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교육조서 교육입국조서, 敎育詔書1895년 2월 2일 고종이 조칙(詔勅)으로 발표한 교육에 관한 교서. 개설 교육입국조서라고도 한다. 교육에 의한 입국(立國)의 의지를 천명한 것으로, 근대식 학제를 성립시킬 수 있는 기점을 마련하였다. 1894년 6월에 학무아문을 두고 제도적으로 새로운 학제를 실시하였다. 내용 이 조서는 교육은 국가 보존의 근본이...
- 시대 :
- 근대
- 유형 :
- 문헌
- 분야 :
- 교육
-
교육 敎育이르기까지 차례로 설립할 것을 알렸다. 이듬해에 고종은 「홍범14조」를 선언한 가운데 근대교육을 받아들일 것을 공식적으로 발표하였으며, 이어 교육조서(敎育詔書)를 통해 교육의 중요성을 재천명하였다. 이러한 교육입국의 정신에 따라 정부는 1895년 4월에 교사양성을 위한 「한성사범학교관제」를 공포하였다. 이...
- 유형 :
- 개념
- 분야 :
- 교육
-
교육사상 敎育思想교육으로써 나라를 바로잡아야 한다는 ‘교육입국’의 이상과 굳은 결심을 피력한 조서가 반포된 것은 1895년(고종 32) 2월의 일이었다. 이 교육조서에서는, 교육은 고인(古人)의 찌꺼기만 좇는 것이 아니고 실용을 취하여야 하며, 교육의 실제는 덕·체·지의 삼육(三育)에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학교를 많이 세우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교육/교육
-
전인교육 全人敎育개설 1895년(고종 32) 고종은 전인교육 취지을 담은「교육입국조서」를 발표하였다.「교육입국조서」의 내용은 유교경전 중심의 경학교육을 비판하고 덕육(德育)·체육(體育)·지육(智育)의 교육구상이다. 광복 후에 교육 목적은 1949년에 제정된「교육법」 제1조에 의하면 인격완성이었다. 그러나 이 법은 1998년「교육...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교육/교육
-
국어교육 國語敎育교육을 받은 사람이면 누구나 어느 수준 이상의 붓글씨를 쓸 수 있게 되었던 것이다. (2) 개화기 갑오경장을 계기로 다음 해인 1895년 2월 2일 고종은 교육에 관한 조서(詔書)를 내려 덕양(德養)·체양(體養)·지양(智養)으로써 교육의 3대강기(三大綱紀)로 삼았는데, 덕육(德育)을 지육보다 우위에 세운 것은 괄목할...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학교 學校인재를 양성하려고 하니 적극 참여할 것이며, 장차 대학과 전문학교는 차례로 세울 계획”이라고 하였다. 그 다음해에 고종은 ‘교육입국’의 조서를 발표하여, 종래 경전 중심의 교육에서 탈피하여 지(知) · 덕(德) · 체(體)를 중요시하는 새로운 교육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교육입국의 정신 아래 정부는 1895년 4월...
- 유형 :
- 제도
- 분야 :
- 교육
-
-
-
승진조서 昇進詔書, promotion report승진조서란 교원 자격 등의 심사 평가 대상자에 관한 세부 정보를 기재한 문서를 말한다. 승진조서 작성 시에는 성명, 소속, 생년월일 등의 기본 정보를 비롯...저서 및 논문의 발표연월일을 빠짐없이 기재하도록 한다. 그 밖에 연구 업적, 교육 업적, 심사평 등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밝혀 작성하도록 한다. 구성항목...
- 분류 :
- 회사서식 > 인사/노무서식
- 원문 :
- https://www.yesform.com/dic/yesform_document/view/116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