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정미수

다른 표기 언어 鄭眉壽 동의어 기수(耆叟), 우재(愚齋), 소평(昭平),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
요약 테이블
시대 조선
출생 1456년(세조 2)
사망 1512년(중종 7)
경력 우찬성
유형 인물
직업 문신
성별
분야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해주(海州)

요약 조선전기 한성부판윤, 의정부참찬, 우찬성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기수(耆叟), 호는 우재(愚齋). 전라남도 광주 출생. 아버지는 형조참판 정종(鄭悰)이며, 어머니는 문종의 딸 경혜공주(敬惠公主)이다. 아버지가 사사(賜死)되자 어머니와 함께 서울로 소환, 세조가 길렀다.

생애 및 활동사항

잠저 때의 성종을 시중하다가 1473년(성종 4) 돈녕부직장·형조정랑을 지냈다. 죄인의 자손으로 임관되었다 하여 여러 차례 탄핵을 받았으나 성종의 무마로 무사하였다. 1476년 중부참봉(中部參奉)을 거쳐 이듬해 선전관을 지내고, 1489년 사헌부장령·사섬시첨정·한성부서윤·인천부사 등을 지냈다.

연산군이 즉위하자 당상관으로 올라 장례원판결사에 임명되고, 1496년(연산군 2) 충청도관찰사가 되었다. 1498년 동부승지·우승지·좌승지·도승지를 거쳐, 1502년 공조참판·지돈녕부사·한성부판윤을 지내고, 1504년 의정부참찬으로 판의금부사를 겸하였다.

1506년(중종 1) 우찬성이 되어 중종반정 때 공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 3등이 되고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에 올랐으며,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에 봉하여졌다. 이듬해 박경(朴耕)의 옥사에 연루되어 경상도 울진으로 유배되었다가 곧 풀려났다. 시호는 소평(昭平)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성종실록(成宗實錄)』
  • ・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 ・ 『중종실록(中宗實錄)』
  •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 『음애일기(陰崖日記)』
  • ・ 『해동야언(海東野言)』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조선

조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정미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