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절지동물문(節肢動物門 Arthropoda) 곤충강(昆蟲綱 Insecta)에 속하는 동물들이 인간 생활과 문화에 미치는 영향.
자연계에서의 역할
세균이나 균류(菌類), 다른 생물들을 도와 유기물 분해나 토양형성에 기여한다.
예를 들어 주로 세균에 의해 분해되는 썩은 고기는 쉬파리의 구더기에 의해 그 부패가 촉진된다.
한편 곤충과 꽃은 서로 공진화(共進化)하는데, 많은 식물이 곤충에 의해 꽃가루받이가 되기 때문이다. 또한 어떤 곤충은 다른 곤충을 포식하여 특정 곤충의 개체군이 폭발적으로 발생하지 못하도록 억제해주며, 해충을 생물학적으로 방제할 목적으로 이용되는 곤충도 있다.
상업상의 중요성
어떤 곤충은 인간에게 유용한 비단·밀랍·도료 등의 재료가 되는 물질을 만들어낸다.
이런 면에서 중요한 곤충들로는 누에나방(Bombix mori)과 꿀벌이 있다. 누에나방의 유충(幼蟲)은 침샘에서 분비되는 비단섬유로 고치를 만드는데, 인간은 이 고치에서 비단을 얻는다. 꿀벌은 꽃의 꿀을 모아 벌꿀을 만들며, 벌꿀생산의 부산물로 나오는 밀랍(bee wax)은 초, 가구, 자동차의 광택제, 화장품 재료 등으로 이용된다.
한편 곤충은 중요한 영양공급원이 되도 하여 메뚜기나 개미, 여러 곤충의 애벌레(구더기)를 단백질원으로 먹는 나라도 있다.
또한 깍지벌레가 분비하는 물질은 옷을 염색하거나 립스틱을 만드는 도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농업상의 중요성
곤충은 작물이나 삼림 등에 2가지 경로로 피해를 준다.
하나는 식물의 잎을 먹거나 줄기·열매·뿌리에 구멍을 뚫어 피해를 주는 것으로, 메뚜기목·매미목·노린재목·딱정벌레목·나비목·파리목에 속하는 수백 종의 유충이나 성체가 이러한 방법으로 피해를 준다. 다음은 곤충 그 자신은 거의 또는 전혀 피해를 주지 않으나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농작물에 매개하여 간접적으로 피해를 주는 경우이다. 예를 들면 사탕무와 토마토에 생기는 바이러스성 질병은 진디가 식물에서 식물로 매개한다.
벼메뚜기류는 독립적으로 생활하는 동안에는 거의 해를 주지 않으나, 그들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거대한 떼를 형성하였을 때는 바람이나 날개를 이용하여 160㎞ 이상을 이동하며 농작물을 완전히 파괴한다.
사막메뚜기(Schistocerca gregaria), 이동메뚜기(Locusta migratoria)를 예로 들 수 있다.
의학상의 중요성
곤충은 인간이나 가축에 대해 직접적·간접적으로 해를 끼친다.
곤충이 인간에게 직접 해를 끼치는 경우로는 침으로 찌르거나 입으로 물어뜯어 인간을 괴롭히기도 하는데, 이는 비교적 덜 중요하다. 또 어떤 쉬파리는 살아 있는 동물이나 인간의 조직에 그들의 알을 낳는데, 미국 남부와 중남미의 검정파리속(─屬 Cochliomyia)이 그 예이다.
한편 인간이 걸리는 대부분의 열병은 곤충이 매개하는 미생물에 의한 것이다.
말라리아는 플라스모디움속(Plasmodium) 원생동물들이 일으키는 것으로, 아노펠레스속(Anopheles) 모기가 매개한다. 또 열병을 일으키는 스피로케테스속(nullsmodium) 원생동물들이 일으키는 것으로, 아노펠레스속(Anopheles) 모기가 매개한다. 또 열병을 일으키는 스피로케테스속(nullium) 원생동물들이 일으키는 것으로, 아노펠레스속(Anopheles) 모기가 매개한다. 또 열병을 일으키는 스피로케테스속(null 원생동물들이 일으키는 것으로, 아노펠레스속(Anopheles) 모기가 매개한다. 또 열병을 일으키는 스피로케테스속(null물들이 일으키는 것으로, 아노펠레스속(Anopheles) 모기가 매개한다. 또 열병을 일으키는 스피로케테스속(null일으키는 것으로, 아노펠레스속(Anopheles) 모기가 매개한다. 또 열병을 일으키는 스피로케테스속(null 것으로, 아노펠레스속(Anopheles) 모기가 매개한다. 또 열병을 일으키는 스피로케테스속(null, 아노펠레스속(Anopheles) 모기가 매개한다. 또 열병을 일으키는 스피로케테스속(null펠레스속(Anopheles) 모기가 매개한다. 또 열병을 일으키는 스피로케테스속(null(Anopheles) 모기가 매개한다. 또 열병을 일으키는 스피로케테스속(nullpheles) 모기가 매개한다. 또 열병을 일으키는 스피로케테스속(nulles) 모기가 매개한다. 또 열병을 일으키는 스피로케테스속(null모기가 매개한다. 또 열병을 일으키는 스피로케테스속(null매개한다. 또 열병을 일으키는 스피로케테스속(null. 또 열병을 일으키는 스피로케테스속(null열병을 일으키는 스피로케테스속(null일으키는 스피로케테스속(null 스피로케테스속(null케테스속(null(null TYPE="ITALIC">Spirochetes)은 이(Pediculus)를 통해 인간에게 전해진다.
원생동물인 레이시마니아류에 의해 발병되는 레슈마니아증(Leishmaniasis)은 나방파리속(Phlebotomus)이 매개하며, 아프리카에 사는 인간이나 소떼에게 수면병을 유발시키는 것은 트리파노소마(Trypanosoma)라는 원생동물로 이들은 체체파리속(Glossina)이 매개한다.
이외에도 집파리는 인간이 먹는 음식물을 오염시킴으로써 장티푸스·설사·이질 따위의 질병을 퍼뜨리는데, 이들은 바실루스속(Bacillus) 박테리아균에 의한다. 이외에도 모기는 황열병·뇌염 등의 바이러스성 질병을 퍼뜨린다.
또한 벼룩은 들쥐로부터 집쥐와 사람에게 흑사병을 옮기며, 사람의 이를 통해 전염되는 티푸스는 리케차라는 미생물에 의해 발생한다.
티푸스·야토병(野兎病)·황열병 등은 동물 보균자에 의해 유지되다가 때로 인간에게 퍼지기도 한다.
곤충피해의 조절
곤충개체군은 날씨·포식자와 기생자·바이러스·세균·곰팡이 따위에 의하여 제한을 받으며, 다른 요인에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곤충개체군의 크기를 제한할 수 있는 다른 곤충이나, 곤충에게 질병을 매개하는 병원균을 이용하여 해충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인간과 동물이 사는 집이나 하수처리를 개선하면서 다양한 질병이 세계 여러나라에서 제거되었다. 농약과 화학약품의 사용으로 해충이 많이 사라지고 있는데, 이에 큰 역할을 한 약품으로는 1940년대초부터 사용되기 시작한 DDT와 그 이후에 보급된 다이엘드린(dieldrin)과 엔드린(endrin) 등이 있다.
이러한 농약 및 살충제의 사용으로 해충구제에 성과가 있었으나, 약제의 독성이 날로 높아져감에 따라 익충(益蟲)·인간·가축에 미치는 피해와 영향이 커졌고 공해문제가 심각하게 대두 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절지동물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