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삼종지도 삼종지덕(三從之德), 三從之道
    근대 이전 유교 문화권에서 통용되던 여성의 지위와 역할을 명시한 도덕규범을 가리키는 유교용어. 삼종지덕.|개설 삼종(三從)이란 “결혼하기 전에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으면 자식을 따라야 한다”는 것으로 『예기(禮記)』 「교특생(郊特牲)」과 『의례(儀禮)』 「상복전(喪服傳)」) 등의 유교 경전...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사회/가족
  • 삼종지도
    Template:위키낱말사전 넘겨주기Template:Short pages monitor
    도서 위키백과
  • 내외법 內外法
    얘기는 아니다. 여기서 석은 돗자리, 더욱 좁게는 아랫목에 까는 보료를 말하는 것이나 내외법을 상징하게 되었다. 즉 거리를 두고 앉으라는 뜻이다. 또한 삼종지도라 하여 출가 전에는 아버지에게, 출가 후에는 남편에게, 남편이 사망한 후에는 아들에게 순종해야 했다. 삼종지도의 시절에 내외법은 여자를 구속하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재가 再嫁
    고려 시대에는 비교적 여자의 재가가 자유롭게 허용되었지만 고려 말기 유학을 받아들이면서부터 유교적 도덕관으로 여자의 삼종지도나 정절을 매우 중요시했다. 조선 시대 1477년(성종 8)에 이르러 과부의 재혼을 금지한 법이 시행되었는데, 여자는 1번 시집가면 평생 재가하지 말아야 하며, 재가한 부녀의 자손을 관리...
  • 칠거지악 七去之惡
    〈대대례기 大戴禮記〉 본명(本命)에 나온다. 칠출지악이라고도 하는데, 삼종지도(三從之道)와 함께 전통사회의 여성들에게 가장 경계해야 할 것으로 인식되던 조목이다. ① 시부모에게 순종하지 않는 것(不順舅姑), ② 자식을 낳지 못하는 것(無子), ③ 음탕한 것(淫行), ④ 질투하는 것(嫉妬), ⑤ 나쁜 질병이 있는 것...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너울 羅兀
    너울을 썼는데 그 종류는 푸른색, 검은색이 있고 직책에 따라 다른데 대개 검정색이 귀하고 푸른색은 천한 것이었다"고 전한다. 유교통치이념 속에서 삼종지도(三從之道)를 강조하는 내외법(內外法)은 여자들로 하여금 함부로 남자들을 만날 수도 없거니와 친척조차 정해진 촌수 이외에는 만나지 않는 것이 상례였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의류
  • 오륜 五倫
    하여 여자의 남자에 대한 공경과 순종을 도덕적 의무로 강조한다. 여자는 어릴 적에는 아버지를, 시집가서는 남편을, 늙어서는 자식을 따라야 한다는 삼종지도(三從之道)가 유교적 남녀윤리의 특징을 보여준다. 장유는 나이를 기준으로 한 인간관계이니, 여기에 필요한 도덕규범이 '서'이다. 원래 장유관계는 가족 내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양철학
  • 과부재가금지법 寡婦再嫁禁止法
    자유로웠으나, 말기에 유학(주자성리학)을 받아들이면서 재가문제는 큰 논란의 대상이 되기 시작했다. 조선시대 유학이 국가의 통치이념이 되면서 여자의 삼종지도나 정절을 매우 중요시했다. 특히 3번 시집가는 것[三嫁]을 큰 잘못으로 생각했다. 처음에는 별다른 금지 조처가 없었으나, 성종 때 과부재가금지법을 입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성교육 性敎育, sex education
    구조와 심리구조, 사회적 규범과 특정 사회조직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복합적인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근대화 이전에 나타난 우리나라의 성교육은 내훈, 삼종지도 등 유교적 내용이 대부분이었다. 전통사회의 성교육은 가부장적 사회에 걸맞는 수태의 방법들을 신부에게 가르치는 내용 정도에 불과했고, 그외의 성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교육
  • 서흥김씨 삼강정문 瑞興金氏 三綱旌門
    淸州韓氏)는 남편이 중병을 앓자 단지수혈(斷指輸血:손가락을 베어 피를 내어 먹이는 것)하는 등 온갖 정성으로 간호하였지만 끝내 숨지고 말았다. 한씨는 삼종지도(三從之道)를 행하고자 하였으나 자식이 없는 까닭에 남편의 뒤를 따라 순절하였다. 1737년(영조 13)에 7대손 동현(東賢)의 상서로 열부에 명정되었다...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사회/가족
  • 부권제 父權制
    대하여 절대적 지배권을 가지고 있어서 남자인 부(父)·부(夫)는 하늘에 비유되고 가족은 인격적 독립성이 부여되지 않고 거의 소유물시되었다. 여자에게는 삼종지도(三從之道)와 정조가 강제된 반면 남자는 일부다처·중혼·축첩은 물론, 실제로 매처(賣妻)나 처를 전당잡히는 전처(典妻)의 특권까지 누릴 수 있었다...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삼국시대 여성의 생활
    삼종지도와 출가외인. 한국의 여성을 묘사할 때 떠오르는 말들이다. 하지만 유교가 보편적인 사회규범으로 자리 잡은 조선 후기를 제외하면 한국의 여성상은 이것과는 거리가 멀다. 신라시대에는 여왕이 3명이나 탄생할 정도로 여성의 지위가 높았고, 《삼국유사》에 등장하는 고조선 이야기의 주인공은 환웅과 단군이...
    시대 :
    기원전 1세기~기원후 10세기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삼강행실도 / 열녀편(여종지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