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주심포 주심포 건축, 柱心包
    주심포(柱心包)는 주두, 소로, 첨차, 살미 및 기타 구조 부재의 조합인 공포를 기둥 위에만 설치한 공포(栱包)의 유형이다. ‘주심포 건축’ 또는 ‘주심포집’이라고 해서 공포를 설치한 건축 유형을 총칭해 부르기도 한다. 고려 말 조선 초에 만들어진 건물의 상당수가 주심포 건축에 해당하며, 봉정사 극락전, 수덕사...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건축
  • 공포 (관련어 주심포) 栱包
    우리 나라와 중국·일본 등지의 전통목조건축에서 처마의 무게를 받치기 위해 기둥머리에 짜 맞추어 댄 부재(部材).|내용 일반적으로 궁궐 · 사찰 · 기념적 건축에 쓰이며, 기둥과 보, 기둥과 도리 등의 수직재(垂直材)와 횡재(橫材)가 맞추어질 때 장식적 또는 구조적으로 짜여져서 여러 부재가 결속된 것을 말한다...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주심포 Jusimpo
    주심포(柱心包)는 주두·소로·첨차·살미 및 기타 구조 부재의 조합인 공포(栱包)를 기둥 위에만 설치한 공포의 한 유형을 말한다. 부산의 운수사 대웅전은 기단 모서리에 세워지는 기둥 하부에 기둥 높이의 절반 정도까지 원형 돌기둥을 세워 목재 기둥을 받치도록 하였다. 주두와 소로는 굽 부분을 원호 모양으로 오...
    도서 위키백과
  • 공포 拱包
    한국의 건축) 공포는 구조적 기능뿐 아니라 의장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한국의 전통 목조건축은 공포가 놓여지는 위치와 결구방법에 따라 주심포 형식, 다포 형식, 익공 형식으로 분류된다. 주심포 형식은 기둥 위에만 두공을 배치하는 것으로 두공의 주두나 소로에 굽받침이 있고, 첨차의 밑바닥이 S자형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주심포 양식
    기둥 위에 짜임새를 만든 건축양식
  • 주심포식 柱心包式
    한국의 전통 목조건축은 지붕의 무게를 분산시키기 위한 짜임새인 공포(?包)가 놓여지는 위치와 결합방법에 따라 주심포(柱心包) 형식, 다포(多包) 형식, 익공(翼工) 형식으로 분류된다. 주심포 형식은 기둥 위에만 공포를 배치하는 양식이다. 고려시대에는 주심포(柱心包)와 다포(多包) 양식이 주류를 이루었다. 주심포...
    도서 다음백과
  • 순천 송광사 국사전 자음당(慈蔭堂), 順天 松廣寺 國師殿
    조성하였으며 바닥에 전돌을 깔았다. 초석은 자연석으로 일부는 주좌를 표현하였으며 그 위에 민흘림이 있는 원기둥을 세웠다. 공포는 외1출목(出目) 구조의 주심포 형식이다. 기둥머리에는 헛첨차를 끼우고 그 위에 소로를 올려 첨차와 살미(山彌)를 결구하였는데 건물 내부에서 헛첨차와 살미는 보를 받치는 보아지...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조선시대의 건축
    건축과 석조건축으로 나눌 수 있다. 목조건축으로는 궁궐·사찰·향교·서원 등이 주종을 이루었고, 건축양식은 고려시대에 수용되었던 주심포와 다포 양식이 주류를 이루었다. 주심포는 초기에 조성된 사찰의 주요법당을 비롯하여 지방의 성곽문 등에 많이 사용되었다. 다포는 궁궐의 정전과 주요건물 및 사찰의 법당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건축양식
  • 다포 多包
    내용 개념 공포는 처마를 더 많이 돌출시키기 위해 외목도리를 활용하는 구조체를 말한다. 주심포 건축은 외목도리를 기둥 상부에 놓이는 공포(주상포(柱上包))로만 지지하는데 반해서, 다포 건축은 기둥 사이의 공포(주간포(柱間包))와 함께 외목도리를 지지하는 방식이다. 다포 건축의 방식은 외목도리를 훨씬 효율적...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건축
  • 홍성 고산사 대웅전 洪城 高山寺 大雄殿
    기단 위에 세워져 있다. 초석은 자연석을 사용하였으며 그 위에 약간의 배흘림 또는 민흘림이 있는 원기둥을 세웠다. 기둥은 창방을 결구하여 고정시켰으며 주심포집임에도 불구하고 창방 위에 평방을 놓고 공포를 올렸다. 공포는 헛첨차가 없는 주심포 형식이다. 주두는 평굽으로 굽받침이 없으나 소로는 굽받침이 있는...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영천 은해사 거조암 영산전 永川 銀海寺 居祖庵 靈山殿
    부재 위에 이중으로 된 포작을 올려 마룻도리를 받치게 하였다. 이 마룻도리는 역시 안으로 굽은 솟을합장으로 받쳐지고 있고, 천장가구는 전혀 없어 주심포집의 한 특징인 연등천장(椽背天障)으로 되었다. 이 건물의 세부를 보면 주두나 소로가 다포집과 같은 형태로 된 것 이외에는 주심포집 양식의 초기적인 형태를...
    시대 :
    고려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전주 풍패지관 全州 豊沛之館
    행공첨차(行工檐遮)를 두었고, 보 방향으로는 기둥윗몸에서 헛첨차를 내어 그 위에 끝이 쇠서[牛舌]로 된 첨차를 낸 익공식에 가까운 일출목(一出目)의 주심포(柱心包)집이다. 살미첨차의 초공과 첨차가 합쳐진 당초문으로 조각된 보아지[梁奉]나 주심포양식의 말기적인 특징이 잘 나타난 장식적인 경향이 보인다. 이러...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5건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귀공포
안동 봉정사 극락전 공포
예산 수덕사 대웅전 공포
주심포, 고구려고분-
예산 수덕사 대웅전 주심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