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네스토리우스교 Nestorian
    네스토리우스 교파는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의 독립성을 강조하여 그리스도의 두 본성은 결합된 2개의 인격이라고 주장했다. '동방의 교회' 또는 '페르시아 교회'가 대표적인 네스토리우스 교파이다. 현재 네스토리우스교도들은 대부분 이라크·시리아·이란에 살고 있다. 페르시아 교회는 486년에 네스토리우스파 신학...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네스토리우스파 (관련어 네스토리우스교) Nestorianism, ネストリウス派
    다른 뜻 넘어옴네스토리우스파(Nestorianism) 또는 경교(景敎)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네스토리우스(?년 ∼ 451?년)를 시조로 하는 기독교의 일파를 말한다. 아시리아 동방교회로 소급된다. 그리스도의 위격은 하나가 아니며, 신격과 인격이라는 두 개의 성격으로 분리 구별된다고 보았다(이성설二性說). 이것은 ...
    도서 위키백과
  • 바 사우마 Rabban bar Sauma
    중도(지금의 베이징)에 살고 있던 부유한 그리스도교 가문에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투르키스탄의 유목민족인 위구르족의 후예였다. 그는 23세 때 네스토리우스교의 성직자가 되어 고행자로서 또 스승으로서 명성을 얻었다. 제자 마르쿠스와 함께 예루살렘으로 성지순례를 떠나서 중국 서부의 간쑤 성[甘肅省]과 허톈...
    출생 :
    1220경, 중국 중도(中都)
    사망 :
    1294. 1, 이라크 바그다드
    국적 :
    몽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시리아 성가 Syrian chant
    시리아 교회에는 야코부스파 교회나 네스토리우스교 같은 동방정교회, 마론파 교회(대부분 레바논에 있음)나 네스토리우스교에서 이탈한 칼데아 교회처럼 로마 교회와 연합해 있는 동방전례교회가 있다. 그밖에도 이와 비슷한 인도 말라바르 지역의 몇몇 분파들이 시리아 그리스도교 교회에 속한다. 19세기 이전의...
  • 라흠 왕조 Lakhmid dynasty
    아랍 왕국인 가산에 도전하는 등 전성기를 누렸다. 그의 아들 암르 이븐 힌드(554~569)는 시인 타라파를 비롯해 이슬람 이전의 아랍 시 〈무알라카트 Mu⁽al-laqāt〉('못 다 부른 노래')와 관계있던 시인들의 후원자였다. 602년 네스토리우스교도 그리스도교의 한 종파였던 안 누만 3세의 죽음과 더불어 왕조도 끝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비림 박물관 중국을 대표하는 성계가들의 필체가 한자리에
    한데 모아 두었다. 하나 더 눈여겨 볼 것은 ‘대진경교유행중국비(大秦景教流行中国碑)’이다. ‘경교(景教)’는 고대 기독교 종파 가운데 하나인 네스토리우스교를 뜻한다. 781년에 세워진 이 비석에는 기독교가 중국에 전파된 과정이 상세히 기록돼 있을 뿐 아니라,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기독교 관련 비석이라는 데...
    위치 :
    西安市 碑林区 文昌门内 三学街 15号(近书院门)
    요금 :
    3월 1일~11월 30일 ¥75, 12월 1일~2월 28일 ¥50
    가는 법 :
    14, 25, 40, 41번 버스 타고 원창먼(文昌门) 정류장 하차, 도보 5분. / 남문(南门)에서 도보 15분.
    사이트 :
    www.beilin-museum.com
    이용 시간 :
    성수기 08:00~18:45(18:00까지 입장권 판매) / 비수기 08:00~18:00(17:15까지 입장권 판매)
    도서 인조이 중국 | 태그 해외여행
  • 네우마 neuma
    나타냈다면 어떻게 나타냈는지는 아직도 논쟁의 여지가 남아 있다. 음의 길이(음가)를 나타내는 네우마는 13세기 후반부터 분명한 모습으로 발전했다. 인도ㆍ티베트ㆍ중국ㆍ일본의 불교음악 악보에서 독특한 체계의 네우마가 쓰이고 있으며, 이 체계는 아마 고대 중앙아시아의 네스토리우스교에서 가져온 것으로 여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둔황 敦煌, Tunhuang
    지어진 것으로 AD 5~11세기에 만들어진 무려 2만 점 가량의 그림과 필사본들이 소장되어 있었다. 여기에는 불교뿐 아니라 도교·조로아스터교·네스토리우스교의 경전들과 중세 중국사회의 역사를 탐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는, 평신도들이 직접 쓴 기록도 상당히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1970년대 초반 신장...
    위치 :
    중국 간쑤 성 북서부
    인구 :
    111,535명 (2010 추계)
    면적 :
    3.2㎢
    언어 :
    중국어
    대륙 :
    아시아
    국가 :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여동빈 여암, 呂洞賓
    성공적인 미래가 갑작스런 재난으로 끝나버리는 환상을 보게 되었다. 꿈에서 깨어난 그는 속세와 인연을 끊었다. 그는 8선 가운데 가장 유명하며, 네스토리우스교의 영향을 받은 도교교파를 창시하여 여조라고 불렸다. 도교 경전 가운데 수십 권이 그가 쓴 것이라고 하며, 〈금화총서 金華叢書〉에 그의 작품이 들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시리아 문자 Syriac alphabet
    시리아 그리스도교도들이 시리아 필기문자를 계속 썼다. 팔레스타인의 시리아인으로 구성된 멜키트파의 문서는 뒤늦은 14세기에 작성되었다. 동부어, 즉 네스토리우스교의 필기문자는 13, 14세기까지 중앙 아시아와 시베리아에서 쓰였고, 이러한 사실은 시베리아 남부에서 발견된 묘비의 비문으로 입증되었다. 지금 남아...
  • 시리아 야코부스파 교회 Syrian Jacobite Church
    통해 다스리는 '밀레트'(millet), 즉 비(非)이슬람 종교 공동체로 취급받았다. 시리아니는 서부 시리아 밀레트(동부 시리아 밀레트는 아시리아인, 즉 네스토리우스교도)로 알려졌다. 17세기에 이들 중 소수가 로마와 연합하여 시리아 가톨릭교도가 되었고, 나머지 서부 시리아인들은 시리아 정교회로 알려졌으나 칼케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기독교 , 종교
  • 도릴라에움의 에우세비오 에우세비오, Eusebius of Dorylaeum
    네스토리우스교에 반대한 것으로 유명하다. 칼케돈 공의회(451)에서 교리를 작성한 사람들 가운데 하나였다. 평신도 시절에 콘스탄티노플 전역에 자신의 유명한 저서 〈논쟁 Contestatio〉을 보급하고 신자들에게 네스토리우스에 반대해야 한다고 호소함으로써 최초로 콘스탄티노플의 총대주교인 네스토리우스의 가르침...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동방 기독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