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義城塔里里五層石塔별석으로 만들었고, 남면에는 감실을 개설했으나 문비는 없고 문 주위에 2줄의 선을 양각했다. 우주는 신라의 석탑에서 드문, 위는 좁고 아래는 넓은 배흘림 양식으로 되어 있는데, 이것은 익산미륵사지석탑·부여정림사지5층석탑과 같은 백제계 석탑 양식을 따른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주두에는 좌두가 있고, 벽...
- 문화재 지정 :
- 국보(1962.12.20 지정)
-
-
안성 객사 安城 客舍결구하였다. 특히 헛첨차와 출목첨차들의 밑면은 연화두형수식(蓮花頭形修飾)이 있어, 고려시대 말기의 주심포 건축인 수덕사대웅전(修德寺大雄殿)의 공포양식과 흡사하다. 동서헌은 장대석 한벌대 기단 위에 다듬은 초석을 놓고 배흘림두리기둥을 세워 익공 하나로 결구한 초익공양식이다. 주관의 정면은 살대로 짠 벽...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고려시대의 한국 건축시대의 주심포계 건물로는 봉정사 극락전(12세기말에서 13세기초), 부석사 무량수전(13세기), 수덕사 대웅전(1308) 등이 있다. 이들 건축물의 건축양식을 보면 기둥은 배흘림이며, 주두와 소로는 굽면이 곡면이고 굽받침이 없다. 첨차의 밑면은 연화두형(쌍S자각)으로 초각했으며, 주두와 소로로 굽받침이 없는 것...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榮州 浮石寺 無量壽殿아름답다. 무량수전은 지대석, 면석, 갑석 등을 잘 다듬어 조성한 가구식 기단 위에 세워져 있다. 초석은 원형 주좌를 가공한 초석을 사용하였고 그 위에 배흘림이 뚜렷한 원기둥을 세웠다. 공포는 기둥 위에만 짜여 있으며 바깥에 출목(出目)이 있다. 주두는 하부가 곡선형이며 굽받침이 있다. 주두 위에는 첨차 하부에...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가운데와 모서리에 기둥돌을 끼워 놓았고, 탑신부의 각 층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을 세워놓았는데 위아래가 좁고 가운데를 볼록하게 표현하는 목조건물의 배흘림기법을 이용하였다. 얇고 넓은 지붕돌은 처마의 네 귀퉁이에서 부드럽게 들려져 단아한 자태를 보여준다. 좁고 얕은 1단의 기단과 배흘림기법의 기둥표현...
- 위치 :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정림로 83
- 문화재 지정 :
- [부여 정림사지] 사적 제301호(1983.03.26 지정),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국보 제9호(1962.12.20 지정)
- 참고 :
- 세계문화유산 등재
도서 대한민국 구석구석 -
충청남도 산림박물관전천후 자연학습 교육장으로 손색이 없는 시설을 갖추게 되었다. 특히 산림박물관의 웅장한 건물은 백제를 비롯한 한국 전통 목조건물 양식에 따라 지붕의 귀솟음, 기둥의 배흘림을 반영하였다. 전면에는 십장생도와 연화 · 인동 무늬를 동판에 새겨 붙여 전통사상을 나타냈다. 측면에는 전통 창살 무늬를 배경으로...
- 위치 :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산림박물관길 110
- 설립자 :
- 산림박물관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榮州 浮石寺 無量壽殿지붕이며 배흘림(엔타시스)이 뚜렷한 기둥이 받치고 있다. 정면에는 각 칸마다 살창을 달고, 측면은 벽으로 막았으며 뒷벽에는 가운데에 판문과 그 좌우로 붙박이 살창을 달았다. 공포는 기둥 위에 첨차와 살미[山彌]를 층층이 짜올린 주심포 형식으로 되어 있는데 첨차 끝부분이 쌍S자형의 곡선으로 된 것이 특징이다...
- 문화재 지정 :
- 국보(1962.12.20 지정)
-
영암 도갑사 해탈문 국보 제50호, 靈巖 道岬寺 解脫門동쪽에 보현보살을 대신 안치했다. 기단 위에는 자연석으로 초석을 배열하고 배흘림기둥을 세웠다. 기둥머리에는 헛첨차를 두어 주두 위에 놓인 살미첨차를...위에는 소슬합장재와 복화반을 두어 종도리를 받고 있다. 이 문의 건축양식은 기본적으로 부석사 조사당(국보, 1962.12.20 지정)과 같은 계통이지만 주심포...
- 문화재 지정 :
- 국보(1962.12.20 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