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우뭇가사리
    우뭇가사리과에 속하는 해조.|생태 학명은 Gelidium amansii LAMOUROUX이다. 우뭇가사리는 암수의 배우체(配偶體)가 따로 있고 유성생식으로 과포자(果胞子)를 만든다. 과포자는 발아하여 사분포자체(四分胞子體)가 되고 이것이 발아하여 다시 암수의 배우체가 되는 세대교번을 되풀이한다. 다년생이며 연중을 통하여 ...
    유형 :
    생물
    분야 :
    과학/식물
  • 우뭇가사리 Ceylon moss
    홍조식물문 우뭇가사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바닷말. 실처럼 생긴 헛뿌리를 내어 바위 위에 달라붙어 자란다. 자홍색의 몸은 가늘고 납작하며 깃털처럼 가지를 많이 내어 다발을 이룬다. 자라는 환경에 따라 몸의 형태가 다르고, 물이 잘 흐르고 파도가 치는 바위 위에 군락을 이루어 자란다. 한국에는 11종이 자라는 것으...
    분류 :
    수산물 > 해조류 > 홍조류
    용도 :
    가공용, 약용 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물 , 식재료
  • 우뭇가사리 Gelidium amansii
    우뭇가사리는 우뭇가사리과에 속하는 홍조류의 해조류이다. 바닷말의 일종으로 주로 한천의 주원료로 이용되는 바닷말을 가리킨다. 여러해살이 해조류로서 여름의 번식기가 지나면 본체의 상부는 녹아 없어지고 하부만 남아 있다가 다음해 봄에 다시 새싹이 자라난다. 동해안·남해안과 황해의 바깥 도서에 분포하나 동...
    도서 위키백과
  • 우뭇가사리 생것 영양정보 (동의어 우뭇가사리)
    1회 제공량 :
    100g
    칼로리 :
    46kcal
  • 우뭇가사리 Agar
    분류 :
    조류 > 홍조강
    서식지 :
    조간대 중하부의 바위
    크기 :
    약 10cm ~ 30cm
    학명 :
    Gelidium amansii
    도서 자연박물관 | 태그 식물
  • Agar 우뭇가사리, 寒天
    Agar (pronounced"") or agar-agar ("") is a jelly-like substance, obtained from algae. It was discovered in the late 1650s or early 1660s by Mino Tarōzaemon (美濃 太郎左衛門) in Japan, where it is called kanten.Agar is derived from the polysaccharide agarose, which forms the supporting structure ...
  • 우뭇가사리 까시리국
    식재료 우뭇가사리 4큰술,삶은 시래기 200g,조갯살 200g,물 1.6L(8컵),된장 2큰술,소금 약간 조리방법 1. 시래기는 깨끗이 씻어 6~7cm 길이로 자른다. 2. 조갯살은 씻어 다진다. 3. 냄비에 다진 조갯살을 넣어 볶다가 물을 붓고 된장을 풀어 끓인다. 4. 3에 시래기를 넣고 소금으로 간을 하여 중불이나 약한 불에서...
    분류 :
    부식류 > 국 및 탕류 > 토장국 > 해조류
    성격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끓이는 음식
  • 우뭇가사리 천초묵
    식재료 우뭇가사리 (천초) 1kg, 물 5L(25컵) 조리방법 1. 우뭇가사리는 물에 씻어 방망이로 두드려 돌을 제거하고 흰색이 될 때까지 물에 담가 둔다. 2. 냄비에 물을 붓고 1을 넣어 저으면서 점성이 생길 때까지 끓인 다음 네모난 틀에 면포를 깔고 부어 굳힌다. 참고사항 우뭇가사리묵에 양념장(간장, 고춧가루, 참기름...
    분류 :
    부식류 > 묵 및 두부류 > 묵
    성격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약간의 수분을 양념과함께 넣고 익혀 양념이 식품에 스며들게 하는 음식
  • 한천 寒天
    내용 우무는 보통 우뭇가사리·개우무·새발 등 우뭇가사리과의 해초로 만든다. 꼬시래기·갈래곰보 등의 해초로도 만들 수 있다. 우무를 만드는 것은 홍조류의 해초로서 깊은 바다에서 자라고 있으며 엽록소 이외에 홍조소라 이르는 홍색의 색소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홍색 또는 홍자색을 나타낸다. 우뭇가사리는 5월...
    성격 :
    건조식품
    유형 :
    물품
    재질 :
    우뭇가사리, 개우무, 새발
    분야 :
    생활/식생활
  • 우뭇가사리 Gelidiales, 石花菜目
    생물 분류 우뭇가사리목(Gelidiales)은 홍조류에 속하는 목의 하나이다. 4개 과에 238종을 포함하고 있다.웹 인용 우무를 만드는 데 쓰이는 우뭇가사리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 목이 포함하고 있는 과는 다음과 같다: 우뭇가사리과 (Gelidiaceae) - 우뭇가사리 겔리디엘라과 (Gelidiellaceae) 오르토고나클라디아과...
    도서 위키백과
  • 기장우무 가장우묵
    식재료 우뭇가사리 100g, 달걀 50g(1개), 조갯살 30g, 새우살 30g, 당근 20g, 방아잎 10g, 석이버섯 2장, 된장 1큰술, 실고추 약간, 멸치장국국물(멸치 · 다시마 · 물) 1L(5컵) 부재료 <초고추장> 고추장 3큰술, 식초 3큰술, 설탕 1큰술, 다진 마늘 1작은술, 통깨 1작은술 조리방법 1. 우뭇가사리는 물에 불리고...
    분류 :
    부식류 > 묵 및 두부류 > 묵
    성격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약간의 수분을 양념과함께 넣고 익혀 양념이 식품에 스며들게 하는 음식
  • 우무냉국 임금님의 여름 음식
    즐겨 찾는 식당에서 맛볼 수 있다. 하지만 조선시대에는 우무가 무척 고급 음식이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일제강점기에 발행된 《해동죽지》에서도 우뭇가사리를 원료로 만드는 우무는 남해안의 명물로 여름철이면 임금님도 즐겨 드시던 청량 식품이라고 소개했다. 해마다 여름이면 남해안에서 생산되는 우뭇가사리로...
    분류 :
    면류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87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