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려 11대 왕, 문종 고려 제11대 왕, 文宗
    고려의 문물제도와 문화를 발전시켜 고려 황금기를 이룩한 고려 제11대 왕. 현종의 셋째 아들로 이름은 휘, 자는 촉유로 정종이 죽은 뒤 왕위를 계승하여 고려의 문물제도를 크게 정비했고 불교 및 유교, 미술 등에 이르는 문화 전반에 걸쳐 큰 발전을 이루었다. 1069년에 양전보수법을 제정해 전답의 세율을 정했으며 ...
    출생 :
    1019(현종 10)
    사망 :
    1083(문종 37)
    국적 :
    고려, 한국
    종교 :
    불교
    재위 :
    1046년∼1083년
    시호 :
    강정명대장성인효대왕(剛定明大章聖仁孝大王)
    능묘 :
    경릉(景陵)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문종 조선 전기 병법의 기본을 세우다
    효성이 지극했던 왕세자 이향 조선의 5대 왕 문종은 1414년(태종 14) 세종과 소헌왕후의 첫째 아들로 한양의 사저에서 태어났다. 이름은 향(珦), 자는 휘지(輝之)이다. 부왕 세종이 왕위에 오르고 3년이 지난 1421년(세종 3)에 8세의 나이로 세자에 책봉되었다. 문종은 성품이 인자하고 명철했으며, 학문을 좋아하고 음...
    시대 :
    조선
    출생 :
    1414년(태종 14)
    사망 :
    1452년(문종 2)
    본명 :
    이향(李珦)
    본관 :
    전주(全州)
  • 문종 왕휘(王徽), 文宗
    문종은 고려 전기 제11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1046~1083년이며, 형인 제10대 왕 정종에게 아들이 있었지만 형제 상속의 형태를 취해 왕위를 계승했다. 문종 재위기는 고려의 황금기라 할 정도로 문물제도가 크게 정비된 시기였다. 양반전시과가 다시 정비되고 관제가 개편되었으며, 백관의 서열과 녹과가 제정되는 등 ...
    시대 :
    고려 전기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문종 휘지(輝之), 文宗
    문종은 조선전기 제5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1450∼1452년이며, 세종의 맏아들이다. 세종 재위시에 세자로서 섭정을 하면서 실제적인 정치 경험을 쌓았다. 학문을 좋아했고 학자들을 아꼈으며 많은 서적들을 편찬했다. 『고려사』 개찬과 『고려사절요』 편찬은 조선왕조의 정치·제도·문화의 정리를 위해서도 중요한 ...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문종 고려 11대왕, 文宗
    태평성세를 이룩한 명군주 1046년 5월 정종의 선위를 받은 낙랑군 휘가 왕위에 오르니 이가 고려 제11대 왕 문종(文宗)이다. 문종은 현종의 3남이자 원혜태후 김씨 소생으로 현종 10년(1019)에 출생하였다. 선왕 정종과는 한 살 차이 이복동생이다. 1022년에 낙랑군에 책봉되었고, 정종 3년(1037)에 내사령에 올랐다가 ...
  • 조선 5대 왕, 문종 조선 제 5대 왕, 文宗
    조선 제 5대 왕이자 세종의 첫째 아들로 이름은 향, 자는 휘지. 조선 개국 이후 적장자로서 왕위에 오른 최초의 왕으로 세종의 병환으로 인해 1445년부터 섭정을 맡아 정무를 익혔다. 왕위에 오르고 나서는 대신들의 의견을 자주 구했고, 군정에도 관심이 많아 병력을 증진시키고 군제를 정비했다. 서적 편찬에도 관심을...
