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교육 敎育法
    교육에 관한 종합적인 법률.|개설 넓은 의미로 볼 때 교육이란 한 나라의 교육의 이념, 목적, 제도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한 교육과 관련된 법규 모두를 의미한다. 교육의 존재 형식은 성문법을 원칙으로 하되 성문법이 미비한 경우 불문법도 가능하다. 성문법의 형식으로는 헌법, 법률, 령, 조례와 규칙 등...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교육/교육
  • 교육 敎育法
    대한민국의 교육은 1949년 12월 제86호로 제정된 교육을 의미하지만 광의로 쓰일 때는 교육관계 법령 일체를 말한다. 헌법 제31조에서는 의무교육, 무상교육, 교육의 자주성, 전문성, 정치적 중립성 및 대학의 자율성, 평생교육, 교육제도의 법률주의 등을 규정하고 있다. 현행 교육은 10개의 장과 164개의 조 및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교육
  • 교육기본 (관련어 교육법)
    대한민국의 교육기본은 1997년 12월 13일 제정된 교육교육제도에 관한 기본적 사항을 정한 법률이다. 교육은 1949년 12월 31일 제정된 으로서, 이는 교육기본이 제정되면서 폐지되었다. 그러나 편의상 교육기본교육이라고 줄여서 부르는 경우가 많다. 교육 내에서의 평등은 절대적 평등을 원칙으로...
    도서 위키백과
  • 고등교육 高等敎育法, higher education act
    학교 종류, 교육과정, 수업 및 수업 연한, 입학 및 졸업, 학위 수여 등 고등교육제도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정하고 있다. 1949년 12월 31일에 제정·공포된 '교육'이 1997년까지 38회의 개정으로 인해 그 체계와 내용의 일관성이 부족하고, 당시의 교육 여건에 부합하지 못하며, 각급 학교의 특수성을 충분히 반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 障碍人等─特殊敎育法
    등 차별을 행하였을 경우에는 교육기관의 장에게 3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하고 있다(제38조). 변천과 현황 2007년 5월 25일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이 법률 제8483호로 공포됨으로서 1977년 12월 31일 제정·공포된 법률 제3053호 「특수교육 진흥」이 폐지되었다. 의의와 평가 3~17세 특수교육대상...
    시대 :
    현대
    성격 :
    특수교육법, 법률 제8483호
    유형 :
    제도
    시행일 :
    2007년 5월 25일
    분야 :
    교육/교육
  • 평생교육 平生敎育法
    개설 헌법에 규정된 평생교육의 진흥에 관한 국가의 책무를 완수하기 위해 1982년 12월 31일에 제정된 사회교육을 1999년 8월 31일에 전부개정(법률 제6003호)하여 탄생된 8장 46조 부칙으로 구성된 이다. 내용 제1장은 총칙으로서 의 목적, 평생교육 및 관련 용어의 정의, 평생교육의 이념,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시대 :
    현대
    유형 :
    제도
    분야 :
    교육/교육
  •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 障碍人等-對-特殊敎育法
    이상의 전공과를 설치·운영할 수 있다(제24조). 대학의 장은 장애학생의 교육 및 생활에 관한 지원을 총괄·담당하는 장애학생지원센터를 설치·운영해야 하며...제공해야 한다(제31조). 장애학생 및 그 보호자는 대학에 이 에 따른 각종 지원조치를 제공할 것을 서면으로 신청할 수 있고, 대학의 장은 이에 대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복지 ,
  • 평생교육 平生敎育
    이루어지고 있으며 방계학교와 그 밖의 교육기관들은 그에 대한 보완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학교는 아무나 설립, 운영할 수 없으며 <초중등교육>과 <고등교육>에 의거하여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 학교로 인가받은 경우가 아니면 학교라는 명칭을 쓸 수 없다. 즉, 학교는 에 따라 그 권위...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교육/교육
  • 평생교육 平生敎育法
    제6장 문자해득교육, 제7장 평생학습 결과의 관리·인정, 제8장 보칙 등 전문 46조와 부칙으로 이루어져 있다. 1982년 12월 31일 법률 제3648호에 의해 〈사회교육〉으로 제정되었다가 1999년 8월 31일 법률 제6003호로 내용이 전부 개정되며 〈평생교육〉으로 법률명이 변경된 후 일부 내용이 개정되었다. 이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유아교육 幼兒敎育法
    제정된 이후 일부 내용이 개정되었다. 이 에서 사용하는 '유아'란 만 3세부터 초등학교 취학 전까지의 어린이를 말하며, '유치원'이란 유아의 교육을 위해 이 에 따라 설립·운영되는 학교를 말한다(제2조).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보호자와 더불어 유아를 건전하게 교육할 책임을 진다(제3조). 유아교육에 관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강사 시간강사법
    개요 <고등교육>의 일부개정법률안으로 시간강사에게 교원 지위를 주고 임용 기간 보장 등을 규정한 법률. 2010년 조선대 강사 서정민 씨가 시간강사의 열악한 처우를 호소하며 목숨을 끊은 사건을 계기로 논의가 시작되어, 2011년 개정안이 반영되었으나 한 대학에서의 책임시수의 과다 문제, 대학의 자의적인 해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교육 , 시사용어
  • 인성교육진흥
    7월부터 시행되고 있다. 인성교육이란 자신의 내면을 가꾸고 타인이나 공동체와 더불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역량을 기르는 교육이다.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인성교육진흥」에 따라 인성교육에 관한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정책을 수립해 시행하는 한편, 학생의 발달 단계와 학교 상황에 적합한 인성교육 시책을 마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교육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평생교육법(平生敎育法)
인성교육진흥법
▲ 일정한 나이가 되면 교육 기본법에 따라 중학교까지 의무 교육을 받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