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들빼기쌉쌀한 맛으로 입맛이 없을 때 식욕을 돋워주기도 하는 고들빼기는 봄 고들빼기와 가을 고들빼기로 구분할 수 있다. 봄에 채취하는 고들빼기 어린 싹은 섬유질이 적고 부드러워 겉절이나 초무침을 한다. 가을 고들빼기는 일찍 파종할 경우 8월 하순이나 9월 상순부터 솎음질 한 것을 출하할 수 있다. 김장철인 11~12월 ...
- 분류 :
- 농산물 〉 채소류 〉 산채류
- 원산지 :
- 전북 고창, 전남 순천/여수/광양 등
- 생산시기 :
- 3~4월, 10월 중순~12월 중순
- 생산량 :
- 2011년 429톤
- 가공식품 :
- 절임(장아찌), 김치 등
-
고들빼기 참꼬들빽이, Youngia sonchifolia초롱꽃목 국화과 고들빼기속에 속하는 두해살이풀. 한국과 중국 등의 아시아가 원산이다. 전국 각지의 산야, 민가 부근의 공터, 텃밭 등에 자생하며, 근래에는 농가에서 특용작물로 밭에 재배한다. 노랗게 피는 꽃은 가을국화꽃과 유사하고, 줄기는 적자색을 띤다. 입맛을 돋우기 위해 쓴맛이 나는 연한 잎과 뿌리를 나...
- 분류 :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초롱꽃목 > 국화과 > 고들빼기속
- 원산지 :
- 아시아 (중국,대한민국)
- 서식지 :
- 산, 들, 재배
- 크기 :
- 약 80cm
- 학명 :
- Youngia sonchifolia
- 꽃말 :
- 순박함
-
고들빼기 소고거(小苦苣)개요 전국의 산과 들에 흔하게 자라는 한해 또는 두해살이풀로 중국에도 분포한다.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털이 없고, 높이 20-100cm, 자줏빛이 돈다. 뿌리잎은 잎자루가 없고, 꽃이 필 때 남아 있기도 한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 밑이 넓어져서 줄기를 크게 감싸고, 가장자리에 불규칙...
- 분류 :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국화목 > 국화과 > 긴갯고들빼기속
- 서식지 :
- 산지, 들판, 목장 지대, 공터, 길가, 밭두렁
- 학명 :
- Crepidiastrum sonchifolium (Bunge) J. H. Pak & Kawano
- 국내분포 :
- 전국
- 해외분포 :
- 중국
-
고들빼기국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 내용 학명은 Crepidiastrum sonchifolium (Maxim.) Pak & Kawano이다. 『동의보감(東醫寶鑑)』·『제물보(㐧物譜)』·『물명고(物名攷)』·『명물기략(名物紀略)』에서는 ‘고채(苦菜)’라 하였다. 『명물기략』에는 “고채는 고도(苦荼)라고도 하는데, 이것이 고독바기가 되었다. 고들...
- 분류 :
- 국화과
- 성격 :
- 식물, 풀
- 유형 :
- 동식물
- 크기 :
- 높이 80㎝
- 학명 :
- Crepidiastrum sonchifolium (Maxim.) Pak & Kawano
- 분야 :
- 과학/식물
-
고들빼기 Sowthistle-leaved hawksbeard, <일>イヌヤク..분포지역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두해살이풀이다. 크기 높이 12-80cm에 달한다. 잎 근생엽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거나 없어지며 엽병이 없고 긴 타원형이며 둔두이고 길이 2.5-5cm, 나비 14-17m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표면은 녹색, 뒷면은 분백이고 가장자리가 빗살처럼 갈라진다. 줄기잎...
- 분류 :
- 초롱꽃목 > 국화과 > 고들빼기속
- 꽃색 :
- 노란색
- 학명 :
- Crepidiastrum sonchifolium (Maxim.) Pak & Kawano
- 개화기 :
- 7월, 8월, 9월
-
고들빼기 소고거(小苦苣)잎 뿌리잎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는데 길이 2.5~5cm, 나비 14~17㎜의 타원형으로서 잎자루는 없으며, 가장자리는 갈라져 빗살 모양이다. 앞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청색인데 양쪽 면에 털은 없다. 줄기잎은 길이 2.3~6cm의 달걀꼴로서 밑부분이 넓어져 줄기를 감싸는데 가장자리에 이빨 모양의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
- 학명 :
- youngia sonchifolia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산기슭, 들, 밭두둑, 길가
- 번식 :
- 씨
- 약효 부위 :
- 뿌리·온포기
- 생약명 :
- 고채(苦菜)
- 키 :
- 80cm 정도
- 과 :
- 국화과
- 생활사 :
- 두해살이풀
- 채취기간 :
- 여름~가을
- 취급요령 :
-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차며, 쓰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5~8g
- 주의사항 :
- 오래 써도 무방하다
- 동속약초 :
- 씀바귀·선씀바귀의 온포기
-
고들빼기 Crepidiastrum sonchifolium형태정보 뿌리: 굵은 뿌리가 있다. 줄기: 높이 12~80cm이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자줏빛이 돈다. 잎: 잎은 호생하며 뿌리에서 돋은 잎은 꽃이 필 때까지 남거나 없어지고 잎자루가 없다. 길이 2.5~5cm, 너비 14~17mm이고 긴타원형이며 둔두이다. 표면은 녹색, 뒷면은 분백이고 가장자리가 빗살처럼 갈라진다. 줄기잎은 ...
