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도깨비굿
    음력 2월 초하루 전라남도 진도군 일대에서 기혼 여성들만 참가하여 밤중에 행하는 마을굿.|내용 여성들의 무속·유교적 제의로, 음력 2월 초하루에 행한 ‘하루달’이라는 도깨비 명절의 밤에 행한다. 전라도에는 마한시대부터 내려온 여성제의가 있었다는 학설이 보편화되어 있다. 여성제의인 도깨비굿이 언제부터 ...
    성격 :
    마을굿
    유형 :
    의식행사
    장소 :
    전라남도 진도군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 도깨비굿
    전라도와 제주도 일대에서 행하는 굿놀이의 하나.|병이 돌거나 마을이 어려운 일에 처했을 때 이를 집단적으로 물리치는 굿이다. 마을에 전염병이 돌거나 가뭄이 계속될 때, 심지어는 행정기관들과 마찰이 생겼을 때 시위용으로도 이용되었다. 부녀자들이 주동이 되며 빠지는 집은 좋지 않다 해서 모든 집에서 다 나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의식행사
  • 서외 도깨비굿
    문화재 정보 서외 도깨비굿은 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 서외리 지역에서 음력 정월 대보름이나 전염병이 돌때 마을 여성들이 중심이 되어 벌이는 액막이굿이다. 2018년 4월 18일 진도군의 향토문화유산(무형유산) 제4호로 지정되었다.진도군 고시 제2018-36호, 《진도군 향토문화유산 지정 고시》, 진도군수, 2018-04-18...
    도서 위키백과
  • 도깨비
    도깨비신인 영감은 돼지고기나 수수범벅, 그리고 소주 등을 즐겨 먹으며, 또한 해녀나 과부 등 미녀를 좋아하여 같이 살자고 따라붙어 병을 주거나 밤에 몰래 여자방을 드나들기도 한다. 이 신의 범접으로 병이 났을 때 치료를 위한 굿으로 ‘영감놀이’를 행하는데, 이때 제상에는 영감이 좋아하는 음식을 차려놓는다...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 풍어제, 대동굿, 별신굿 공동체 안녕을 기원하는 제사들
    합니다. 산신, 나무신, 물신을 비롯하여 서낭신, 조상신, 심지어는 독갑이(도깨비), 마당귀신까지 듣고 보니 정말 다양합니다. 이러한 신들을 제사하는 몇몇...중요무형문화재 82호), 동해안 별신굿(82-1호), 서해안 배연신굿·대동굿(82호-2호), 위도 띠뱃놀이(82-3호), 남해안 별신굿(82-4호) 따위가 있습니다. 지정...
  • 잡귀 雜鬼
    여신(厲神), 사람에게 씌어 몹시 앓게 하는 저퀴 · 정귀(精鬼), 청계와 우두(牛痘)를 앓게 하는 우두지신(牛痘之神) 등이 있다. 그 밖의 잡신으로는 도깨비, 굿에 모여드는 온갖 잡귀인 수배신(隨陪神) · 수부(隨夫) · 수비, 떠돌아다니는 못된 귀신인 뜬것, 모질고 악한 귀신인 두억시니[斗玉神] 등이 있다. 민간...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 태을보신경 太乙保神經
    하기 전에 도교의 천황대제(天皇大帝)인 태을에게 자신과 기주 등을 보호해 달라고 기도하기 위하여 이 경문을 구송(口誦)한다. 특히 미친굿이나 정신병의 치유를 위한 굿도깨비굿, 우환굿인 병굿과 같은 경우에는 원귀에 의한 법사의 위해(危害)가 심하기 때문에 반드시 구송한다. 안택(安宅)과 같은 축원(祝願...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 조상경 조상안위경, 祖上經
    자꾸 후손에게 칭얼거린다. 따라서 후손에게는 느닷없이 또는 반복적으로 여러 재앙이나 우환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조상은 병굿이나 정신치유를 위한 도깨비굿 등을 할 때에 그 원한을 반드시 풀어주어야 집안이 편안해진다. 이 때에 구송하는 경문은 『조상해원경(祖上解寃經)』이다. 이 경문은 내용의 특성에...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 디딜방아액막이놀이
    행하기도 한다. 이를 '뱅이'라 부르며 '뱅이'를 하면 괴질이 마을로 들어오지 못하고 이미 들어온 질병도 물러가며 비도 온다고 믿었다. 이와 비슷한 것으로 전라도 진도지방에 도깨비굿이 전승되고 있다. 이러한 풍습들은 귀신들이 붉은 것을 피한다는 속신에서 비롯되었으며 여자의 생리대가 그런 역할을 한다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놀이
  • 영감놀이 令監놀이
    신이 바로 눈앞에 나타나고, 실제 행동으로 보여 주면서 소원을 들어주는 굿으로, 심방과 소무의 행위를 통해 자연스럽게 극적으로 연출된다. 무당의 굿이면서...의 성격과 가면극(假面劇)의 원초적인 모습을 보여 준다는 점이다. 먼저 도깨비를 영감 또는 참봉이라 부르는 것은 양반에 대한 서민적 풍자이다. 영감은 정...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구비문학
  • 두린굿 Durin-gut
    지는 굿이다. 1980년대 후반까지 일반적으로 개최되었지만 현대 정신 의학의 도입으로 인해 지금은 매우 드물어졌다. 한국의 무속신앙에서 질병은 육체적이든 정신적이든 종종 악령이 몸에 들어옴으로써 발생한다고 생각한다. 두린굿은 도깨비의 일종인 영감으로 자주 확인되는 이 정신을 쫓아냄으로써 정신 질환을 치료...
    도서 위키백과
  • 희곡무가 戱曲巫歌
    이름짓고 그 아이가 자라서 농사를 짓는 모습을 보여준다. 출산과 농경의 묘사를 통해 풍농을 기원하는 굿놀이이다. 영감놀이는 제주도 작은굿에서 행해지는 도깨비신에 대한 굿놀이로서 밤에 행해진다. 영감으로 분장한 무녀가 영감가면을 쓰고 횃불을 들고 문 밖에서 대기하고 있으면 수심방은 무의(巫醫)를 하게 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건

도깨비굿
진도 도깨비굿
진도 도깨비굿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