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계획제한 計劃制限
    행정계획에 따라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재산권에 가해진 공용제한.→ 공용제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 공용제한 公用制限
    수요 종류에 따라 계획제한·보전제한·사업제한·공물제한·사용제한으로 나눌 수 있다. 계획제한이란 행정계획에 따라 그 목적달성을 위하여 재산권에 가해진 공용제한이다. 오늘날 특히 토지이용계획의 등장과 관련하여 토지이용계획제한·지방분산계획제한·도시계획제한 등 여러 가지 계획제한을 볼 수 있다. 보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산아제한 産兒制限, birth control
    개발도상국에서 폭발적인 인구 증가가 일어났고, 의학의 발달로 영유아 사망률이 줄어들면서 경제성장과 사회안정을 위협하게 되었다. 이 무렵부터 산아제한은 가족계획의 개념으로 확대되었고, 출산 수준을 낮출 뿐 아니라 모성사망률과 영아사망률을 줄여 모자보건을 증진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라는 의미가 강화...
  • 건폐율 建蔽率, Building Coverage Ratio
    밀도를 가늠하는 척도로 활용한다. 용도지역 ・ 용도지구별 건폐율의 최대한도는 관할 구역의 면적과 인구 규모, 용도지역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기준은 아래와 같다. - 제1종 전용주거지역 : 50퍼센트 이하 - 제2종 전용주거지역 : 50퍼센트 이하 - 제1종일반주거...
    유형 :
    기타(도시 ・ 군계획 ・ 건축용어)
    관련법령 :
    「건축법」 제55조,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77조,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46조,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47조,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84조, 「지구단위계획수립지침」
  • 전 지구적 제한 공격 방어 계획 GPALS, 全地球的制限攻擊防禦計劃
    적의 제한적 ・ 우발적 미사일 공격에 대비하여 지상과 우주의 요격 시스템을 조합하여 방위하는 전략. 조지 부시 전 미국 대통령이 제기한 구상으로서, 우주에서 전 지구를 커버하는 SDI와는 달리 방위 범위를 지역적으로 분산시킨다는 차이점이 있다.
    분야 :
    방호
  • 제한 화력 계획 制限火力計劃, restrictive fire p..
    지상에서 발사하는 비핵 화력으로부터 안전한 공역을 설치하기 위한 화력 계획.
    분야 :
    항공
  • 개발제한구역 그린벨트, 開發制限區域
    타계했다. 그 후 두 도시는 건설되어 오늘에 이른다. 2. 외국의 개발제한구역 변천 영국에서는 1935년 런던도시계획위원회에서 런던 주위에 개발제한구역을 설치하자고 제안했으며, 1938년에는 개발제한구역법(Green Belt Act)이 제정되었다. 1944년에 아버크롬비(Abercrombie) 교수가 성안한 대런던계획에서는 런던...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지리/인문지리
  •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개정되었다. 국토해양부장관은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을 방지하고 도시 주변의 자연환경을 보전하여 도시민의 건전한 생활환경을 확보하기 위해 도시의 개발을 제한할 필요가 있거나 국방부장관의 요청으로 보안상 도시의 개발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면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해제를 도시·군관리계획으로 결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도시계획법 도계법, 都市計劃法
    도시계획구역 안에서의 지역(주거·상업·공업·녹지), 지구(풍치·미관·고도·방화·보존·주차장정비·공항·시설보호), 구역(특정시설 제한, 시가화조정, 상세계획, 광역계획, 개발제한, 도시개발 예정)의 지정 또는 변경에 관한 사항이다. 둘째는 도로·광장·주차장·공원·녹지·학교·시장 등 도시계획시설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개발제한구역법, 開發制限區域의..
    매수대상토지’로 규정하고 당해 토지의 소유자가 매수를 청구할 수 있도록 규정하였다(같은 법 제16조). 이와 같은 토지매수청구권 외에도 개발제한구역 관리계획 수립, 취락지구 지정을 통해 도로, 주차장, 공원 등의 도시기반 시설의 설치 등과 같은 주민지원사업 시행 및 개발제한구역 훼손부담금을 규정하고 있다...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제도/법령·제도
    분야 :
    정치·법제/행정
  • 수도권정비계획 首都圈整備計劃
    기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1984년 7월 11일에 공표된 수도권정비기본계획은 이와 같은 제도적 뒷받침에 의거하여 국토종합개발계획과 개별적 도시계획...법정계획이다. 그 주요내용을 살펴보면 첫째, 수도권 전체를 이전촉진권역·제한정비권역·개발유도권역·자연보전권역·개발유보권역으로 구분하고, 명칭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 개발행위허가제한지역
    대하여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중앙도시계획위원회나 지방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일정기간 개발행위허가를 제한하는 지역을 말한다. ① 녹지지역이나 계획관리지역으로서 수목이 집단적으로 자라고 있거나 조수류 등이 집단적으로 서식하고 있는 지역 또는 우량 농지 등으로 보전할 필요가...
    유형 :
    지역 ・ 지구 등
    관련법령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63조,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60조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