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원수 李元壽일제강점기 「고향의 봄」, 「찔레꽃」, 「어머니」 등을 저술한 아동문학가. 생애 및 활동사항 경상남도 양산 출신. 1930년 마산상업학교를 졸업하고, 함안 가야금융조합에 근무하다가 상경, 1945년 경기공업학교 교사가 되었다. 이어 출판계로 전직하여 1947년 박문출판사 편집국장, 1960년 삼화출판사 편집장 등을 ...
- 시대 :
- 근대
- 출생 :
- 1911년
- 사망 :
- 1981년
- 경력 :
- 경희여자초급대학 강사, 한국문인협회 이사, 한국문인협회 아동문학분과위원장, 한국아동문학가협회 회장, 대한민국문화예술상 수상
- 유형 :
- 인물
- 직업 :
- 아동문학가
- 대표작 :
- 고향의 봄, 헌 모자, 보리방아 찧으며, 교문 밖에서, 찔레꽃, 이삿길, 양말사러 가는 길, 숲속나라, 오월의 노래, 아동문학입문, 어머니, 라일락언덕, 신의 합창
- 성별 :
- 남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
이원수 (1501년)인물 정보 이원수(李元秀, 1501년~1561년)는 신사임당의 남편이자 율곡이이의 아버지이며, 조선의 문신이다. 신사임당은 살아 있을 때 이원수에게 공자, 증자, 주희의 고사를 들어가며 재혼하지 말라고 당부했지만 이원수는 이미 신사임당이 살아 있을 때 사임당보다 20살이나 어린 주막집 여자 권씨를 첩으로 삼았으며...도서 위키백과
-
화려하지 않은 장미꽃도 있을까꽃은 아름다움과 사랑을 상징하고, 찔레꽃은 서민을 상징합니다. 보릿고개에 피는 덕에 서민들의 배고픔을 달래주었기 때문인데요. 여기에서 나온 동시가 이원수 시인이 1930년 〈신소년〉에 발표한 〈찔레꽃〉입니다. - 이원수, 〈찔레꽃〉 찔레꽃이 하얗게 피었다오 누나 일 가는 광산 길에 피었다오 찔레꽃 이파리는...
-
고향의봄 故鄕─내용 가사는 이원수의 초기 동요작품으로 월간 아동문학지 『어린이』에 수록되었던 것이다. 이것을 보고 홍난파가 작곡하여 그의 작곡집 『조선동요100곡집』에 수록하였다. 가사는 모두 2절로 되어 있는데, 1절은 다음과 같다. 나의 살던 고향은 꽃피는 산골 복숭아꽃 살구꽃 아기 진달래 울긋불긋 꽃대궐 차리인 동네...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이원수(작사), 홍난파(작곡)
- 성격 :
- 동요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현대음악
-
Dual number 이원수 (수학), 二重数In linear algebra, the dual numbers extend the real numbers by adjoining one new element ε with the property ε2 = 0 (ε is nilpotent). The collection of dual numbers forms a particular two-dimensional commutative unital associative algebra over the real numbers. Every dual number has the form z...출처 영어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