- 분류 :
- 현화식물문(Magnoliophyta) > 목련강(Magnoliopsida) > 국화목(Asterales) > 국화과(Asteraceae) >
- 학명 :
- Crepidiastrum sonchifolium (Bunge) J. H. Pak & Kawano (1992)
- 국내분포 :
-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 해외분포 :
-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 특징 :
- 자생식물
-
고들빼기재배지 한국 전역, 그리고 중국에 분포한다. 요리 및 이용 입맛을 돋우기 위해 쓴맛이 나는 연한 잎과 뿌리를 나물, 김치 등으로 요리해서 먹는다. 한방 약미(藥味)와 약성(藥性)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한방 효능 지상부 또는 뿌리 • 열사를 제거하고 열독을 풀어주는 효능이 있다. •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 지혈...
- 분류 :
- 국화과(Asteraceae, Compositae)
- 학명 :
- Youngia sonchifolia Maxim.(식물명: 고들빼기) Lactuca indica L.(식물명: 왕고들빼기)
- 본초명 :
- 지상부_약사초(藥師草), 지상부 또는 뿌리_산와거(山萵苣)
- 종류 :
- 천연 향신료
- 활용부위 :
- 지상부, 뿌리
-
고들빼기 hawksbeard씬나물, 쓴나물, 좀두메고들빼기, 좀고들빼기이라고도 한다. 전국 각지의 산야지 대개는 집 부근의 빈터 또는 텃밭이나 길가 언덕에 자생하고 근래에는 농가에서 밭에 재배도 한다. 두해살이 풀로서 높이는 80cm 안팎이다. 4~7월에 노란색 꽃이 피고 6월부터 열매가 익는다. 줄기는 적자색을 띤다. 꽃 크기는1.5~1.6cm로...
- 분류 :
- 국화과(Asteraceae)
- 서식지 :
- 연중재배
- 학명 :
- Youngia sonchifolia Max.
- 분포지역 :
- 한국, 중국
- 번식 :
- 종자
- 생활사 :
- 두해살이
-
고들빼기 꼬들빼기, Korean youngia생물학적 특징 다년생 초본: 높이는 18~20㎝, 자주색 근생엽은 꽃이 필때까지 숙존, 엽신은 타원형, 길이 3cm, 폭 1-2cm, 엽병은 없음, 엽연은 빗살 모양, 표면은 녹색, 뒷면은 회청색, 양면에 털이 없음, 경생엽은 난형, 길이 3~6㎜, 엽두는 예두, 엽저는 줄기를 둘러 싸는 이저, 엽연은 불규칙한 거치 화서는 두상화서...
- 분류 :
- 국화과(Compositae)
- 서식지 :
- 산야
- 학명 :
- Youngia sonchifolia Maxim.
- 본초명 :
- 약사초(藥師草)
- 분포지역 :
- 한국(전역), 만주, 중국
- 근연식물 :
- 이고들빼기, 왕고들빼기
-
고들빼기 참꼬들빽이맛난 김치로 담가 먹는 고들빼기는 나물로 워낙 유명해 농가에서 많이 재배되는 품종이다. 맛이 쓰다고 해서 고채(苦菜) 또는 고도(苦茶)라고 하던 것이 ‘고독바기’로 바뀌었다가 ‘고들빼기’가 되었다고 한다. 전국의 산과 들에서 자라는 두해살이풀로, 양지 또는 반그늘에서 자라며, 키는 20~80㎝이다. 줄기는 붉은...
- 분류 :
- 국화과
- 서식지 :
- 양지 또는 반그늘
- 꽃색 :
- 연황색
- 크기 :
- 키는 약 20~80㎝ 정도
- 학명 :
- Crepidiastrum sonchifolium (Bunge) Pak & Kawano
- 용도 :
- 어린순과 뿌리는 식용, 약재로도 사용
- 분포지역 :
- 우리나라, 중국
- 생활사 :
- 두해살이풀
- 개화기 :
- 7~9월
- 결실기 :
- 9~10월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