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도깨비 설화 도깨비說話도깨비 설화는 도깨비를 소재로 한 설화이다. 도깨비가 등장하는 대표적인 이야기로는 「도깨비방망이」, 「혹부리영감」,「도깨비감투」, 「도깨비의 도움으로 부자되기」, 「도깨비 물리치기」, 「도깨비 씨름」, 「도깨비와 수수께기 시합」, 「도깨비불」, 「도깨비 다리」 등이 있다. 도깨비는 양면성을 가지는데, 인간에게 풍요를 주...
- 유형 :
- 작품/문학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도깨비방망이 설화 뚝딱방망이짐작하게 한다. 오늘날의 서사 내용과 유사한 형태는 일제 강점기 조선총독부에서 출간한 『조선동화집』(1924)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후로 「도깨비방망이 설화」는 아동을 대상으로 전래 동화나 초등학교 교과서에 실려 전한다. 의의 및 평가 이와 같은 모방담의 구조는 착한 사람은 선행을 하여 행운을 얻지만, 선행은...
- 유형 :
- 작품/문학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도깨비감투 설화 도깨비감투 說話특징 도깨비감투 설화는 신이담(神異譚)에 속한다. 주로 머리에 쓰는 감투로 나타나고 있지만, 몸에 걸치는 등거리나, 나뭇잎 또는 풀잎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감투의 기능을 중시하여 ‘능통(能通) 감투’라고 불리기도 한다. 도깨비 감투는 신이한 능력을 가진 물건이라는 점에서 이 설화는 주보설화라고 할 수 있으며...
- 유형 :
- 작품/문학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혹부리 영감 설화 혹 떼러 갔다 혹 붙인 영감, 혹부리 令監 說話혹 떼러 갔다 혹 붙인 영감’, ‘혹부리 영감과 도깨비’ 등으로도 불린다. 우리나라 전 지역에서 전승되고 있다. 모방담의 형식은 범세계적이며, 「도깨비방망이설화」 · 「여우 잡은 소금 장수」 · 「금도끼 은도끼」와 같은 다른 이야기에서도 같은 구조를 볼 수 있다. 내용 혹부리 영감이 어느 날 도깨비들을 우연히...
- 유형 :
- 작품/문학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도깨비방망이 이야기’에서처럼 도깨비는 사람이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마련해줄 수 있는 신통력이나 그러한 물건을 지니고 있다. ≪삼국유사≫의 <비형설화 鼻荊說話>는 도깨비의 초인간적 능력을 잘 나타내어주는 것으로 문헌에 기록된 최초의 도깨비 이야기이다. 신라 진평왕 때 비형은 도깨비의 두목으로 하룻밤 사이에...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민간신앙
-
치부설화 치부담(致富談), 致富說話지략으로 부자의 쌀 노적을 차지한다. 또는 덕을 쌓아 얻은 물건, 우연한 횡재로 얻은 신통한 물건으로 부자가 되기도 한다. 이처럼 구전 설화에서는 우연히 업신, 도깨비, 비상한 물건, 명당, 복 있는 여자 등을 매개로 부를 성취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그에 반해 문헌 설화에서는 농사, 장사, 근검 절약과 같이...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응보설화 應報說話악한 의도를 갖고 있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그저 동물을 잡아 먹은 행위 때문에 부정적 결과에 직면하는 인물의 이야기가 그려지는 내용의 설화들도 있다. 귀신이나 도깨비, 혹은 그밖의 다양한 주술적 존재와의 관계에서 이와 같은 응보적 사건이 발생하는 경우 행위와 결과의 대비가 더욱 뚜렷하게 드러난다. 귀신...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말자 성공 설화 末子成功說話설화에서 선악이 대립할 때 일반적으로 형은 악인이며 동생은 선인으로 나타난다. 『흥부전(興夫傳)』에 등장하는 놀부와 흥부가 대표적인 예이다. 「도깨비방망이 설화」에서도 동생은 산에서 개암을 주워 가족 먼저 챙긴 뒤 맨 마지막 것을 먹으려 하였고, 그 결과 도깨비방망이를 얻어 부자가 되었다. 그러나 형은...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한국적 사고방식 속 고르곤 형상 얼굴의 참모습 들여다보기예다. 또한 장승은 디오니소스와 관련된 사티로스 같은 신과 마찬가지로 그 형상이 기괴하다. 하지만 고르곤의 얼굴처럼 무시무시하지는 않다. 오히려 도깨비처럼 경계에서 인간의 삶에 관여할뿐 위험한 존재는 아니다. 우리는 장승을 통해 한국의 멋진 설화를 만날 수 있다. 설화 속에서 장승은 강력한 상징성을 부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