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감
-
[연합] 2006년 > 특집 > 2006년 한ㆍ미 관계 > 전시 작전통제권 환수 > 작전통제권 환수의 역사적 의미 것은 6.25전쟁이 한창이던 195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이승만(李承晩) 대통령은 북한군에 파죽지세로 밀리자 1950년 7월 17일 한국군에 대한 ‘작전지휘권’(Operational Command)을 더글러스 맥아더 유엔군사령관에게 처음으로 이양했다. 이렇게 이양된 작전 지휘권은 정전 이후인 1954년 11월 17일 발효된 한...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2005년 > 자료편 > 사건ㆍ사고별 주요 일지 > 국내 > 작전통제권 관련 일지 ▲1950.7. = 이승만 대통령, 유엔군사령관에게 작전지휘권 이양 ▲1968.4. = 대간첩작전통제권 환수 ▲1978.1.1 = 한미연합군사령부 창설 ▲1994.1.2 = 평시작전통제권 환수 ▲2003.7. = 한미미래동맹정책구상(FOTA) 3차회의, 한미연합지휘관계 연구의제화 합의 ▲2004.1.0 = 한미안보정책구상(SPI)회의 설치 운영 합의...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1992년 > 정치 > 국방 > 한미군사현안 > 평시작전통제권환수 한국군에 이양되면 한국합찹의장이 평시부대이동 및 전투부대배치등에 관한 권한을 행사하는등 한국군작전부대에 대한 전술적 통제를 포함한 실질적인 작전지휘권을 갖게된다고 설명했다. 또 미군주도로 이루어지고 있는 팀스피리트훈련등 한미연합훈련과 전시에 대비한 한미연합사의 작전계획수립등에 있어서도 한국군...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1990년 > 법령ㆍ자료 > 연간공포된 주요법령내용 > 국군조직법중 개정법률 감독하도록 하되, 평시 독립전투여단급 이상의 부대이동 등 주요 군사사항은 국방부장관의 사전승인을 얻도록 함 ④전투를 주임무로 하는 각 군의 작전부대 및 작전지휘권의 범위와 합동참모의장이 지휘ㆍ감독할 합동부대의 범위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도록 함 ⑤합동참모본부에 합동참모의장 외에 군을 달리하는 3인 이내...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2006년 > 자료편 > 법령ㆍ자료 > 2006년 100대 뉴스 > 60. 전시작전통제권 환수 논란 한나라당은 미국이 가져야 한다고 했다. 6.25전쟁이 한창이던 1950년 당시 이승만 대통령은 북한군에게 파죽지세로 밀리자 1950년 7월 17일 한국군의 작전지휘권을 더글러스 맥아더 유엔군사령관에게 처음으로 이양했다. 1968년 북한에 의한 1.21 사태와 미국 정찰선 푸에블로호 나포를 계기로 박정희 정권이 미국에 작...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2005년 > 정치 > 국방 > 국방개혁기본법안 마련 > 전시작통권 환수 협의 SCM에 보고할 계획이다. 특히 정부는 이 같은 로드맵에 기초해 늦어도 2014년까지는 전시작통권을 환수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작전지휘권은 평시에는 우리 군이 독자적으로 행사하고 있지만 한반도 유사시 방어준비태세인 ‘데프콘 III’가 발령되면 미군 4성장군이 맡고 있는 한ㆍ미연합...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1990년 > 정치 > 국방 > 군조직개편 > 합동참모본부 증편창설 심리전단 등 3개 합동부대(직할)를 지휘감독하고 육군 1.2.3군과 수방사령부, 특전사령부, 항공사령부, 방공사령부, 해군작전사령부, 공군작전사령부, 해병대사령부등에 대해서는 작전지휘권을 갖는다. 합참은 이와 함께 포커스클리어훈련, 팀스피리트훈련, 을지포커스훈련, 독수리훈련 등 4개 연합 및 합동군사훈련의...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1991년 > 정치 > 국방 > 군조직개편 > 합동참모본부개편 심리전담 등 3개 직할부대를 지휘감독하고 ②육군 1ㆍ2ㆍ3군과 수방사령부, 특전사령부, 항공사령부, 방공사령부, 해군작전사령부, 공군작전사령부, 해병대사령부 등에 대해서는 작전지휘권을 갖고 ③포커스클리어훈련, 팀스피리트훈련, 을지포커스훈련, 독수리훈련 등 4개 연합 및 합동 군사훈련의 작전시행에 대한...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공동회견〈전문〉(2010.6.26, 캐나다 토론토)(전시 작전통제권 전환 시기 연기 합의, 한미 FTA 체결... 대통령이 영어를 잘해 다 알아듣는 줄 알고 통역에게 부탁하는 것을 깜빡했습니다. (참석자 폭소) 1950.7.14 = 이승만 대통령, 서한으로 유엔군사령관에게 작전지휘권 이양. 1954.11.17 = 한ㆍ미합의의사록, 국군을 유엔군사령관의 작전통제 하에 둠. 1961.5.26 = 국가재건최고회의-유엔군사령부 공동성명, 30ㆍ33경비단...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1991년 > 정치 > 국방 > 한ㆍ미 군사현안 > 개요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이 지역 동맹국들과 협의토록 함으로써 한ㆍ미군사당국자간 주한미군의 감축시기 및 규모, 방위비분담문제가 긴급현안으로 대두됐다. 이에 따라 양국은 제22차(90년), 제23차(91년) 연례안보협의회의(SCM)를 통해 주한미군감축 및 방위비분담, 한국군작전지휘권 환원문제 등에 대체적인 합의를 보았다.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북한] 2004년 > 군사 > 인민군 > 총참모부 조직체계와 임무 군사훈련담당, 군사외교 및 체육담당, 후방담당으로 나뉜다. 이들은 자신들의 업무를 제외하고 전반적인 군 작전지휘권을 행사하지 못하며 총참모장의 대리인 작전국장의 명령과 지시에 복종해야 한다. 작전국장은 대장이지만 부총참모장은 중장 또는 상장이 맡는다. 작전국장의 당직은 당중앙위원회 위원이지만 부총...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2005년 > 군사 > 인민군 > 총참모부 조직체계와 임무 군사훈련담당, 군사외교 및 체육담당, 후방담당으로 나뉜다. 이들은 자신들의 업무를 제외하고 전반적인 군 작전지휘권을 행사하지 못하며 총참모장의 대리인 작전국장의 명령과 지시에 복종해야 한다. 작전국장은 대장이지만 부총참모장은 중장 또는 상장이 맡는다. 작전국장의 당직은 당중앙위원회 위원이지만 부총...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