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경혜공주 조선 문종의 적장녀
    조선 문종과 현덕왕후 권씨의 맏딸이자, 단종의 누이. 계유정난과 단종복위운동의 돌풍 속에서 남편 정종과 함께 전라도 광주로 유배되었다가, 1461년 순천부의 관노가 되었고 1473년(성종 4년) 세상을 떠났다.|1461년(세조 7년) 10월 22일, 순천 부사 여사신은 아침나절 관아 앞마당에서 사내아이의 손을 잡고 우두커...
    출생 :
    1436년
    사망 :
    1473년
    본관 :
    전주(全州)
    아버지 :
    문종
    어머니 :
    현덕왕후 안동 권씨
    능묘 :
    경혜공주묘,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 경혜공주 Princess Gyeonghye, 敬恵公主
    왕족 정보 경혜공주(敬惠公主, 1436년 ~ 1474년 1월 17일(1473년 음력 12월 30일))는 조선의 공주이며, 문종과 현덕왕후의 딸이다. 단종의 친누나이기도 하다. 세종 때 평창군주(平昌郡主)에 봉작되었고 문종 즉위 후 공주로 진봉되었다. 경혜공주가 태어났을 당시 아버지 문종은 즉위 전이었고, 어머니 권씨는 세자의 ...
    도서 위키백과
  • 공주의 남자 The Princess' Man, 王女の男
    내던져 버리는 비운의 왕녀이다. 경혜공주 : 이민우 경혜공주의 남편. 세종 시절 중추원 부사이자 형조참판인 정충경의 맏아들. 승유의 절친한 친구. 부인 경혜공주와 세자 이홍위를 지켜야 한다는 부마의 소임을 다하다가 목숨을 잃는다. 신면 : 이순재 조선의 우의정, 좌의정. 세종 이래로 왕가에 절대 충성을 맹세...
    도서 위키백과
  • 안국동별궁 영응대군의 궁, 東別宮
    정씨를 폐하고 송씨를 다시 맞아들였다. 한편 정충경은 딸을 세종의 아들 영응대군과 혼인시키고, 아들 정종(鄭悰)을 세종 때 동궁(문종)의 딸 평창군주(경혜공주)와 혼인시켜 왕실과 인연을 맺었다. 영응대군의 처남이면서 조카사위가 된 영양위 정종은 수양대군에 의해 1455년(단종 3년) 광주로 귀양 갔다가 양근(양평...
    위치 :
    북부 안국방(조선시대)
    소재지 :
    종로구 율곡로 3길 4 풍문여자고등학교
  • 조선의 공주 목록
    숙녕옹주 숙경옹주 숙근옹주 소신옹주 소숙옹주 경신옹주 정혜옹주 숙혜옹주 숙안옹주 숙순옹주 세종 소생 정소공주 정의공주 정안옹주 정현옹주 문종 소생 경혜공주 경숙옹주 단종 - 세조 소생 의숙공주 추존왕 덕종 소생 명숙공주 예종 소생 현숙공주 혜순공주 성종 소생 순숙공주 휘숙옹주 경숙옹주 휘정옹주 정혜...
    도서 위키백과
  • 정종 헌민(獻愍), 鄭悰
    개설 본관은 해주(海州). 아버지는 참판 정충경(鄭忠敬)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50년(세종 32)에 문종의 딸 경혜공주(敬惠公主)와 혼인한 뒤 영양위(寧陽尉)에 봉하여지고, 단종 초기에 형조판서가 되어 단종의 두터운 신임을 받았다. 1455년(단종 3)에 금성대군 유(錦城大君瑜)의 사건에 관련되어 영월에 유배되었다...
    시대 :
    조선
    출생 :
    미상
    사망 :
    1461년(세조 7)
    경력 :
    형조판서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해주(海州)
  • 영희전 세조의 잠저, 永禧殿
    의경세자는 현덕왕후의 혼령에 시달렸다고 한다. 현덕왕후는 문종이 세자 시절 후궁이었으나 휘빈 김씨와 순빈 봉씨가 쫓겨나고 세자빈이 되었다. 현덕왕후는 경혜공주를 낳았고 단종을 낳고는 사흘 만에 죽었다. 젖먹이 어린 아들을 두고 죽은 현덕왕후가 아들의 왕위를 빼앗고, 친정 집안을 풍비박산내고 자신의 묘...
    위치 :
    남부훈도방(조선시대)
    소재지 :
    중구 수표로 27 중부경찰서, 영락교회
  • 한국의 왕자와 왕녀 목록
    아들 - 수춘군 조선 세종의 아들 - 영풍군 조선 세종의 딸 - 정안옹주 조선 세종의 딸 - 정현옹주 조선 문종 조선 문종의 아들 - 단종 조선 문종의 딸 - 경혜공주 조선 문종의 딸 - 경숙옹주 조선 세조 조선 세조의 아들 - 덕종(추존) 조선 세조의 아들 - 예종 조선 세조의 딸 - 의숙공주 조선 세조의 아들 - 덕원군...
    도서 위키백과
  • 단종의 한 많은 귀향길
    뒤에 그 산을 망원봉이라 불렀다. 후일 조정에서는 단종의 후사를 세워 제사를 받들게 하고자 송씨를 맞으려 하였으나 그는 듣지 않았다. 만년에는 경혜공주의 아들 정미수(鄭眉壽) 집에 의탁하면서 상왕의 신주를 모시고 조석으로 봉사하다가 춘추 80여 세에 하세하였다. 정씨 집에서 자기 집 뒤에다 장사지냈는데, 그...
  • 종반행적 宗班行蹟
    본으로 여겨진다. 한편, 부록은 공주·옹주 및 비(妃)·빈(嬪)에 대한 행적으로 상·하 2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편에는 문종의 장녀인 경혜공주(敬惠公主)를 비롯한 13인의 공주 및 옹주의 행적이 실려 있다. 하편에는 세종의 빈인 신빈김씨(愼嬪金氏)를 비롯한 9인의 비·빈에 대한 행적이 실려 있다. 이 책은 편찬자...
    시대 :
    조선
    창작/발표시기 :
    1681년(숙종 7)
    성격 :
    언행록, 인물행적기록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5권 4책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소장/전승 :
    장서각 도서, 규장각 도서
  • 현덕왕후 顯德王后
    신주는 종묘 문종실(文宗室)에 봉안되었다. 친가(親家)도 1699년(숙종 25) 단종의 부묘(祔廟)와 함께 신원되었다. 소생으로는 단종과 영양위(寧陽尉) 정종(鄭宗)에게 시집 간 경혜공주(敬惠公主)가 있다. 시호는 인효순혜현덕왕후(仁孝順惠顯德王后)이다. 능호는 현릉(顯陵)으로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출생 :
    1418년(태종 18)
    사망 :
    1441년(세종 23)
    유형 :
    인물
    직업 :
    왕비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안동(安東)
  • 정미수 기수(耆叟), 鄭眉壽
    개설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기수(耆叟), 호는 우재(愚齋). 전라남도 광주 출생. 아버지는 형조참판 정종(鄭悰)이며, 어머니는 문종의 딸 경혜공주(敬惠公主)이다. 아버지가 사사(賜死)되자 어머니와 함께 서울로 소환, 세조가 길렀다. 생애 및 활동사항 잠저 때의 성종을 시중하다가 1473년(성종 4) 돈녕부직장·형조...
    시대 :
    조선
    출생 :
    1456년(세조 2)
    사망 :
    1512년(중종 7)
    경력 :
    우찬성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해주(海州)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경혜공주
단종(端宗)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