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pollination 꽃가루받이 수분, 受粉속씨식물의 꽃가루는 암술의 주두(柱頭)에, 겉씨식물의 꽃가루는 배주(胚珠)의 주공(珠孔)에 부착하는 현상. 자가수분과 타가수분으로 나뉜다. 또한 꽃가루의 이동을 매개(媒介)하는 것에 따라 수매(水媒), 풍매(風媒), 동물매(충매, 박쥐매, 조매, 달팽이매) 등으로 나눌 수도 있다.
-
꽃가루받이와 꽃가루받이매개체개요 꽃가루가 수술로부터 밑씨(겉씨식물의 경우)와 암술머리(속씨식물의 경우)에 전달되는 것을 꽃가루받이라 한다. 식물은 한 장소에 고정하여 살고 있으므로 꽃가루받이를 외부매개체에 의존해야만 한다. 겉씨식물은 전적으로 바람에 의해 꽃가루받이가 일어나지만 속씨식물은 다양한 매개체를 통해 꽃가루받이가...
-
제꽃가루받이와 딴꽃가루받이같은 식물체 내의 딴 꽃 내에서 일어나는 꽃가루받이를 제꽃가루받이[自家受粉], 다른 식물체간의 꽃가루받이를 딴꽃가루받이[他家受粉]라 한다. 딴꽃가루받이는 다양한 자손을 만들므로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게 하고 따라서 많은 식물에서 제꽃가루받이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보유하고 있다. 구조적으로 방지할 수...
-
-
hydrophily 수매 물 꽃가루받이, 水媒물을 매개로 수분이 이루어지는 현상. 물 속에서 수분이 이루어지는 경우(hypohydrogamy)와 물 위에서 수분이 이루어지는 경우(epihydrogamy)가 있다.
-
식물의 열매 맺기를 도와주는 동물나비, 사향제비나비는 쥐방을 덩굴에 애벌레를 기릅니다. 이러한 식초식물을 잘 기르면 나비들이 즐겨 찾아 올 것입니다. 파리와 노린재에 의한 가루받이 파리목의 곤충들이 꽃에 앉아 있는 것을 많이 보는데, 파리목의 곤충은 빨대 주둥이가 없고 핥아 먹는 혀가 있어서 보통 꿀샘에서 꿀이 넘쳐흐르는 초본류를 파리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