    출생 :
    1414(태종 14)
    사망 :
    1452(문종 2)
    국적 :
    조선, 한국
    종교 :
    유교(성리학)
    재위 :
    1450년∼1452년
    시호 :
    공순흠명인숙광문성효대왕(恭順欽明仁肅光文聖孝大王)
    능묘 :
    현릉(顯陵)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인물 , , 한국사
  • 문종 조선 5대왕, 文宗
    세종의 맏아들이며 어머니는 소헌왕후 심씨. 세종 3년(1421)에 왕세자로 책봉되었고, 세종 32년(1450) 37세의 나이로 왕위에 올랐다. 특히 학문을 좋아하여 학자(집현전 학사)들을 아끼고 사랑하였다. 세종 27년(1445)부터는 세자로 섭정하였는데, 이는 세종이 죽을 때까지 계속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문종은 즉위하기 전...
    출생 :
    1414년
    사망 :
    1452년
    재위 :
    1450년 2월~1452년 5월, 2년 3개월
  • 문종 중국 당나라 제14대 황제, 文宗
    중국 당나라(618~907)의 제14대 황제(826~840 재위). (병). Wen Zong. (웨). Wen Tsung.|이름은 이앙(李昻). 묘호는 문종. 당시 당은 환관의 전횡이 격화되었던 시기로 문종은 즉위 이래 환관 세력을 배제하려고 했으나, 오히려 환관들에 의해 좌절당하고 말았다. 그의 계획은 모두 수포로 돌아갔고, 그결과 '감로의 ...
    출생 :
    809
    사망 :
    840
    국적 :
    중국, 당(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함풍제 Xianfeng, 咸豊帝
    중국 청조의 제9대 황제(1850~61 재위). (병). Xianfeng. (웨). Hsienfeng.|청이 중국을 지배하기 시작한 때를 기준으로 하면 청의 제7대 황제가 된다. 여진 이름은 애신각라(愛新覺羅). 본명은 혁저(奕詝). 묘호는 문종. 연호는 함풍. 도광제(道光帝)의 넷째 아들이다. 당시 중국의 정치상황은 부패한 데다 내우외환...
    출생 :
    1831
    사망 :
    1861
    국적 :
    청(淸),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문종의 즉위와 죽음 (관련어 문종)
    문종이 왕위에 오르자, 그는 부왕의 법도를 그대로 준행하였으므로 나라가 태평하고 백성이 편안하였다. 그러나 등극하자마자 이름모를 병으로 재위 1년 만에 승하하였다. 그도 생전에 나이 어린 세자를 생각하고 항상 걱정하였다. 한 번은 왕이 거처하는 편전에 잔치를 베풀고, 집현전의 여러 학사들을 불러들여 한자리...
  • 문종 (조선) Munjong of Joseon, 文宗 (朝鮮王)
    왕족 정보옛한글 문종(文宗, 1414년 11월 15일(음력 10월 3일) ~ 1452년 6월 10일(음력 5월 14일), 재위 1450년 ~ 1452년)은 조선의 제5대 국왕이다.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휘는 향(珦)이며, 자는 휘지(輝之)이다. 묘호는 문종(文宗)이며, 문치(文治)를 발전시키고 다스렸다는 뜻이다. 시호는 흠명인숙광문성효대왕...
    도서 위키백과
  • 문종 (고려) Munjong of Goryeo, 文宗 (高麗王)
    1020년 1월 4일 , 율리우스력 6월 24일 ~ 1083년 9월 8일)이다. 초명은 서(緖), 휘는 휘(徽), 자는 촉유(燭幽), 묘호는 문종(文宗), 시호는 강정명대장성인효대왕(剛定明大章聖仁孝大王), 능호는 경릉(景陵)이다. 불교 중흥에 힘썼으며 그의 치세 이래를 고려의 황금기라고 한다. 즉위 초 문하시중 최충에게 명하여 율령...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47건

조선 문종 태호
열성어필 / 문종대왕 어필
조선왕조실록 / 문종실록 표지
조선왕조실록 / 문종실록 본문
제5대 문종(文宗, 1414∼1452년)
예천 명봉사 문종대왕 태실비 및 경천선원 자적선사 능운탑비
구리 동구릉 중 조선 문종과 현덕왕후 현릉 능침 정면
청동으로 만들어진 종
현릉(顯陵)
문종 태지석
문종 태지석
문종 태지석
문종 가계도
문종 상시호 금보
문종 상시호 금보
문종 상시호 금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