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가루받이 수분, pollination
    종자식물의 수술에서 만들어지는 가루 알갱이를 밑씨나 밑씨가 들어 있는 기관으로 운반하는 과정. 수분이라고도 한다.|수정이 이루어지고 씨를 만들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 과정이 필요하다. 피는 식물에서 밑씨는 속이 비어 있는 암술대의 밑에 들어 있고, 가루는 암술머리 위에 떨어진다. 가루가 자라기 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물
  • pollination 꽃가루받이 수분, 受粉
    속씨식물의 가루는 암술의 주두(柱頭)에, 겉씨식물의 가루는 배주(胚珠)의 주공(珠孔)에 부착하는 현상. 자가수분과 타가수분으로 나뉜다. 또한 가루의 이동을 매개(媒介)하는 것에 따라 수매(水媒), 풍매(風媒), 동물매(충매, 박쥐매, 조매, 달팽이매) 등으로 나눌 수도 있다.
  • 가루받이
    수술에서 나온 가루가 암술머리에 붙은 것으로, 수분(受粉)이라고도 한다. 같은 의 수술과 암술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자화수분, 같은 개체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자가수분, 다른 개체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타가수분이라고 한다. 또, 인공수적으로 수분시키는 것을 인공수분이라고 한다.
    도서 익생양술대전 | 태그 식물
  • 가루받이 Pollination, 受粉
    수분(受粉)은 가루가 식물에 전이되어 수정을 거쳐 유성 생식에 이를 수 있게 하는 과정을 가리킨다. 가루받이라고도 한다. 수분에 대한 연구는 식물학, 원예, 곤충학, 생태학과 같은 수많은 원칙과 함께한다. 가루 매개자(화분수) 사이에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가리키는 이 수분 과정은 18세기 임시링크이 처...
    도서 위키백과
  • 가루받이가루받이매개체
    개요 가루가 수술로부터 밑씨(겉씨식물의 경우)와 암술머리(속씨식물의 경우)에 전달되는 것을 가루받이라 한다. 식물은 한 장소에 고정하여 살고 있으므로 가루받이를 외부매개체에 의존해야만 한다. 겉씨식물은 전적으로 바람에 의해 가루받이가 일어나지만 속씨식물은 다양한 매개체를 통해 가루받이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제꽃가루받이와 딴가루받이
    같은 식물체 내의 딴 내에서 일어나는 가루받이를 제꽃가루받이[自家受粉], 다른 식물체간의 가루받이를 딴가루받이[他家受粉]라 한다. 딴가루받이는 다양한 자손을 만들므로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게 하고 따라서 많은 식물에서 제꽃가루받이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보유하고 있다. 구조적으로 방지할 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속씨식물 angiosperm
    식물 중에서 종수가 가장 많아 약 25만 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오늘날 지구표면에서 우점종으로 자리잡고 있다. 침엽수림이나 툰드라, 또는 양치류나 소철 종류들이 우점종인 숲속에서도 속씨식물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분류학적 위치에 대해서는 아직 많은 논란이 있는데, 한때 종자식물문에 속하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물
  • 곤충의 중요성
    세균에 의해 분해되는 썩은 고기는 쉬파리의 구더기에 의해 그 부패가 촉진된다. 한편 곤충과 은 서로 공진화(共進化)하는데, 많은 식물이 곤충에 의해 가루받이가 되기 때문이다. 또한 어떤 곤충은 다른 곤충을 포식하여 특정 곤충의 개체군이 폭발적으로 발생하지 못하도록 억제해주며, 해충을 생물학적으로 방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절지동물
  • hydrophily 수매 물 꽃가루받이, 水媒
    물을 매개로 수분이 이루어지는 현상. 물 속에서 수분이 이루어지는 경우(hypohydrogamy)와 물 위에서 수분이 이루어지는 경우(epihydrogamy)가 있다.
  • 식물의 열매 맺기를 도와주는 동물
    나비, 사향제비나비는 쥐방을 덩굴에 애벌레를 기릅니다. 이러한 식초식물을 잘 기르면 나비들이 즐겨 찾아 올 것입니다. 파리와 노린재에 의한 가루받이 파리목의 곤충들이 에 앉아 있는 것을 많이 보는데, 파리목의 곤충은 빨대 주둥이가 없고 핥아 먹는 혀가 있어서 보통 꿀샘에서 꿀이 넘쳐흐르는 초본류를 파리가...
  • 가루받이
    져 수정이 일어난 경우를 제꽃가루받이라고 하며, 이와는 달리 난세포와 정세포가 각각 다른 식물체에서 만들어져 수정이 일어나는 경우를 딴가루받이라고 한다. 딴가루받이로 씨가 만들어지면 양쪽 부모의 유전형질을 둘 다 지니게 되어 환경이 바뀌더라도 쉽게 적응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식물들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태계 , 생물
  • 화분매개곤충 꽃가루받이 매개곤충, 花粉媒介昆蟲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