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도깨비굿

다른 표기 언어

요약 전라도와 제주도 일대에서 행하는 굿놀이의 하나.

병이 돌거나 마을이 어려운 일에 처했을 때 이를 집단적으로 물리치는 굿이다.

마을에 전염병이 돌거나 가뭄이 계속될 때, 심지어는 행정기관들과 마찰이 생겼을 때 시위용으로도 이용되었다. 부녀자들이 주동이 되며 빠지는 집은 좋지 않다 해서 모든 집에서 다 나오며, 월경의 혈액이 묻은 속곳을 장대에 매달아 이것을 선두에 세워서 집집마다 방문하여 마당에서 돌고 농악을 친다. 여자들의 굿이기도 하고 속곳이 등장하기 때문에 남자들이 감히 낄 엄두도 못 낸다. 월경서답(여자의 생리용 천)을 매서 휘두르고 양푼을 두드리며 행진하는 위세는 가히 여성들만의 굿이라 할 수 있다.

병이 들면 도깨비가 몸에 들어왔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지역은 전라남도뿐만 아니라 제주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전라남도의 도깨비굿은 여인들만의 모임으로, 가장 부끄러워 감추기만 하는 월경 묻은 속곳을 집집마다 들고 다니는 것은 악한 짓을 하는 도깨비에 대한 도전이다.

또 하나는 민담이나 전설에서 도깨비는 모두 남자의 모습으로 표현되고 있기 때문에, 여자들만이 모여서 여자의 생산기능을 보여 주는 월경, 즉 음핵을 도깨비들에게 대담하게 드러냄으로써 도깨비들을 위로하고 풍물까지 곁들여 흥겹게 하여 병을 조용히 내보내자는 의도로도 간주된다. 여자들의 가장 은밀한 곳을 드러냄으로써 재액(災厄)을 물리친다는 이러한 속신은 역설적으로 민중들의 건강한 정서를 보여준다. 지금도 전라남도 진도에서는 이 놀이가 전승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의식행사

의식행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도깨비굿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