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소고춤 小鼓춤소고를 들고 추는 춤. 구성 및 형식 농악에서 소고치배들이 추거나, 교방춤에서 입춤이나 교방춤 끝에 춘다. 농악에서 추는 소고춤은 고깔소고춤과 채상소고춤으로 나뉜다. 공히 판굿에서 뒷배를 받쳐주며, 판을 너울거리고 출렁거리게 한다. 고깔소고춤은 주로 전라우도 농악에서 볼 수 있다. 소고가 약간 크며, 손잡...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무용
-
-
굿거리춤 입춤풍물 판굿이나 탈춤을 출 때 굿거리 장단에 맞추어 추는 춤. 입춤·소고춤·수건춤. 개설 풍물 판굿이나 탈춤 중 굿거리 장단에 맞추어 추는 소고춤 등 개인기를 굿거리춤이라고 한다. 또는 그 춤사위도 굿거리춤이라고 한다. 기녀들이 입춤을 출 때 사용되는 장단 역시 주로 굿거리와 자진굿거리가 사용되는데, 굿거...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무용
-
벅구 법구호남좌도농악(湖南左道農樂)에서와 같이 채상이 달린 벙거지를 쓰기도 하고 호남우도농악(湖南右道農樂)에서와 같이 고깔만 쓰기도 한다. 호남우도농악에서는 벅구잡이가 ‘벅구춤(소고춤)’만을 추지만, 다른 고장 벅구잡이는 벅구춤 외에도 채상놀음(상모놀음)ㆍ자반뒤집기(허궁잡이)와 같은 것을 곁들인다. 참고문헌
- 성격 :
- 악기, 북
- 유형 :
- 유물
- 크기 :
- 북통의 지름 일곱치, 북통의 높이 7푼
- 재질 :
- 나무, 가죽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소장/전승 :
- 국립국악원
-
-
마당춤강릉농악, 평택농악, 진주삼천포농악, 이리농악, 임실필봉농악, 고창농악 등이 있으며, ‘부포춤’, ’설장고춤‘, ’북춤‘, ’진도북춤‘, ’소고춤‘, ’채상소고춤‘, ’고깔소고춤‘ 등이 대표적이다. 오늘날 이 춤들의 무대화가 두드러지는데, 그 이유는 이미 농악의 개인놀이인 구정놀이에 일인 독무(獨舞) 내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무용
-
춤춤, 진풀이 등이 특색적이고 영동농악은 8법고춤, 농사풀이춤 등 특색이 있다. 영남농악은 채상모춤, 부들상모의 부포춤, 진풀이, 북춤, 소고잡이 등의 채상모춤과 거리기춤, 수박(手拍)춤, 북춤 등이다. 호남우도농악은 진풀이를 비롯하여 쇠꾼 등의 발림춤과 부포춤, 장고춤, 고깔소고춤, 채상모 소고춤, 잡색 등의...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무용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교방춤 교방무, 敎房춤국가무형유산에는 「승무」 · 「살풀이춤」이 있고, 시도무형유산에는 「진주교방굿거리춤」 · 「예기무」 등이 있다. 그 밖에도 「교방장고춤」, 「입춤」, 「소고춤」 등이 기녀들에 의해 전승된 오늘날의 ‘교방춤’으로 지목되고 있다. 현황 교방의 역사와 문화를 전승한 교방춤은 기생-기녀라는 사회 신분적 제도...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무용
-
안채봉 안성자, 安彩鳳익힌 후 판소리꾼으로 활동하였고, 1950년대부터 전라남도 광주를 중심으로 가무 활동을 한 전통예인이다.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춘향가의 예능보유자이고, 소고춤의 명인이다. 생애 1920년 10월 8일 전라남도 나주군 남평면 상곡리 아래울에서 출생했다. 본명은 안성자이다. 아버지 안영권은 풍류객으로 가야금, 대금...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예술·체육/무용