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사헌대 司憲臺
    고려 초기의 감찰기구.|내용 983년(성종 2)경 설치되어 사헌대부(司憲大夫)·사헌중승(司憲中丞)·시어사헌(侍御司憲)·전중시어사헌(殿中侍御司憲)·감찰사헌(監察司憲) 등의 관원을 두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그 뒤 995년어사대(御史臺)로 바뀌었으며, 1014년(현종 5) 금오대(金吾臺)로 되었다가, 1015년 금오대를 파...
    시대 :
    고려
    성격 :
    관청
    유형 :
    제도
    시행일 :
    983년(성종 2)
    폐지일 :
    1023년(현종 14)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어사대 사헌대, 御史臺
    고려시대 시정을 논하고 풍속을 교정하며, 백관을 규찰하고, 탄핵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청.|연원 및 변천 이와 같은 사정기관(司正機關)은 신라 진흥왕 때인 544년에 처음 설치되었다. 고려의 어사대는 이러한 신라의 전통 위에 당나라 · 송나라의 영향을 받아 고려의 정치실정에 맞도록 재정비, 조직된 것이다. 고려...
    시대 :
    고려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사헌대
    사헌대(司憲臺)는 고려 초기의 감찰기구이다. 983년 설치되었다. 백관을 규찰, 탄핵하고 풍속을 교정하는 역할을 하였다. 995년 어사대로 개편된다. 그 뒤 1014년 금오대로 되었다가, 1015년 금오대를 파하고 다시 사헌대로 개칭한다. 금오대
    도서 위키백과
  • 대사헌 도헌(都憲), 大司憲
    시정(時政)을 논집(論執)하고 백관을 규찰하며, 풍속을 바로잡고, 원억(寃抑)을 펴며, 남위(濫僞)를 금하는 일 등을 맡아보던 관서로서, 고려시대는 국초에 사헌대(司憲臺)라고 불렀다. 그 뒤 어사대·금오대(金吾臺)·감찰사로 여러 번 명칭이 바뀌다가 1298년(충렬왕 24) 1월 충선왕이 즉위하여 관제를 개혁할 때...
    시대 :
    조선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고려, 조선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감찰어사 감찰사(監察史), 監察御史
    설치 목적 관료들에게 대한 감찰 등을 위한 조직으로 국초부터 사헌대(司憲臺) 등의 기구를 두었으며, 이후 어사대(御史臺)로 정비되었다. 감찰어사(監察御史)는 어사대의 하위 관직으로 설치되었다. 임무와 직능 어사대는 백관(百官)의 규찰(糾察)과 제사(祭祀) · 조회(朝會) · 전곡(錢穀)의 출입 등을 감찰하는 임무...
    시대 :
    고려
    유형 :
    제도/관직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상평창 常平倉
    晉의 12州)에 처음 설치되었다. 이 때 미(米) 6만 4,000석(石)을 기금으로 마련하였다. 그 중 5,000석은 개경의 경시서(京市署)에 쌓아두고, 대부시(大府寺)와 사헌대(司憲臺)가 감독하였다. 나머지 5만 9,000석은 서경과 주·군(州郡)의 창고 15곳에 분속시켰다. 그리고 서경은 분사(分司) 사헌대가, 주군은 계수관...
    시대 :
    고려
    성격 :
    관청
    유형 :
    제도
    시행일 :
    993년(성종 12)
    시행처 :
    양경(兩京), 12목(牧)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집의 執義
    대중승(御史臺中丞)의 후신이다. 대관으로서 정치에 대하여 논의하고, 풍속의 교정 및 비행의 조사와 그 책임을 규탄하는 임무를 맡았다. 사헌부는 국초에 사헌대(司憲臺)라 하다가 995년(성종 14) 5월에 어사대로, 1014년(현종 5) 11월에 금오대(金吾臺)로, 이듬해에 다시 사헌대로, 1023년에 어사대로, 1275년(충렬왕...
    시대 :
    고려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1275년(1차), 1362년(2차)
    폐지일 :
    1356년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잡단 雜端
    내용 정원은 1인이다. 1015년(현종 6) 금오대(金吾臺)를 혁파하고 사헌대(司憲臺)를 설치할 때 그 속관으로서 처음 두어졌으며, 1023년에 사헌대가 어사대로 개편됨에 따라 어사대의 속관이 되었다. 문종때 이르러 종5품, 정원 1인의 관직으로 정비되었으며, 1116년(예종 11)에는 본품(本品)의 행두(行頭)가 되었다...
    시대 :
    고려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1015년
    폐지일 :
    1298년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감찰사 監察史
    내용 고려시대 감찰사는 본래 사헌대(司憲臺)·어사대(御史臺)·금오대(金吾臺) 등으로 여러 차례 그 명칭이 바뀌면서, 배속되었던 관직명 또한 자주 바뀌게 되었다. 1275년(충렬왕 1)에 어사대를 다시 감찰사(監察司)로 고치면서 종6품의 감찰어사(監察御史)를 감찰사(監察史)로 하였고, 1298년(충렬왕 24)에 충선왕이...
    시대 :
    고려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1275년(충렬왕 1)
    폐지일 :
    1298년(충렬왕 24)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감찰어사 監察御史
    백관에 대한 규찰과 탄핵·감찰업무를 맡았다. 국초에 두었던 사헌대를 995년(선종 14) 어사대로 고치면서 감찰어사를 처음 두었다. 이때의 인원과 품계는 알 수 없다. 문종대에 종6품직 10명으로 했는데, 문관과 서리를 5명씩 임명했다. 이중 2명을 1202년(신종 5)에 참상으로 했다. 1275년(충렬왕 1) 어사대를 감찰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시어사 侍御史
    1356년(공민왕 5) 7월에 어사대로, 1362년 3월에 감찰사로, 1369년 6월에 사헌부로 명칭이 여러 번 바뀌자 관직도 따라서 개편을 되풀이하였다. 즉, 사헌대에서는 시어사헌(侍御司憲), 어사대에서는 시어사(종5품, 2인), 감찰사에서는 시사(侍史)·시어사·장령, 사헌부에서는 내시사(內侍史)·장령(종4품) 등으로...
    시대 :
    고려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처 :
    어사대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대사헌 大司憲
    종2품. 대헌이라고도 했다. 고려 때에는 사헌대·어사대·금오대·사헌부·감찰사 등이 존폐를 거듭하며 사헌부에 해당하는 업무를 맡아보았다. 따라서 소속관원의 이름·정원·품계도 계속 바뀌어져 장관의 이름이 일정치 않았다. 대사헌이라는 이름이 기록상 처음 나타난 것은 1308년으로, 충선왕이 실권을 잡으면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