예정)
    시행처 :
    합참의장
    분야 :
    정치·법제/국방
  • 작전통제권 작통권, 作戰統制權
    한국군작전을 통제할 수 있는 권한. 줄여서 작통권이라고도 함.|한국군의 작전권은 평시작전통제권과 전시작전통제권으로 나뉘어 있다. 주권국가의 작전권은 해당 국가의 군 통수권자에게 있는 것이 원칙이다. 하지만 한국은 한국전쟁 발발 직후 이승만 대통령이 작전통제권을 유엔군사령관에게 이양하며 작전통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방
  • 작전지휘권 作戰指揮權
    1950년 7월 14일자로 작전지휘의 효율성을 위해 한국군작전지휘권(작전통제권)이 유엔군사령관에게 이양되었으며 1994년 12월 1일 평시작전통제권한국군으로 전환됨.|개설 6 · 25전쟁 초기에 창설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상황에서 북한군의 기습공격을 받은 국군이 독자적인 지휘체계를 유지하면서 전쟁을 수행하...
    시대 :
    현대
    유형 :
    제도
    분야 :
    정치·법제/국방
  • 전시작전통제권 전시작전권, 戰時作戰統制權
    것인가 등을 결정하는 권한이다. 작전지휘권 중 예산편성, 작전상 훈련연습 및 소요편성 등의 권한을 뺀 개념으로 이해된다. 한국의 작전통제권 – 평시/전시 한국군작전통제권은 평시와 전시로 나뉘어져 있는데 평시 한국군 작전통제권은 한국 합참의장이, 미군에 대한 작전통제권은 주한미군 사령관이 행사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방
  • 전시작전통제권 戰時作戰統制權, Wartime Operationa..
    미 안보협의회의(SCM)/군사위원회회의(MCM)에서 평시작전통제권의 1994년 말 이전까지 전환에 합의가 이루어졌다. 한국군 작전통제권은 유엔군사령관에 이양되었으며 현재 전시작전통제권과 평시작전통제권으로 구분되어 있다. 1994년 12월 1일 평시작전통제권을 한국 합동참모의장이 가지게 됨으로써 전시작전통제권...
    시대 :
    현대
    성격 :
    군사제도
    유형 :
    제도
    시행일 :
    1950년 7월 14일
    시행처 :
    연합군사령부
    분야 :
    정치·법제/국방
  • 전시작전통제권 Wartime Operational Control..
    한국군의 작전권은 평시작전통제권과 전시작전통제권으로 나뉘어 있다. 전시작전통제권은 유사시 한국군작전을 통제하는 권한을 말하는데, 전쟁이 일어나면 한국군에 대한 작전통제권이 한미연합사령관에게 이관된다. 작전통제(Operational Control)는 특정 임무나 과업을 수행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설정된 지휘관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방
  • 평시작전통제권 평시작통권, 平時作戰統制權
    아래 둔다'라고 규정하여, 유엔군사령관이 지속적으로 한국군을 지휘할 수 있도록 하였다. 1978년 11월 7일 한미연합사령부(CFC)가 창설되면서 한국군에 대한 작전통제권은 유엔군사령부로부터 한미연합사령부로 이관되었다. 이에 따라 유엔군사령부는 정전협정의 당사자로서만 남게 되고, 그 밖의 모든 기능과 권한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방
  • 전시작전통제권 전작권, 戰時作戰統制權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한국군의 작전권은 평시작전통제권과 전시작전통제권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현재(2020년 기준) 평시작전통제권한국군 합참의장이 갖고 있지만, 전시작전통제권은 1950년 7월 14일 이승만 대통령이 유엔군사령관에게 작전지휘권을 넘겨준 이후 여전히 한미연합사령관에게 있다. 한미 양국은...
    도서 에듀윌 시사상식 | 태그 국방
  • 한미연합사령부 ROK-US CFC, 韓美聯合司令部
    전술 개념을 연구분석한다는 것 등이다. 이가운데 작전지휘권 및 통제권의 기능이 제일 중요한데, 작전통제권의 내용은 원칙적으로 군부대가 이동할 때마다 연합...승인을 얻지 않아도 무방하며, ② 일정 시간 내에 승인을 얻지 못할 경우 대통령 또는 다른 한국군 지휘관이 임의로 부대를 이동시킬 수 있다고 밝히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방
  • 전시 작전통제권
    수도방위사령부와 인근의 2개 사단 포함되어 있다. 즉, 평시작전권 체제에서 한국군은 단독으로 이 부대들에 명령을 내릴 수 있으며, 전시작전권 체제에서는...대통령과 미국의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대한민국 국군의 전시 작전통제권 전환 시기를 2015년 12월로 연기하기로 합의하였다. 단, 전작권 전환 시기 조정에...
    도서 위키백과
  • 한국군 함정 무기체계
    있다. 호위함 경무장을 한 빠른 속력의 함정이 호위함(FF・frigate)이다. 1000톤급의 연안방어형과 4000톤급의 해양방어형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대잠수함작전과 함께 상륙부대나 해상보급부대 등을 호위하는 것이 주임무다. 대한민국 해군은 1975년 7월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주변 해역에 대한 해상통제권 확보를...
  • 유엔군 사령부 유엔사, UN軍 司令部
    1953년 10월 1일 체결된 한미상호방위조약과 1954년 11월 17일 합의한 ‘합의의사록’에서도 한국군에 대한 작전통제권은 계속해서 유엔군 사령관에게 속하는 것으로 규정되었다. 그러나 1980년대 말 한 · 미 간에 주한미군의 역할 조정 논의가 시작되면서 1994년 평시 작전통제권한국군에 반환되었지만 전시작전...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역사/현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