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사헌부 상대, 司憲府고려 말기 및 조선시대 언론 활동, 풍속 교정, 백관에 대한 규찰과 탄핵 등을 관장하던 관청. 내용 상대(霜臺)·오대(烏臺)·백부(柏府)라고도 한다. 신라시대도 사정부(司正府)·내사정전(內司正典) 등의 기관이 있었으나, 사헌부의 연원은 진(秦)나라의 어사대부(御史大夫), 한나라의 어사부(御史府) 또는 어사대부...
- 시대 :
- 조선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대사헌 도헌(都憲), 大司憲고려·조선시대 사헌부의 종2품 관직. 내용 도헌(都憲)이라고도 하였다. 정원은 1인이다. 사헌부는 시정(時政)을 논집(論執)하고 백관을 규찰하며, 풍속을 바로잡고, 원억(寃抑)을 펴며, 남위(濫僞)를 금하는 일 등을 맡아보던 관서로서, 고려시대는 국초에 사헌대(司憲臺)라고 불렀다. 그 뒤 어사대·금오대(金吾臺)...
- 시대 :
- 조선
- 성격 :
- 관직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고려, 조선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Saheonbu 사헌부, 司憲府Saheonbu(in Hangul:사헌부, in Hanja:司憲府) administered inspections during Goryeo and Joseon dynasty in Korea. The organ inspected Hanyang, the capital and periphery. It has several nicknames. It was also responsible for licensing officials, impeachment and legal inquiries, which also extends to...출처 영어 위키백과
-
감찰 監察1455년(세조 1)에 모두 실직화(實職化)하고 1인을 감원해 24인을 정원으로 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문관 3인, 무관 5인, 음관 5인으로 13인만 두었다. 감찰은 사헌부에서는 말단 관료였지만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들은 맡은 업무가 본래 광범위하고, 때로는 지방관의 비위를 조사하기 위해 분대(分臺...
- 시대 :
- 조선
- 성격 :
- 관직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조선시대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상대별곡 霜臺別曲총 5장. 『악장가사(樂章歌詞)』에 수록되어 있다. 주로 궁중에서 연악(宴樂)으로 쓰이던 송도가(頌禱歌)로서 악장문학에 속한다. 제목에 보이는 상대(霜臺)는 사헌부를 가리키는 것으로, 작자가 1399년(정종 1) 대사헌을 맡았으니, 그 뒤의 어느 시기에 사헌부에서 하는 일을 칭송한 이 노래를 지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시대 :
- 조선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고전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