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암행어사 수의, 暗行御史
    조선시대 왕의 측근의 당하(堂下 : 정3품 하계 통훈대부 이하) 관원을 지방군현에 비밀리에 파견해 위장된 복장으로 암행하게 한 왕의 특명사신.|개설 당하 관원 중에서 임시적으로 특명해 이들을 비밀리에 보내면서 수령의 득실(得失 : 훌륭한 정치와 탐학한 정치)과 백성의 질고(疾苦 : 고통이나 어려움)를 탐문해 ...
    시대 :
    조선
    성격 :
    제도, 특명사신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암행어사 수의, 暗行御史
    조선시대 왕의 특명을 받고 지방을 암행하면서 감찰하는 관리.|직지·수의라고도 하며, 이는 어사를 가리키는 말로 중국 한나라의 고사에서 기원한 용어이다. 그러나 암행어사는 조선의 독특한 제도였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행정
  • 암행어사 (드라마)
    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 《암행어사》는 1981년 1월 5일부터 1984년 6월 16일까지 방영된 MBC 주간단막극으로, 암행어사의 치적을 엮어 무술을 가미한 오락 활극이다. 이 드라마는 암행어사 역의 이정길과 어사를 수행하는 하인 갑봉 역의 임현식, 그리고 그림자처럼 따라다니며 이들이 위험에 빠질 때마다 나타나 구해...
    도서 위키백과
  • 암행어사 Secret royal inspector, 暗行御史
    다른 뜻 암행어사(暗行御史 llang)는 조선 시대에 지방에 파견되어 지방관의 감찰과 백성의 사정을 조사하는 일을 비밀리에 수행했던 국왕 직속의 임시 관리로 부사의 일종이다. 수(직지)라고도 한다. 전국 지방행정의 감찰은 본래 사헌부의 임무이지만 교통과 통신수단의 불편으로 지방관의 악정을 철저히 적발하는 것...
    도서 위키백과
  • 상소제도의 중요성 (관련어 암행어사) 공정한 재판을 위한 장치
    상소제도의 뜻과 의미 법관의 독립을 보장하고 사법부 내부작용으로부터도 독립하여 재판하는 제도만 확립된다고 해서 모든 재판이 전부 공정한 결과를 낳을 수 있을까요? 법관이 독립하여 재판을 하도록 보장했지만, 법관의 판단이 독단에 치우친다거나 오판이 있을 위험성은 늘 있습니다. 재판 당사자들 또한 충분히 ...
  • 암행어사 (영화)
    영화 정보 "암행어사"는 한국에서 제작된 이규웅 감독의 1967년 영화이다. 신영균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홍성칠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신영균 윤정희 박노식 김효진 조명: 방한기 미술: 조경환
    도서 위키백과
  • 암행어사의 임무와 수행방식
    초기의 암행어사는 명령받은 고을만 감찰할 뿐 지나가는 읍의 불법은 보고할 수 없었으며, 임무도 전통적인 감찰사목인 형정·부세불균·군기점검·도량형·금령준수 등 수령의 업무수행 상황, 수령·향리·토호의 불법행위를 단속하는 데 주력했다. 그러나 이같은 방식은 숙종 때를 계기로 크게 바뀐다. 1681년(숙종 7...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조선
  • 암행어사의 운영방식
    암행어사는 보통 당하관(堂下官)으로 젊은 시종신(侍從臣:대간·언관·청요직 등을 말함) 중에서 뽑았는데, 왕이 직접 임명하거나 의정부에서 왕의 명령을 받고 후보자를 선정하여 천거하면 왕이 그중에서 선정하여 임명했다. 비밀을 유지하기 위해 왕이 승정원을 통해 어사임명자를 불러서 직접 임무와 목적지를 알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조선
  • 암행어사의 기원
    불시 파견이나 암행감찰이 용인되기 시작했다. 16세기에 들어 지방수령과 무장의 자질이 떨어지고 이들의 비리문제가 계속 커지자 마침내 암행어사가 제도화되었다. 암행어사라는 명칭은 1509년(중종 4) 11월 기록에 처음 나타나는데, 성종 말기에서 이 사이에 공식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점차 제도로 자리를 잡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조선
  • 박문수 암행어사의 대표 브랜드
    농담을 즐기는 유쾌한 선비 박문수(朴文秀, 1691~1756)는 암행어사로 역사에 이름을 날렸다. 조선시대에 수많은 암행어사가 있었지만 박문수를 첫 손가락에 꼽는다. 그런 탓으로 그에 얽힌 일화와 민담이 무수히 널려 있다. 그의 본관은 고령이었으며 그의 집안은 대대로 명문이었다. 그의 증조할아버지는 박장원(朴長遠...
    출생 :
    1691년
    사망 :
    1756년
  • Secret royal inspector 암행어사, 暗行御史
    Secret royal inspector, or Amhaeng-eosa (암행어사, 暗行御史, Ombudsman) was a temporary position unique to Joseon Dynasty, in which an undercover official directly appointed by the king was sent to local provinces to monitor government officials and look after the populace while traveling incogni...
  • 박문수 조선 후기의 문신
    고령, 자는 성보(成甫), 호는 기은(耆隱). 강직한 성품으로 고루 인재를 등용할 것을 주장했으며, 군정과 세제의 개혁을 주장했다. 부패한 관리를 적발한 암행어사로 이름이 높다. 강직한 성품에 적이 많아 관직 생활이 순탄하지는 않았고 끝내 정승이 되지는 못했으나, 이를 안타깝게 여긴 영조가 그의 사후에 영의정을...
    출생 :
    1691(숙종 17)
    사망 :
    1756(영조 32)
    국적 :
    조선, 한국
    종교 :
    유교(성리학)
    본관 :
    고령(高靈)
    자 :
    성보(成甫)
    호 :
    기은(耆隱)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5건

암행어사
암행어사
암행어사 민원처리 문건
조선시대 암행어사 민사 판결문
팔도어사재거사목
팔도어사재거사목
마패 앞면
마패 뒷면
마패
암행어사 박문수
암행어사의 상징, 마패
암행어사 보고서 친필본
암행어사 보고서 친필본
함경도 암행어사 개탁(開坼) 문서(1874년)
이두호의 ‘투명인간’과 ‘암행어사 허풍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