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현덕왕후

다른 표기 언어 顯德王后
요약 테이블
시대 조선
출생 1418년(태종 18)
사망 1441년(세종 23)
유형 인물
직업 왕비
성별
분야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안동(安東)

요약 조선전기 제5대 문종의 왕비.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화산부원군(花山府院君) 권전(權專)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31년(세종 13) 세자궁에 선임되어 승휘(承徽)에 올랐다. 1433년경 양원(良媛)에 진봉되었다. 1437년 종부시소윤 봉려(奉礪)의 딸 순빈(純嬪)이 부덕하여 폐빈된 뒤 세자빈이 되었다.

성품이 단아하고 효행이 있어 세종과 소헌왕후(昭憲王后)의 총애를 받았다. 1441년 원손(元孫 : 뒤의 단종)을 출생하고 3일 뒤에 죽었다. 같은 해 현덕(顯德)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상훈과 추모

경기도 안산시 치지고읍산(治之古邑山)에 예장되었다. 1450년(문종 즉위년) 현덕왕후에 추숭되었다.

혼전호(魂殿號)는 경희전(景禧殿)이다. 능호는 소릉(昭陵)이라고 명명되었다. 1452년(단종 즉위년) 문종과 합장되면서 현릉(顯陵)으로 개호되었다. 1454년 인효순혜(仁孝順惠)의 존호가 추상되었다. 같은 해 문종의 신주와 함께 종묘에 봉안되었다.

1457년(세조 3) 현덕왕후의 어머니 아지(阿只)와 동생 자신(自愼)이 1456년에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다가 사형당하고, 아버지 전이 추폐(追廢)되어 서민이 되었다. 그리고 아들 노산군(魯山君)이 종사에 죄를 지어 군(君)으로 강봉(降封)되었다.

이에 “그 어미 된 자가 왕후의 명호를 유지함은 마땅하지 않으니 추폐하여 서인으로 삼고 개장해야 한다.”는 의정부의 계(啓)에 따라 폐위되었다. 이와 함께 종묘에서 신주가 철거되고, 평민의 예로 개장되었다. 1471년(성종 2) 남효온(南孝溫)이 추복(追復)을 건의하였다.

1495년(연산군 1)에는 대사간 김극뉴(金克忸), 사간 이의무(李宜茂), 헌납 김일손(金馹孫) 등이 현덕왕후의 추복을 헌의(獻議)하였다. 1512년(중종 7)에도 주강(晝講) 석상에서 경연검토관 소세양(蘇世讓)이 추복을 건의했으나 실현되지 못하였다. 이듬해 종묘에 벼락이 치자 그것을 계기로 재차 논의되면서 전교(傳敎)로 추복되었다.

그리하여 현릉 동쪽에 이장되었다. 신주는 종묘 문종실(文宗室)에 봉안되었다. 친가(親家)도 1699년(숙종 25) 단종의 부묘(祔廟)와 함께 신원되었다. 소생으로는 단종과 영양위(寧陽尉) 정종(鄭宗)에게 시집 간 경혜공주(敬惠公主)가 있다. 시호는 인효순혜현덕왕후(仁孝順惠顯德王后)이다. 능호는 현릉(顯陵)으로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세종실록(世宗實錄)』
  • ・ 『단종실록(端宗實錄)』
  • ・ 『세조실록(世祖實錄)』
  • ・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 ・ 『중종실록(中宗實錄)』
  • ・ 『숙종실록(肅宗實錄)』
  • ・ 『선원계보(璿源系譜)』
  • ・ 『연려실기술(練藜室記述)』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구리 동구릉 중 조선 문종과 현덕왕후 현릉 능침 정면


[Daum백과] 현덕왕후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